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7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7집 하1의2
  • 6. 청정혜보살장(淸淨慧菩薩章)
  • 4. 수행의 경지를 단계별로 말씀하심
  • 4-2) 중생의 근기 때문에 수행의 차별이 있음 가) 지위에 따른 점차적 수행 ④과위 10
메뉴닫기 메뉴열기

4-2) 중생의 근기 때문에 수행의 차별이 있음 가) 지위에 따른 점차적 수행 ④과위 10


【경】 一切煩惱ㅣ 畢竟解脫이니

一切 煩惱ㅣ 畢竟  解脫 주001)
해탈(解脫):
번뇌의 속박을 풀어 과거·현재·미래의 업고에서 벗어남.
이니

일체 번뇌가 필경에는 한 해탈이니,

【종밀주석】

원각경언해 하1의2:44ㄴ

十은 縛解對니 佛頂經에 云샤 根塵이 同源며 縛脫이 無二며 識性虛妄이 猶如空華ㅣ라 시니라 然이나 煩惱ㅣ 依識니 識性이 旣空커니 煩惱ㅣ 何縛이리오 上之十對ㅣ 名相이 雖異나 其意ㅣ 不殊니 但緣佛이 證覺心샤 心無取捨故로 得諸法이 普同圓妙시니 故로 今에 但各引例而已시고 不更一一推求相卽無礙之由시니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원각경언해 하1의2:45ㄱ

열흔 욤과 주002)
욤과:
매임과. -[縛]+이(피동접미사)+옴(명사형어미)+과.
버숨괏 주003)
버숨괏:
벗어남과의. 벗-[脫]+움(명사형어미)+과+ㅅ(관형격조사).
對니 佛頂經에 니샤 根과 塵 주004)
근진(根塵):
눈, 귀, 코, 혀, 몸의 5근과, 빛, 소리, 냄새, 맛, 촉감의 5진.
괘 根源이 며 욤과 버숨괘 둘 업스며 識性이 虛妄호미 空華 다 시니라 그러나 煩惱ㅣ 識을 브트니 識性이 마 空커니 煩惱ㅣ 엇뎨 리오 우흿 주005)
우흿:
위의. 웋+의(부사격조사)+ㅅ(관형격조사). ‘-의’는 관형격 조사와 형태가 같은데, 이러한 특수처소부사격 조사를 취하는 체언은 정해져 있다. 대개 시간, 장소, 방향을 나타내는 체언이 특수처소부사격 조사를 취한다. ‘우흿’은 ‘웃’으로 나타나기도 하는데, 이것은 ‘웋+ㅅ’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十對ㅣ 名相이 비록 다나 그 디 다디 아니니 오직 부톄 覺心을 證샤 매 取홈과 룜 업스신 젼로 諸法이 너비 圓妙애 호 得시니 그럴 이제 오직 各各 例를 혀실 미시고 외야 一一히 서르 卽며 룜 업슨 젼 자 求티 아니시니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열은 얽어매임과 벗어남과의 대립이니, 불정경에서 이르시되, 근과 진이 근원이 같으며 얽어매임과 벗어남이 둘이 없으며 식성이 허망함이 허공의 꽃과 같다 하시니라. 그러나 번뇌가 식에 의거하니, 식성이 이미 공하거니 번뇌가 어찌 매리오? 위의 열 가지 대립이 명상이 비록 다르나 그 뜻이 다르지 아니하니, 오직 부처께서 각심을 증하셔서 마음에 취함과 버림이 없으신 까닭으로 제법이 널리 원묘와 같음을 얻으시니, 그러므로 이제 오직 각각 보기를 끌어오신 것일 따름이시고 다시 일일이 서로 즉하며 가림이 없는 까닭을 찾아 구하지 아니하시니라.
Ⓒ 역자 | 이유기 / 2005년 12월 23일

주석
주001)
해탈(解脫):번뇌의 속박을 풀어 과거·현재·미래의 업고에서 벗어남.
주002)
욤과:매임과. -[縛]+이(피동접미사)+옴(명사형어미)+과.
주003)
버숨괏:벗어남과의. 벗-[脫]+움(명사형어미)+과+ㅅ(관형격조사).
주004)
근진(根塵):눈, 귀, 코, 혀, 몸의 5근과, 빛, 소리, 냄새, 맛, 촉감의 5진.
주005)
우흿:위의. 웋+의(부사격조사)+ㅅ(관형격조사). ‘-의’는 관형격 조사와 형태가 같은데, 이러한 특수처소부사격 조사를 취하는 체언은 정해져 있다. 대개 시간, 장소, 방향을 나타내는 체언이 특수처소부사격 조사를 취한다. ‘우흿’은 ‘웃’으로 나타나기도 하는데, 이것은 ‘웋+ㅅ’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