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7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7집 하1의2
  • 6. 청정혜보살장(淸淨慧菩薩章)
  • 4. 수행의 경지를 단계별로 말씀하심
  • 4-2) 중생의 근기 때문에 수행의 차별이 있음 가) 지위에 따른 점차적 수행 ③ 성위 6
메뉴닫기 메뉴열기

4-2) 중생의 근기 때문에 수행의 차별이 있음 가) 지위에 따른 점차적 수행 ③ 성위 6


【종밀주석】 次 喩ㅣ오

버건 주001)
버건:
다음으로는. 벅-[次]+어(연결어미)+ㄴ(보조사). 이 어휘의 어간은 ‘버그-’가 아니라 ‘벅-’이다. ‘벅게코져’(圓覺 상1-2:75ㄴ)를 참조할 것.
가비샤미오

다음에 가서는 비유하심이고,

【경】 譬如有人이 自斷其首야 首已斷故로 無能斷者니

가비건댄 사미 주002)
제:
제가. 스스로가. 저절로. ‘제’는 격에 따라 성조가 구별된다. :제(주격), 제(관형격). 여기서는 거성(1점)으로 보이나, 각완일 것이다.
그 머리 버히야 머리 마 비흘 주003)
비흘:
‘빟-’은 [뿌리다]를 뜻하는 동사이다. ‘버힐’의 오기일 가능성이 있다. ‘-ㄹ’는 이 책 이전에는 ‘ㄹ’로 적혔으나, 이 책에서부터 각자병서가 폐지됨.
能히 버히리 업스니

비유하건대 사람이 스스로 그 머리를 베듯하여, 머리를 이미 베었으므로 능히 〈다시〉 벨 수 있는 사람이 없으니,

【종밀주석】 如把刀劍야 自斷其頭 니 頭未落時옌 卽無能斷之義고 頭若已落면 復無能斷之人니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원각경언해 하1의2:31ㄱ

갈 주004)
갈:
칼을. 갏(刀. ㅎ 종성체언)+.
자바 주005)
자바:
잡아. 잡-[把]+아. 이 책에 쓰인 대부분의 ‘잡다’는 ‘約’의 번역으로 쓰였음.
제 그 머리 버히니 머리 디디 주006)
디디:
떨어지지. 디-[落]+디(보조적 연결어미). 현대국어의 보조적 연결어미 ‘-지’와 종결어미 ‘-지’는 그 기원이 서로 다르다. 전자는 ‘-디’의 발달형이고, 후자는 ‘-디’의 발달형이다. ‘-디’는 ‘~하면 했지’의 뜻을 지니면서 종속절을 구성한다.
아니 時節엔 곧 能히 버힌  업고 머리 다가 마 디면 외야 能히 버힐 사 업스니라【이 眞을 證티 몯 時節엔 곧 能히 證  업고 眞을 다가 마 證면 眞 밧긔 주007)
밧긔:
밖에. +의(특수처소부사격조사). ‘-의’는 관형격 조사와 형태가 같은데, 이러한 특수처소부사격 조사를 취하는 체언은 정해져 있다. 대개 시간, 장소, 방향을 나타내는 체언이 특수처소부사격 조사를 취한다.
외야 各別히 能히 證 智ㅣ 眞에 다 것 업수믈 가비시니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칼을 잡아 스스로 그 머리를 베듯하니, 머리가 떨어지지 않은 때에는 곧 능히 벤 뜻이 없고 머리가 만일 이미 떨어지면 다시 능히 벨 사람이 없느니라【이는 진실을 깨닫지 못한 때에는 곧 능히 깨달을 뜻이 없고 진실을 만일 이미 깨달으면 진실 밖에 다시 별도로 능히 깨달은 지혜가 진실과 다른 것 없음을 비유하신 것이다.】.
Ⓒ 역자 | 이유기 / 2005년 12월 23일

주석
주001)
버건:다음으로는. 벅-[次]+어(연결어미)+ㄴ(보조사). 이 어휘의 어간은 ‘버그-’가 아니라 ‘벅-’이다. ‘벅게코져’(圓覺 상1-2:75ㄴ)를 참조할 것.
주002)
제:제가. 스스로가. 저절로. ‘제’는 격에 따라 성조가 구별된다. :제(주격), 제(관형격). 여기서는 거성(1점)으로 보이나, 각완일 것이다.
주003)
비흘:‘빟-’은 [뿌리다]를 뜻하는 동사이다. ‘버힐’의 오기일 가능성이 있다. ‘-ㄹ’는 이 책 이전에는 ‘ㄹ’로 적혔으나, 이 책에서부터 각자병서가 폐지됨.
주004)
갈:칼을. 갏(刀. ㅎ 종성체언)+.
주005)
자바:잡아. 잡-[把]+아. 이 책에 쓰인 대부분의 ‘잡다’는 ‘約’의 번역으로 쓰였음.
주006)
디디:떨어지지. 디-[落]+디(보조적 연결어미). 현대국어의 보조적 연결어미 ‘-지’와 종결어미 ‘-지’는 그 기원이 서로 다르다. 전자는 ‘-디’의 발달형이고, 후자는 ‘-디’의 발달형이다. ‘-디’는 ‘~하면 했지’의 뜻을 지니면서 종속절을 구성한다.
주007)
밧긔:밖에. +의(특수처소부사격조사). ‘-의’는 관형격 조사와 형태가 같은데, 이러한 특수처소부사격 조사를 취하는 체언은 정해져 있다. 대개 시간, 장소, 방향을 나타내는 체언이 특수처소부사격 조사를 취한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