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7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7집 하1의2
  • 6. 청정혜보살장(淸淨慧菩薩章)
  • 4. 수행의 경지를 단계별로 말씀하심
  • 4-2) 중생의 근기 때문에 수행의 차별이 있음 3
메뉴닫기 메뉴열기

4-2) 중생의 근기 때문에 수행의 차별이 있음 3


【경】 於滅未滅와

滅와 주001)
몯:
못. 부정 부사. 중세국어에서는 보조용언 구성인 ‘-디 못-’나 ‘-디 아니-’ 부정(장형 부정)보다 부정 부사 ‘못, 아니’에 의한 장형 부정이 현대국어에서보다 더 일반적으로 쓰였다.
滅홈과

없앰과 없애지 못함과

【종밀주석】 卽論四位中엣 前三이니 覺前고 不覺後也ㅣ니 謂障習이 漸盡호미 如一分塵이 盡면一

원각경언해 하1의2:10ㄱ

分鏡이 明니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곧 論ㅅ 四位中엣 주002)
앏:
앞. ‘앒→앏’은 8종성 표기법.
세히니 알 알오 주003)
알오:
알고. 알-+고. 연결어미 ‘-고’가 /ㄱ/ 약화를 거쳐 ‘-오’로 교체된 것. /ㄱ/은 서술격조사와 /ㄹ/ 및 하향이중모음의 음절부음 [j] 뒤에서 약화 되어 ‘ㅇ’으로 표기됨. /ㄱ/이 약화된 ‘ㅇ’은 유성성문(후두)마찰음 [ɦ]을 표기한 것. 이 때의 ‘ㅇ’은 자음을 표기한 것이므로 연철되거나, 모음 /ㅣ/의 영향을 입어 ‘요’로 변화하지 않는다.
後를 아디 몯호미니 닐오 障習이 漸漸 다오미 주004)
다오미:
다함이. 다-[盡]+옴(명사형어미)+이.
 分ㅅ 듣그리 다면  分ㅅ 거우뤼 주005)
거우뤼:
거울이. 거우루+이(주격조사). ‘거우루’는 ‘거우로’로도 나타남. 근대국어 시기 이후 어말 모음이 탈락하여 ‘거올, 거울’이 등장.
니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곧 논의 사위 중의 앞 셋이니, 앞을 알고 뒤를 알지 못함이니, 말하자면 장습이 점점 다함이 한 푼의 티끌이 다하면 한 푼의
(그만큼의)
거울이 밝듯 하니라.
Ⓒ 역자 | 이유기 / 2005년 12월 23일

주석
주001)
몯:못. 부정 부사. 중세국어에서는 보조용언 구성인 ‘-디 못-’나 ‘-디 아니-’ 부정(장형 부정)보다 부정 부사 ‘못, 아니’에 의한 장형 부정이 현대국어에서보다 더 일반적으로 쓰였다.
주002)
앏:앞. ‘앒→앏’은 8종성 표기법.
주003)
알오:알고. 알-+고. 연결어미 ‘-고’가 /ㄱ/ 약화를 거쳐 ‘-오’로 교체된 것. /ㄱ/은 서술격조사와 /ㄹ/ 및 하향이중모음의 음절부음 [j] 뒤에서 약화 되어 ‘ㅇ’으로 표기됨. /ㄱ/이 약화된 ‘ㅇ’은 유성성문(후두)마찰음 [ɦ]을 표기한 것. 이 때의 ‘ㅇ’은 자음을 표기한 것이므로 연철되거나, 모음 /ㅣ/의 영향을 입어 ‘요’로 변화하지 않는다.
주004)
다오미:다함이. 다-[盡]+옴(명사형어미)+이.
주005)
거우뤼:거울이. 거우루+이(주격조사). ‘거우루’는 ‘거우로’로도 나타남. 근대국어 시기 이후 어말 모음이 탈락하여 ‘거올, 거울’이 등장.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