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7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7집 하1의2
  • 6. 청정혜보살장(淸淨慧菩薩章)
  • 4. 수행의 경지를 단계별로 말씀하심
  • 4-2) 중생의 근기 때문에 수행의 차별이 있음 가) 지위에 따른 점차적 수행 ① 신위 1
메뉴닫기 메뉴열기

4-2) 중생의 근기 때문에 수행의 차별이 있음 가) 지위에 따른 점차적 수행 ① 신위 1


【경】 善男子아 一切衆生이 從無始來예

善男子아 一切 衆生이 無始브터 오매 주001)
오매:
옴에. 한문 ‘-來’의 직역. 국어에서는 번역하지 않는 것이 자연스럽다.

선남자야, 일체 중생이 무시부터 옴에,

【종밀주석】 此初一段이 夫入信位호 所以有此文者

원각경언해 하1의2:17ㄴ

 不約凡迷시면 卽無位地릴 故로 先標此시고 翻之샤 彰信시니 卽論文엣 翻四相야 成四位之謂也ㅣ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이 첫 一段이 信位예 드디 주002)
드디:
들지. 들어가지. 들-[入]+디(보조적 연결어미). /ㄷ/ 앞에서 /ㄹ/ 탈락.
몯호 이 文이 이쇼 凡迷를 잡디 주003)
잡디:
잡지. 잡-+디(보조적 연결어미). 현대국어의 보조적 연결어미 ‘-지’와 종결어미 ‘-지’는 그 기원이 서로 다르다. 전자는 ‘-디’의 발달형이고, 후자는 ‘-디’의 발달형이다. ‘-디’는 ‘~하면 했지’의 뜻을 지니면서 종속절을 구성한다.
아니시면 곧 位地 업스릴 몬져 이 標시고 드위혀샤 주004)
드위혀샤:
뒤쳐서. 드위-[飜]+혀-[引]+샤(주체존대 선어말어미)+아. ‘-’는 이 책에서부터 각자병서가 폐지되어 ‘혀-’로 적힘.
信을 기시니 주005)
기시니:
밝히시니. -[明]+이(사동접미사)+시+니.
곧 論文엣 四相을 드위혀 四位 외요 닐오미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이 첫 일단이 신위에 들지 못하되 이 글이 있음은 범미를 잡지 아니하시면 곧 위지가 없을 것이므로 먼저 이를 지표로서 드러내 보이시고 뒤쳐서 믿음을 밝히시니, 곧 논문의 사상을 뒤쳐서 사위가 됨을 말함이다.
Ⓒ 역자 | 이유기 / 2005년 12월 23일

주석
주001)
오매:옴에. 한문 ‘-來’의 직역. 국어에서는 번역하지 않는 것이 자연스럽다.
주002)
드디:들지. 들어가지. 들-[入]+디(보조적 연결어미). /ㄷ/ 앞에서 /ㄹ/ 탈락.
주003)
잡디:잡지. 잡-+디(보조적 연결어미). 현대국어의 보조적 연결어미 ‘-지’와 종결어미 ‘-지’는 그 기원이 서로 다르다. 전자는 ‘-디’의 발달형이고, 후자는 ‘-디’의 발달형이다. ‘-디’는 ‘~하면 했지’의 뜻을 지니면서 종속절을 구성한다.
주004)
드위혀샤:뒤쳐서. 드위-[飜]+혀-[引]+샤(주체존대 선어말어미)+아. ‘-’는 이 책에서부터 각자병서가 폐지되어 ‘혀-’로 적힘.
주005)
기시니:밝히시니. -[明]+이(사동접미사)+시+니.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