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7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7집 하1의1
  • 5. 미륵보살장(彌勒菩薩章)
  • 4. 윤회의 근본을 밝혀주심
  • 4-1) 윤회에 대하여 말씀해주심 가) 윤회의 근본과 곁가지 ① 끊어야 할 대상을 보여주심 11
메뉴닫기 메뉴열기

4-1) 윤회에 대하여 말씀해주심 가) 윤회의 근본과 곁가지 ① 끊어야 할 대상을 보여주심 11


【경】 是故로 復生地獄餓鬼며

그럴 주001)
그럴:
그러므로. ‘그러’에서 ‘-’가 탈락한 것일 가능성도 있으나, ‘그러-’가 어간 자격을 가지고 어미 ‘-ㄹ’와 결합한 것일 가능성이 크다. ‘-ㄹ’는 이 책 이전에는 ‘ㄹ’로 적혔으나, 이 책에서부터 각자병서가 폐지됨.
 地獄과 餓鬼왜 나며

그러므로 또 지옥과 아귀가 생겨나며,

【종밀주석】

원각경언해 하1의1:28ㄴ

三惡報也ㅣ라 無畜生者 取其文潤成句시니 以二로 例知니라 亦可翻譯傳寫ㅣ 脫漏ㅣ언 義必合有ㅣ니 故로 華嚴에 云샤 十不善業道ㅣ 上者 地獄因이오 中者 畜生因이오 下者 餓鬼因이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三惡報ㅣ라 畜生 업수믄 文이 빗나 주002)
빗나:
빛나. 빛+나-+아(연결어미).
이루믈 주003)
이루믈:
이룸을. 일-[成]+우(사동접미사)+움(명사형어미)+을. ‘일-+우’는 ‘일우-’로 적히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 책에서는 ‘이루-’로 적히기도 함.
取시니 둘흐로 주004)
둘흐로:
둘로. 둟(ㅎ 종성체언)+으로.
例야 아롤 디니라  어루 翻譯과 傳야 수미 주005)
수미:
씀이. 스-[書寫]+움(명사형어미)+이. 이 책에서부터 각자병서가 폐지됨에 따라 ‘쓰-’가 ‘스-’로 나타남.
주006)
딜:
‘脫漏’의 번역이다. ‘디-+ㄹ’의 구조로 보이나, ‘-어#디다’ 구성(피동 표현)의 관형사형 ‘-어딜’에서 앞 요소가 실수로 사라진 것일 가능성이 있다.
니언 디 반기 이쇼미 맛니 그럴 華嚴에 니샤 열 不善業道ㅣ 上 地獄因이오 中은 畜生因이

원각경언해 하1의1:29ㄱ

오 下 餓鬼因이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이것은〉 삼악보이다. 축생도가 없음은 글이 빛나 구(句) 이룸을 취하신 것이니, 둘로 예
(=보기)
로 삼아 알지니라. 또 가히 번역과 전하여 쓰는 것이 〈불완전하여〉 샐 뿐일지언정 뜻이 반드시 있음이 마땅하니, 그러므로 화엄경에서 이르시되, 열 가지 불선업도가 위는 지옥인이고 가운데는 축생인이고 아래는 아귀인이다.
Ⓒ 역자 | 이유기 / 2005년 12월 23일

주석
주001)
그럴:그러므로. ‘그러’에서 ‘-’가 탈락한 것일 가능성도 있으나, ‘그러-’가 어간 자격을 가지고 어미 ‘-ㄹ’와 결합한 것일 가능성이 크다. ‘-ㄹ’는 이 책 이전에는 ‘ㄹ’로 적혔으나, 이 책에서부터 각자병서가 폐지됨.
주002)
빗나:빛나. 빛+나-+아(연결어미).
주003)
이루믈:이룸을. 일-[成]+우(사동접미사)+움(명사형어미)+을. ‘일-+우’는 ‘일우-’로 적히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 책에서는 ‘이루-’로 적히기도 함.
주004)
둘흐로:둘로. 둟(ㅎ 종성체언)+으로.
주005)
수미:씀이. 스-[書寫]+움(명사형어미)+이. 이 책에서부터 각자병서가 폐지됨에 따라 ‘쓰-’가 ‘스-’로 나타남.
주006)
딜:‘脫漏’의 번역이다. ‘디-+ㄹ’의 구조로 보이나, ‘-어#디다’ 구성(피동 표현)의 관형사형 ‘-어딜’에서 앞 요소가 실수로 사라진 것일 가능성이 있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