역주 원각경언해 제7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7집 하1의2
  • 6. 청정혜보살장(淸淨慧菩薩章)
  • 4. 수행의 경지를 단계별로 말씀하심
  • 4-2) 중생의 근기 때문에 수행의 차별이 있음 가) 지위에 따른 점차적 수행 ① 신위 7
메뉴닫기 메뉴열기

4-2) 중생의 근기 때문에 수행의 차별이 있음 가) 지위에 따른 점차적 수행 ① 신위 7


【경】 淨圓覺性으로

淨圓覺性 주001)
정원각성(淨圓覺性):
깨끗한 원각(大乘 圓頓의 깨달음)에 도달할 수 있는 성품.
으로

정원각성으로

【종밀주석】 卽內熏也ㅣ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원각경언해 하1의2:20ㄱ

內熏 주002)
내훈(內熏):
중생의 마음에 있는 본각(本覺) 자체가 안으로 무명(無明)에 작용하여 망심(妄心)을 없애고 진여에 돌아가려는 작용.
이라【데 닐오 本覺ㅅ 內熏이 因이 외오 알 주003)
알:
앞의. 앒+(특수처소부사격조사)+ㅅ. ‘-ㅅ’은 관형격 조사.
善友 맛난 聞熏 주004)
문훈(聞熏):
들어서 훈습됨. ‘훈습(熏習)’은 향이 그 냄새를 옷에 배게 하는 것처럼 사람이 몸과 입과 뜻으로 하는 행동이 그냥 없어지지 않고 인상이나 세력을 자기의 마음과 몸에 머물러 있게 되는 것.
이 緣이 외야 內外ㅅ 熏力을 브터 매 아쳘며 주005)
아쳘며:
싫어하며. 아쳘-[厭]+(으)며. 자음으로 시작되는 어미나 접사 앞에서는 ‘아쳗-’이, 모음으로 시작되는 어미 앞에서는 ‘아쳘-’이 쓰인다. 매개모음은 ‘아쳘-’ 뒤에서 탈락.
求호 니르왇니 因과 緣괘 마 면 心性이 니라 주006)
니라:
밝아지느니라. ‘--’가 쓰인 것은 여기의 ‘-’이 동사로 쓰인 것임을 보여 준다.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곧 내훈이다【뜻에 말하자면 본각의 내훈이 인이 되고 앞의 착한 벗 만난 문훈이 연이 되어 내외의 훈력으로 말미암아 마음에 싫어하며 구함을 일으키나니, 인과 연이 이미 갖추어지면 심성이 밝아지느니라.】.
Ⓒ 역자 | 이유기 / 2005년 12월 23일

주석
주001)
정원각성(淨圓覺性):깨끗한 원각(大乘 圓頓의 깨달음)에 도달할 수 있는 성품.
주002)
내훈(內熏):중생의 마음에 있는 본각(本覺) 자체가 안으로 무명(無明)에 작용하여 망심(妄心)을 없애고 진여에 돌아가려는 작용.
주003)
알:앞의. 앒+(특수처소부사격조사)+ㅅ. ‘-ㅅ’은 관형격 조사.
주004)
문훈(聞熏):들어서 훈습됨. ‘훈습(熏習)’은 향이 그 냄새를 옷에 배게 하는 것처럼 사람이 몸과 입과 뜻으로 하는 행동이 그냥 없어지지 않고 인상이나 세력을 자기의 마음과 몸에 머물러 있게 되는 것.
주005)
아쳘며:싫어하며. 아쳘-[厭]+(으)며. 자음으로 시작되는 어미나 접사 앞에서는 ‘아쳗-’이, 모음으로 시작되는 어미 앞에서는 ‘아쳘-’이 쓰인다. 매개모음은 ‘아쳘-’ 뒤에서 탈락.
주006)
니라:밝아지느니라. ‘--’가 쓰인 것은 여기의 ‘-’이 동사로 쓰인 것임을 보여 준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