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7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7집 하1의1
  • 5. 미륵보살장(彌勒菩薩章)
  • 1. 부처님께 드리는 질문
  • 1. 부처님께 드리는 질문 8
메뉴닫기 메뉴열기

1. 부처님께 드리는 질문 8


【경】 海ㄴ댄

海예 놀오져 주001)
놀오져:
놀고자. 놀-+고+지(원망의 선어말어미)+어(종결어미). /ㄹ/ 뒤의 /ㄱ/ 약화. ‘-고-’는 연결어미처럼 보이나, ‘-지-’와 ‘-어’가 결합한 ‘-져’가 어간 뒤에 바로 쓰이기도 하여, ‘-지-’는 선어말어미로 보인다. ‘-어’는 종결어미이다. 이어지는 ‘-’는 수행동사적 기능을 지니고 있다.
홀딘댄 주002)
홀딘댄:
한다면. : -올딘댄.

〈여래의 대적멸〉해에서 놀고자 한다면.

【종밀주석】 具足三德샤 能建大義샤 體深用廣실 故如海也시니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三德 주003)
삼덕(三德):
마하반야(摩訶般若)와 해탈(解脫)과 법신(法身).
샤 주004)
샤:
갖추어지셔서. -[具]+샤(주체존대 선어말어미)+아(연결어미).
能히 큰 義를 셰샤 주005)
셰샤:
세우시어. 셔-[立]+ㅣ(사동접미사)+샤(주체존대 선어말어미)+아(연결어미).
깁고 주006)
깁고:
깊고. ‘깊-→깁’은 8종성표기법에 따른 것.
用이 너브실 주007)
너브실:
넓으시므로. 넙-[廣]+으시-+ㄹ. ‘-ㄹ’는 이 책 이전에는 ‘ㄹ’로 적혔으나, 이 책에서부터 각자병서가 폐지됨.
바 주008)
바:
바다. 중세국어 시기에는 ‘바’과 ‘바닿’이 공존하였음.
시니라 주009)
시니라:
같으시니라. +-+시+니+라. 어간이 ‘/-’으로 나타기도 함. ‘-’는 ‘(부사)’에 ‘-’가 붙어 형성된 형용사인데, ‘니(+-+니)’와 같은 활용형에 대한 오분석의 결과 새로운 어간 ‘-’이 형성되었다. 이 ‘-’은 음절말에서는 8종성표기법에 의해 ‘-’으로 적힌다.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삼덕(三德)이 갖추어지셔서 능히 큰 의(義)를 세우시어 본체가 깊고 그 적용 범위가 넓으시므로 바다 같으시니라.
Ⓒ 역자 | 이유기 / 2005년 12월 23일

주석
주001)
놀오져:놀고자. 놀-+고+지(원망의 선어말어미)+어(종결어미). /ㄹ/ 뒤의 /ㄱ/ 약화. ‘-고-’는 연결어미처럼 보이나, ‘-지-’와 ‘-어’가 결합한 ‘-져’가 어간 뒤에 바로 쓰이기도 하여, ‘-지-’는 선어말어미로 보인다. ‘-어’는 종결어미이다. 이어지는 ‘-’는 수행동사적 기능을 지니고 있다.
주002)
홀딘댄:한다면. : -올딘댄.
주003)
삼덕(三德):마하반야(摩訶般若)와 해탈(解脫)과 법신(法身).
주004)
샤:갖추어지셔서. -[具]+샤(주체존대 선어말어미)+아(연결어미).
주005)
셰샤:세우시어. 셔-[立]+ㅣ(사동접미사)+샤(주체존대 선어말어미)+아(연결어미).
주006)
깁고:깊고. ‘깊-→깁’은 8종성표기법에 따른 것.
주007)
너브실:넓으시므로. 넙-[廣]+으시-+ㄹ. ‘-ㄹ’는 이 책 이전에는 ‘ㄹ’로 적혔으나, 이 책에서부터 각자병서가 폐지됨.
주008)
바:바다. 중세국어 시기에는 ‘바’과 ‘바닿’이 공존하였음.
주009)
시니라:같으시니라. +-+시+니+라. 어간이 ‘/-’으로 나타기도 함. ‘-’는 ‘(부사)’에 ‘-’가 붙어 형성된 형용사인데, ‘니(+-+니)’와 같은 활용형에 대한 오분석의 결과 새로운 어간 ‘-’이 형성되었다. 이 ‘-’은 음절말에서는 8종성표기법에 의해 ‘-’으로 적힌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