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7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7집 하1의1
  • 5. 미륵보살장(彌勒菩薩章)
  • 1. 부처님께 드리는 질문
  • 1. 부처님께 드리는 질문 13
메뉴닫기 메뉴열기

1. 부처님께 드리는 질문 13


【경】 修佛菩提ㅣ 幾等差別이며

부텻 주001)
부텻:
부처의. 여기의 ‘부텻’은 ‘菩提’를 수식할 뿐, ‘닷곰’의 주체가 되지는 않음. 원문의 ‘修佛菩提’를 참조할 것. ‘-ㅅ’은 관형격 조사. 관형격 조사에는 ‘-ㅅ’과 ‘-/의’가 있었다. 일반적으로 무정체언 또는 높임의 대상인 체언 뒤에는 ‘-ㅅ’이, 평칭의 인칭 체언 뒤에서는 ‘-/의/ㅣ’가 쓰였다.
菩提 닷고미 주002)
닷고미:
닦음이.
주003)
몃:
몇. ‘몇→몃’은 8종성표기법.
等ㅅ 差別이며 주004)
이며:
‘幾等差別이며(몃 等ㅅ 差別이며)’는 앞의 ‘有’의 지배를 받음. 그러므로 ‘差別이며’를 ‘차별이 있으며’로 번역함.

부처의 보리 닦음이 몇 등급의 차별이며(=차별이 있으며),

【종밀주석】 法門無邊誓願學故ㅣ니 卽從假入空야 成

원각경언해 하1의1:5ㄴ

大智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法門 無邊을 호려 誓願시 젼니 곧 假 브터 空애 드러 大智 일우미라 주005)
일우미라:
이룸이다. 일-[成]+우(사동접미사)+움(명사형어미)+이+다/라(종결어미). 평서형 종결어미 ‘-다’와 ‘-라’의 대립은 상보적이다. ‘-라’는 ‘-오/우, -니-, -리-, -더-, -지-’ 등의 선어말어미와 서술격조사 뒤에서 쓰이고, ‘-다’는 ‘--, -거-, -시-, --, -도-, -ㅅ-, --’ 등의 선어말어미와 용언 어간 뒤에서 쓰인다.
【法門 無邊 等은 四弘誓中에 둘헤 주006)
둘헤:
둘에. 둟(二. ㅎ 종성체언)+에(부사격조사).
마키니 주007)
마키니:
해당하니. 배당되니. 이 ‘마키-’는 자동사와 타동사로 두루 쓰이는데, ‘막-[滯]+히(피동접미사)’로 이루어진 ‘마키-’와 동음이의어의 관계를 이룬다.
알 輪廻 그추믈 주008)
그추믈:
끊음을. 긏-[斷]+움(명사형어미)+을. ‘긏-’은 자동사와 타동사로 두루 쓰이는데, 여기서는 타동사로 쓰인 것. 사동접미사 ‘-우-’가 결합한 것으로 볼 수 없다. ‘긏-’에 결합하는 사동접미사는 ‘-이-’이기 때문이다.
묻오샤미 마 煩惱 無邊을 그추려 주009)
그추려:
끊으려. 긏-+오/우+리+어(종결어미). ‘煩惱 無邊을 그추려’가 ‘誓願’을 동격의 관계로 수식함. 수행동사 ‘(願)-’의 관형사형 ‘’의 개입이 없이 바로 피수식어와 연결된 것.
誓願에 當고 이제 菩提 닷곰 주010)
닷곰:
닦음. -[修]+옴(명사형어미).
묻오샤미 正히 이 無上 佛道 일우렷 주011)
일우렷:
이루려 하는. 일-[成]+우(사동접미사)+리(의도의 선어말어미)+어(종결어미)+ㅅ(관형격조사). ‘-ㅅ’이 문장 전체를 관형어화함.
誓願이니 種智 일우려 홀딘댄 반기 너비 주012)
너비:
널리. 넙-+이(부사파생접미사). 파생명사는 ‘넙-+의’로 구성된 ‘너븨’이다. 이른바 척도류 형용사에서 이런 대립이 나타난다. ‘기리 : 기릐, 기피 : 기픠, 노피 : 노, 키 : 킈’ 등. 그러나 파생명사 ‘기릐’는 ‘기리’로 나타나는 일이 있었다.
法門을 호릴 주013)
호릴:
배울 것이므로. 호-[學]+리(추측의 선어말어미)+ㄹ. ‘-ㄹ’는 이 책 이전에는 ‘ㄹ’로 적혔으나, 이 책에서부터 각자병서가 폐지됨.
묻 주014)
묻:
여쭈움. 묻-[問]+(겸양 선어말어미)+옴(명사형어미)+ㅅ(관형격조사). 묻〉묻옴.
中에 곧 이 願이 자피니 주015)
자피니:
잡히니. 잡-+히(피동접미사)+니. 《이조어사전》에서는 이 ‘잡-’의 뜻을 [어림하다. 짐작하다]로 파악하였는데, 그것은 ‘잡-’이 ‘約’의 번역으로 쓰인 데에 말미암은 것이다. 그러나 문맥으로 보면, ‘잡다’는 ‘추상적이거나 모호하여 인식하기 어려운 대상을 명시적으로 바라보거나 남에게 보여 주다’란 뜻을 지니는 것으로 생각된다.

