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7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7집 하1의2
  • 6. 청정혜보살장(淸淨慧菩薩章)
  • 4. 수행의 경지를 단계별로 말씀하심
  • 4-2) 중생의 근기 때문에 수행의 차별이 있음 가) 지위에 따른 점차적 수행 ④과위 7
메뉴닫기 메뉴열기

4-2) 중생의 근기 때문에 수행의 차별이 있음 가) 지위에 따른 점차적 수행 ④과위 7


【경】 諸戒定慧와 及淫怒癡ㅣ 俱是梵行이며

주001)
한:
많은. 하-[多]+ㄴ.
戒定慧 주002)
계정혜(戒定慧):
계율과 선정과 지혜.
와 淫과 怒와 癡왜 다 주003)
이:
이것이. 이(대명사)+∅(주격조사).
梵行 주004)
범행(梵行):
맑고 깨끗한 행실.
이며

많은 계정혜와 음(淫)과 노함과 어리석음이 다 이것이 범행이며,

【종밀주석】

원각경언해 하1의2:42ㄱ

六은 染淨對니 夫戒定慧ㅣ 翻於三毒니 三毒이 本空야 元是梵行이니라 諸法無行經에 云샤 貪欲이 卽是道ㅣ며 恚癡ㅣ 亦復然니 如是三事中에 有無量佛道ㅣ라 시니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여스슨 주005)
염(染):
더러움.
과 淨괏 對니 戒定慧ㅣ 三毒 주006)
삼독(三毒):
탐진치. 탐내고 화내고 어리석은 것.
 드위혀니 三毒이 本來 空야 本來 이 梵行이니라 諸法無行經에 니샤 貪欲이 곧 이 道ㅣ며 恚癡ㅣ  그러니 이  주007)
:
같은. +-+ㄴ. 어간이 ‘-’으로도 나타난다. ‘-’는 ‘(부사)’에 ‘-’가 붙어 형성된 형용사인데, ‘니(+-+니)’와 같은 활용형에 대한 오분석의 결과 새로운 어간 ‘-’이 형성되었다. 이 ‘-’은 음절말에서는 8종성표기법에 의해 ‘-’으로 적힌다.
주008)
잀:
일의. 일[事]+ㅅ(관형격조사). 관형격 조사에는 ‘-ㅅ’과 ‘-/의’가 있었다. 일반적으로 무정체언 또는 높임의 대상인 체언 뒤에는 ‘-ㅅ’이, 평칭의 인칭 체언 뒤에서는 ‘-/의/ㅣ’가 쓰였다.
中에 無量 佛道ㅣ 잇니라 시니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여섯은 더러움과 깨끗함의 대립이니, 계정혜가 삼독(三毒)을 뒤집으니, 삼독이 본래 공하여 본래 이것이 범행이니라. 제법무행경에서 이르시되, 탐욕이 곧 이것이 도이며 에치(성냄과 어리석음)가 또 그러하니, 이 같은 세 가지 일 중에 한없는 불도가 있느니라 하시니라.
Ⓒ 역자 | 이유기 / 2005년 12월 23일

주석
주001)
한:많은. 하-[多]+ㄴ.
주002)
계정혜(戒定慧):계율과 선정과 지혜.
주003)
이:이것이. 이(대명사)+∅(주격조사).
주004)
범행(梵行):맑고 깨끗한 행실.
주005)
염(染):더러움.
주006)
삼독(三毒):탐진치. 탐내고 화내고 어리석은 것.
주007)
:같은. +-+ㄴ. 어간이 ‘-’으로도 나타난다. ‘-’는 ‘(부사)’에 ‘-’가 붙어 형성된 형용사인데, ‘니(+-+니)’와 같은 활용형에 대한 오분석의 결과 새로운 어간 ‘-’이 형성되었다. 이 ‘-’은 음절말에서는 8종성표기법에 의해 ‘-’으로 적힌다.
주008)
잀:일의. 일[事]+ㅅ(관형격조사). 관형격 조사에는 ‘-ㅅ’과 ‘-/의’가 있었다. 일반적으로 무정체언 또는 높임의 대상인 체언 뒤에는 ‘-ㅅ’이, 평칭의 인칭 체언 뒤에서는 ‘-/의/ㅣ’가 쓰였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