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7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7집 하1의1
  • 5. 미륵보살장(彌勒菩薩章)
  • 4. 윤회의 근본을 밝혀주심
  • 4-2) 대비와 지혜를 말씀하심 3
메뉴닫기 메뉴열기

4-2) 대비와 지혜를 말씀하심 3


【경】 逆順境界예

逆과 順괏 境界 주001)
경계(境界):
세력이 미치는 범위, 또는 그것이 구분되는 지점.

거스름과 따름의 경계에

【종밀주석】 論애 云호 或爲眷屬親友며 或爲怨家야 能令衆生으로 增長善根니 若見苦聞에 得利益故ㅣ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論애 닐오 시혹 眷屬과 親 버디 주002)
버디:
벋[友]+이. ‘벋〉벗’의 변화는 근대국어 시기에 발생하는데, ‘〉, 붇〉붓’과 비례한다.
외며 시혹 怨讐ㅣ 외야 能

원각경언해 하1의1:61ㄱ

히 衆生로 善根을 길우게 주003)
길우게:
크게 하게. ‘길다’의 사동사에는 두 가지가 있는데, 그 의미가 다르다. 길우다(=길게 하다) : 기르다/기다(=양육하다). 〈참고〉 일우다(=이루다) : 이르다/이다(=만들다). 살이다(=살게 하다) : 사다(=‘죽이다’의 반의어).
니 다가 봄과 주004)
봄과:
보는 것과. ·보(어간. 거성)+옴(명사형어미)→:봄(상성). /ㅏ, ㅓ, ㅗ, ㅜ/ 뒤에 ‘-오/우-’가 결합되면, ‘-오/우-’는 나타나지 않고, 이처럼 성조가 바뀐다. [春]을 뜻하는 ‘·봄’은 거성이다.
다가 드로매 利益을 得게 논 젼라【시혹 眷屬과 親 벋과 외요 順 境이니 주005)
혀:
끌어. 혀-[引]+어.
드리고 주006)
드리고:
들이고. 들-[入]+이(사동접미사)+고.
怨讐 逆 境이니 저혀 주007)
저혀:
두려워하게 하여. 젛-[畏]+이(사동접미사)+어.
들에 주008)
들에:
들어오게. 들-[入]+게/에(연결어미). /ㄹ/ 뒤에서 /ㄱ/ 탈락.
니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논에 이르되 혹 권속과 친한 벗이 되며 혹 원수가 되어 능히 중생으로 〈하여금〉 선근을 크게 하게 하나니, 만일 보는 것과 혹 들음에 〈있어서〉 이익을 얻게 하는 까닭이다【혹 권속과 친한 벗이 됨은 따르는 대경이니 끌어 들이고, 원수는 거스르는 대경이니 두려워하게 하여 들게 하느니라.】
Ⓒ 역자 | 이유기 / 2005년 12월 23일

주석
주001)
경계(境界):세력이 미치는 범위, 또는 그것이 구분되는 지점.
주002)
버디:벋[友]+이. ‘벋〉벗’의 변화는 근대국어 시기에 발생하는데, ‘〉, 붇〉붓’과 비례한다.
주003)
길우게:크게 하게. ‘길다’의 사동사에는 두 가지가 있는데, 그 의미가 다르다. 길우다(=길게 하다) : 기르다/기다(=양육하다). 〈참고〉 일우다(=이루다) : 이르다/이다(=만들다). 살이다(=살게 하다) : 사다(=‘죽이다’의 반의어).
주004)
봄과:보는 것과. ·보(어간. 거성)+옴(명사형어미)→:봄(상성). /ㅏ, ㅓ, ㅗ, ㅜ/ 뒤에 ‘-오/우-’가 결합되면, ‘-오/우-’는 나타나지 않고, 이처럼 성조가 바뀐다. [春]을 뜻하는 ‘·봄’은 거성이다.
주005)
혀:끌어. 혀-[引]+어.
주006)
드리고:들이고. 들-[入]+이(사동접미사)+고.
주007)
저혀:두려워하게 하여. 젛-[畏]+이(사동접미사)+어.
주008)
들에:들어오게. 들-[入]+게/에(연결어미). /ㄹ/ 뒤에서 /ㄱ/ 탈락.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