원각경언해 하1의1:6ㄱ

에 드러 生 度脫호미 그 그리 절로 주016)
절로:
저절로. ‘저[自]+ㄹ(첨가음)+로(부사격조사)’가 부사로 굳어진 것.
나니 주017)
나니:
나타났으니. 낱-[現]+니.
四弘이 도다 주018)
도다:
갖추어졌도다. -[具]+도+다. 8종성표기법에 따른 것.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법문(法門) 무변(無邊)을 배우려 서원하시는 까닭이니, 곧 가(假)로부터 공(空)에 들어 대지(大智)를 이룸이다. 【법문 무변(法門 無邊) 등은 사홍서원 중에 둘에 해당하니, 앞에서 윤회를 끊음을 여쭈심이 이미 번뇌 무변을 끊으려 〈하는〉 서원에 해당하고, 지금 보리를 닦음을 여쭈심이 바로 이 무상의 불도를 이루려 하는 서원이니, 가지가지 지혜를 이루려 한다면 반드시 널리 법문(法門)을 배워야 할 것이므로 이 여쭈움 중에 곧 이 서원이 잡히니, 진(塵)에 들어 삶을 해탈함이 그 글이 저절로 나타나니, 사홍서원이 갖추어지도다.】
Ⓒ 역자 | 이유기 / 2005년 12월 23일

주석
주001)
부텻:부처의. 여기의 ‘부텻’은 ‘菩提’를 수식할 뿐, ‘닷곰’의 주체가 되지는 않음. 원문의 ‘修佛菩提’를 참조할 것. ‘-ㅅ’은 관형격 조사. 관형격 조사에는 ‘-ㅅ’과 ‘-/의’가 있었다. 일반적으로 무정체언 또는 높임의 대상인 체언 뒤에는 ‘-ㅅ’이, 평칭의 인칭 체언 뒤에서는 ‘-/의/ㅣ’가 쓰였다.
주002)
닷고미:닦음이.
주003)
몃:몇. ‘몇→몃’은 8종성표기법.
주004)
이며:‘幾等差別이며(몃 等ㅅ 差別이며)’는 앞의 ‘有’의 지배를 받음. 그러므로 ‘差別이며’를 ‘차별이 있으며’로 번역함.
주005)
일우미라:이룸이다. 일-[成]+우(사동접미사)+움(명사형어미)+이+다/라(종결어미). 평서형 종결어미 ‘-다’와 ‘-라’의 대립은 상보적이다. ‘-라’는 ‘-오/우, -니-, -리-, -더-, -지-’ 등의 선어말어미와 서술격조사 뒤에서 쓰이고, ‘-다’는 ‘--, -거-, -시-, --, -도-, -ㅅ-, --’ 등의 선어말어미와 용언 어간 뒤에서 쓰인다.
주006)
둘헤:둘에. 둟(二. ㅎ 종성체언)+에(부사격조사).
주007)
마키니:해당하니. 배당되니. 이 ‘마키-’는 자동사와 타동사로 두루 쓰이는데, ‘막-[滯]+히(피동접미사)’로 이루어진 ‘마키-’와 동음이의어의 관계를 이룬다.
주008)
그추믈:끊음을. 긏-[斷]+움(명사형어미)+을. ‘긏-’은 자동사와 타동사로 두루 쓰이는데, 여기서는 타동사로 쓰인 것. 사동접미사 ‘-우-’가 결합한 것으로 볼 수 없다. ‘긏-’에 결합하는 사동접미사는 ‘-이-’이기 때문이다.
주009)
그추려:끊으려. 긏-+오/우+리+어(종결어미). ‘煩惱 無邊을 그추려’가 ‘誓願’을 동격의 관계로 수식함. 수행동사 ‘(願)-’의 관형사형 ‘’의 개입이 없이 바로 피수식어와 연결된 것.
주010)
닷곰:닦음. -[修]+옴(명사형어미).
주011)
일우렷:이루려 하는. 일-[成]+우(사동접미사)+리(의도의 선어말어미)+어(종결어미)+ㅅ(관형격조사). ‘-ㅅ’이 문장 전체를 관형어화함.
주012)
너비:널리. 넙-+이(부사파생접미사). 파생명사는 ‘넙-+의’로 구성된 ‘너븨’이다. 이른바 척도류 형용사에서 이런 대립이 나타난다. ‘기리 : 기릐, 기피 : 기픠, 노피 : 노, 키 : 킈’ 등. 그러나 파생명사 ‘기릐’는 ‘기리’로 나타나는 일이 있었다.
주013)
호릴:배울 것이므로. 호-[學]+리(추측의 선어말어미)+ㄹ. ‘-ㄹ’는 이 책 이전에는 ‘ㄹ’로 적혔으나, 이 책에서부터 각자병서가 폐지됨.
주014)
묻:여쭈움. 묻-[問]+(겸양 선어말어미)+옴(명사형어미)+ㅅ(관형격조사). 묻〉묻옴.
주015)
자피니:잡히니. 잡-+히(피동접미사)+니. 《이조어사전》에서는 이 ‘잡-’의 뜻을 [어림하다. 짐작하다]로 파악하였는데, 그것은 ‘잡-’이 ‘約’의 번역으로 쓰인 데에 말미암은 것이다. 그러나 문맥으로 보면, ‘잡다’는 ‘추상적이거나 모호하여 인식하기 어려운 대상을 명시적으로 바라보거나 남에게 보여 주다’란 뜻을 지니는 것으로 생각된다.
주016)
절로:저절로. ‘저[自]+ㄹ(첨가음)+로(부사격조사)’가 부사로 굳어진 것.
주017)
나니:나타났으니. 낱-[現]+니.
주018)
도다:갖추어졌도다. -[具]+도+다. 8종성표기법에 따른 것.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