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7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7집 하1의1
  • 5. 미륵보살장(彌勒菩薩章)
  • 4. 윤회의 근본을 밝혀주심
  • 4-1) 윤회에 대하여 말씀해주심 나) 윤회하는 중생의 다섯 종류 16
메뉴닫기 메뉴열기

4-1) 윤회에 대하여 말씀해주심 나) 윤회하는 중생의 다섯 종류 16


【경】

원각경언해 하1의1:54ㄴ

逢善知識야 依彼所作因地法行 尒時脩習에 便有頓漸커니와

善知識을 맛나 주001)
맛나:
만나. 맞-[逢]+나-+아. 8종성표기법.
뎌의 주002)
뎌의:
저의. 그의. 뎌[彼]+의(관형격조사). 서술어가 관형사형을 취하였을 경우에는 주어 자리에 관형격조사가 나타남.
지 주003)
지:
지음. -[作]+오/우+ㄴ(관형사형어미).
因地 주004)
인지(因地):
성불하려고 수행하는 지위.
法行 브틀 그 주005)
:
때에. [時]+의(특수처소부사격조사). ‘-의’는 관형격 조사와 형태가 같은데, 이러한 특수처소부사격 조사를 취하는 체언은 정해져 있다. 대개 시간, 장소, 방향을 나타내는 체언이 특수처소부사격 조사를 취한다.
脩習호매 곧 頓과 漸괘 잇거니와

선지식을 만나 저(선지식)의 지은 인지 법행에 의거하므로(따르므로) 그 때에 수습함에 곧 돈(頓)과 점(漸)이 있거니와,

【종밀주석】 覺性이 雖圓나 遇敎ㅣ不同며 欣趣ㅣ 有異故ㅣ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覺性이 비록 두려우나 주006)
두려우나:
원만구족하나. 빠짐없으나. 두렵-[圓. 圓滿. 具足]+으나. 두려나〉두려우나. 근대국어 시기에 ‘두렷-’가 출현. [畏]를 뜻하는 어휘는 ‘두립-’임.
敎 맛나미 주007)
맛나미:
만남이. 맞-[逢]+나-+옴(명사형어미)+이. ‘나’는 평성인데 ‘-오/우-’와 결합하면서 ‘-오/우-’는 나타나지 않고 ‘나’가 상성으로 표기됨. /ㅏ, ㅓ, ㅗ, ㅜ/ 뒤에 ‘-오/우-’가 결합되면, ‘-오/우-’는 나타나지 않고, 이처럼 성조가 바뀐다.
디 아니며 즐겨 向호미 달오미 주008)
달오미:
다름이. 다-[異]+옴(명사형어미)+이.
잇 젼라【닐오 여희여 나 주009)
나:
(벗어)남을. 나-[出]+옴(명사형어미)+(목적격조사). ‘-오-’는 나타나지 않고 ‘나’가 상성으로 표기됨.
즐겨 解脫 向며 佛果 즐겨

원각경언해 하1의1:55ㄱ

行位예 向홈 히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각성이 비록 원만구족하나 가르침을 만남이 같지 아니하며 즐겨 향함이 다름이 있는 까닭이다.【이르되 벗어남을 즐겨 해탈을 향하며 불과를 즐겨 행위에 향함 등이다.】
Ⓒ 역자 | 이유기 / 2005년 12월 23일

주석
주001)
맛나:만나. 맞-[逢]+나-+아. 8종성표기법.
주002)
뎌의:저의. 그의. 뎌[彼]+의(관형격조사). 서술어가 관형사형을 취하였을 경우에는 주어 자리에 관형격조사가 나타남.
주003)
지:지음. -[作]+오/우+ㄴ(관형사형어미).
주004)
인지(因地):성불하려고 수행하는 지위.
주005)
:때에. [時]+의(특수처소부사격조사). ‘-의’는 관형격 조사와 형태가 같은데, 이러한 특수처소부사격 조사를 취하는 체언은 정해져 있다. 대개 시간, 장소, 방향을 나타내는 체언이 특수처소부사격 조사를 취한다.
주006)
두려우나:원만구족하나. 빠짐없으나. 두렵-[圓. 圓滿. 具足]+으나. 두려나〉두려우나. 근대국어 시기에 ‘두렷-’가 출현. [畏]를 뜻하는 어휘는 ‘두립-’임.
주007)
맛나미:만남이. 맞-[逢]+나-+옴(명사형어미)+이. ‘나’는 평성인데 ‘-오/우-’와 결합하면서 ‘-오/우-’는 나타나지 않고 ‘나’가 상성으로 표기됨. /ㅏ, ㅓ, ㅗ, ㅜ/ 뒤에 ‘-오/우-’가 결합되면, ‘-오/우-’는 나타나지 않고, 이처럼 성조가 바뀐다.
주008)
달오미:다름이. 다-[異]+옴(명사형어미)+이.
주009)
나:(벗어)남을. 나-[出]+옴(명사형어미)+(목적격조사). ‘-오-’는 나타나지 않고 ‘나’가 상성으로 표기됨.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