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7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7집 하1의1
  • 5. 미륵보살장(彌勒菩薩章)
  • 4. 윤회의 근본을 밝혀주심
  • 4-1) 윤회에 대하여 말씀해주심 나) 윤회하는 중생의 다섯 종류 14
메뉴닫기 메뉴열기

4-1) 윤회에 대하여 말씀해주심 나) 윤회하는 중생의 다섯 종류 14


【경】 若事理障을 已永斷滅면 卽入如來微妙圓覺야 滿足菩提와 及大涅槃리라

다가 事와 理 주001)
왓:
-와의. 와(접속조사)+ㅅ(관형격조사).
障 마 永히 그처 주002)
그처:
그쳐. 끊어. 긏-[斷]+어(연결어미). ‘긏-’은 자동사로도 쓰이고 타동사로 쓰이는 이른바 능격동사.
滅면 곧 如來 微妙 圓覺애 드러 菩提와 大涅槃 滿足리라

만일 일(현상계)과 이(진여)의 두 장애를 이미 길이 끊어 없애면 곧 여래의 미묘 원각에 들어 보리와 대열반을 충만케 갖추리라.

【종밀주석】 此 約入地로 乃至果位샤 以辨其相故로 言永斷과 及菩提等이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이 地예 드니로 주003)
드니로:
들어온 이로(부터). 들-[入]+ㄴ(관형사형어미)+이(의존명사)+로(부사격조사).
果位예 니르리 주004)
니르리:
이르기까지. 니를-[至]+이(부사형어미).
자샤 그 相 실 니샤 永히 그춤과 주005)
그춤과:
끊음. 긏-[斷]+움(명사형어미)+과. 여기에 사동접미사 ‘-우-’가 들어있는 것으로 볼 수는 없다. ‘긏-’에 쓰이는 사동접미사는 ‘-이-’이다.
菩提 等이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이는 지
(地. 보살 수행의 계위)
에 들어온 이로부터 과위에 이르기까지 잡으시어 그 상을 분별하시므로 이르시되 길이 끊음과 보리 등이다.
Ⓒ 역자 | 이유기 / 2005년 12월 23일

주석
주001)
왓:-와의. 와(접속조사)+ㅅ(관형격조사).
주002)
그처:그쳐. 끊어. 긏-[斷]+어(연결어미). ‘긏-’은 자동사로도 쓰이고 타동사로 쓰이는 이른바 능격동사.
주003)
드니로:들어온 이로(부터). 들-[入]+ㄴ(관형사형어미)+이(의존명사)+로(부사격조사).
주004)
니르리:이르기까지. 니를-[至]+이(부사형어미).
주005)
그춤과:끊음. 긏-[斷]+움(명사형어미)+과. 여기에 사동접미사 ‘-우-’가 들어있는 것으로 볼 수는 없다. ‘긏-’에 쓰이는 사동접미사는 ‘-이-’이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