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7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7집 하1의1
  • 5. 미륵보살장(彌勒菩薩章)
  • 4. 윤회의 근본을 밝혀주심
  • 4-1) 윤회에 대하여 말씀해주심 가) 윤회의 근본과 곁가지 ① 끊어야 할 대상을 보여주심 6
메뉴닫기 메뉴열기

4-1) 윤회에 대하여 말씀해주심 가) 윤회의 근본과 곁가지 ① 끊어야 할 대상을 보여주심 6


【경】 是故로 能令生死ㅣ 相續게 니

그럴 주001)
그럴:
그러므로. ‘그러-’에서 ‘’가 탈락한 것일 수도 있으나, ‘-’와 결합하지 않은 ‘그러-’가 어간일 가능성도 있다. ‘-ㄹ’는 이 책 이전에는 ‘ㄹ’로 적혔으나, 이 책에서부터 각자병서가 폐지됨.
能히 生死ㅣ 서르 닛게 주002)
닛게:
이어지게. -[續]+게. ‘ㅿ→ㅅ’은 8종성표기법.
니

그러므로 능히 생사가 서로 이어지게 하나니,

【종밀주석】

원각경언해 하1의1:24ㄴ

由外塵欲야 牽起愛心며 亦由愛心야 貪著於欲니 貪欲故로 造業고 造業故로 受報야 由此生死不斷니 故로 肇論애 云호 衆生所以久流轉者 皆由著欲故也ㅣ니 若欲止於心면 則無復生死야 潛神玄黙야 與虛空合其德리니 是名涅槃이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밧긧 주003)
밧긧:
밖의. [外]+의(특수처소부사격조사)+ㅅ(관형격조사). ‘-/의’는 관형격 조사와 형태가 같은데, 이러한 특수처소부사격 조사를 취하는 체언은 정해져 있다. 대개 시간, 장소, 방향을 나타내는 체언이 특수처소부사격 조사를 취한다.
듣긄 주004)
듣글:
티끌. 번뇌를 상징함.
欲브터 愛心을 주005)
혀:
끌어당겨. 혀-[引]+어(연결어미).
니르와며 주006)
니르와며:
일으키며. 닐-[起]+(사동접미사)+왇(강조 접미사)+며.
 愛心 브터 欲애 貪著니 欲 貪 業을 짓고 業을 지 報 受야 이 브터 生死ㅣ 긋디 아니니 그럴 肇論 주007)
조론(肇論):
후진(後秦)의 승조(僧肇)가 지은 책. 언어와 사려(思慮)가 끊어진 절대적 묘공(妙空)의 이치를 설함.
애 닐오 衆生이

원각경언해 하1의1:25ㄱ

오래 주008)
오래:
오래. 오라-[久]+ㅣ(부사파생접미사).
흘러 그우루믄 주009)
그우루믄:
구름은. 그울-+움(명사형어미)+은.
다 欲애 著 젼니 다가 欲이 매 그츠면 외야 生死ㅣ 업서 기프며 괴외 주010)
괴외:
고요한. ‘괴외’의 발음은 [koj-oj]. 이것이 ‘괴’로 적히기도 하는데, 실제 발음은 거의 같다. ‘’의 음절부음 [j]가 탈락한 ‘고요’도 쓰였음.
주011)
:
곳에. (의존명사)+∅(특수처소부사격조사). 음절부음 [j]로 끝나는 체언 중 시간이나 장소를 나타내는 말 뒤에는 부사격 조사(관형격 조사) ‘-/의’가 나타나지 않는다.
神이 수머 虛空과 그 德이 어울리니 이 일후미 涅槃이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밖의 티끌 욕심을 말미암아 애심(愛心)을 끌어 일으키며, 또 애심을 말미암아 욕심에 탐착(貪著)하나니 욕심을 탐하므로 업을 짓고 업을 지으므로 과보를 받아서 이로부터 생사가 그치지 아니하나니, 그러므로 조론에서 말하기를, 중생이 오래 유전함은 다 욕심에 탐착한 까닭이니, 만일 욕심이 마음에 그치면 다시 생사가 없어 깊으며 고요한 데 귀신이 숨어 허공과 그 덕이 어울리니, 이 이름이 열반이다.
Ⓒ 역자 | 이유기 / 2005년 12월 23일

주석
주001)
그럴:그러므로. ‘그러-’에서 ‘’가 탈락한 것일 수도 있으나, ‘-’와 결합하지 않은 ‘그러-’가 어간일 가능성도 있다. ‘-ㄹ’는 이 책 이전에는 ‘ㄹ’로 적혔으나, 이 책에서부터 각자병서가 폐지됨.
주002)
닛게:이어지게. -[續]+게. ‘ㅿ→ㅅ’은 8종성표기법.
주003)
밧긧:밖의. [外]+의(특수처소부사격조사)+ㅅ(관형격조사). ‘-/의’는 관형격 조사와 형태가 같은데, 이러한 특수처소부사격 조사를 취하는 체언은 정해져 있다. 대개 시간, 장소, 방향을 나타내는 체언이 특수처소부사격 조사를 취한다.
주004)
듣글:티끌. 번뇌를 상징함.
주005)
혀:끌어당겨. 혀-[引]+어(연결어미).
주006)
니르와며:일으키며. 닐-[起]+(사동접미사)+왇(강조 접미사)+며.
주007)
조론(肇論):후진(後秦)의 승조(僧肇)가 지은 책. 언어와 사려(思慮)가 끊어진 절대적 묘공(妙空)의 이치를 설함.
주008)
오래:오래. 오라-[久]+ㅣ(부사파생접미사).
주009)
그우루믄:구름은. 그울-+움(명사형어미)+은.
주010)
괴외:고요한. ‘괴외’의 발음은 [koj-oj]. 이것이 ‘괴’로 적히기도 하는데, 실제 발음은 거의 같다. ‘’의 음절부음 [j]가 탈락한 ‘고요’도 쓰였음.
주011)
:곳에. (의존명사)+∅(특수처소부사격조사). 음절부음 [j]로 끝나는 체언 중 시간이나 장소를 나타내는 말 뒤에는 부사격 조사(관형격 조사) ‘-/의’가 나타나지 않는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