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7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7집 하1의1
  • 5. 미륵보살장(彌勒菩薩章)
  • 4. 윤회의 근본을 밝혀주심
  • 4-1) 윤회에 대하여 말씀해주심 나) 윤회하는 중생의 다섯 종류 9
메뉴닫기 메뉴열기

4-1) 윤회에 대하여 말씀해주심 나) 윤회하는 중생의 다섯 종류 9


【경】 若諸衆生이 永捨貪欲야 先除事障코 未斷理障면

다가 한 衆生이 貪欲 永히 려 몬져 事障

원각경언해 하1의1:51ㄱ

주001)
덜오:
덜고. 덜-[除]+고/오(대등적 연결어미). /ㄹ/ 뒤에서 /ㄱ/ 약화.
理障 주002)
이장(理障):
정지견(正知見)을 장애하는 혹(惑).
 긋디 몯면

만일 많은 중생이 탐욕을 길이 버려 먼저 사장을 덜고 이장을 끊지 못하면,

【종밀주석】 知生死苦야 止息攀緣故로 云除事ㅣ니 其實은 未能除三細也ㅣ라 意責不先悟理코 但先除事故로 有先除未斷之言시니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生死苦 아라 자바 주003)
자바:
잡아. 잡-+아. 《이조어사전》에서는 이 ‘잡-’의 뜻을 [어림하다. 짐작하다]로 파악하였는데, 그것은 ‘잡-’이 ‘約’의 번역으로 쓰인 데에 말미암은 것이다. 그러나 문맥으로 보면, ‘잡다’는 ‘추상적이거나 모호하여 인식하기 어려운 대상을 명시적으로 바라보거나 남에게 보여 주다’란 뜻을 지니는 것으로 생각된다.
緣호 그칠 니샤 事 더로미니 주004)
더로미니:
덜어냄이니. 덜-[除]+옴(명사형어미)+이+니.
그 實은 三細 能히 더디 몯니라 데 주005)
데:
+에. ‘데’는 ‘그 뜻은’ 정도의 의미로 쓰이는 경우가 매우 많아 보인다.
몬져 理 아디 주006)
아디:
알지. 알-[知]+디. /ㄷ/ 앞에서 /ㄹ/ 탈락. 알지. 알-+디(보조적 연결어미). 현대국어의 보조적 연결어미 ‘-지’와 종결어미 ‘-지’는 그 기원이 서로 다르다. 전자는 ‘-디’의 발달형이고, 후자는 ‘-디’의 발달형이다. ‘-디’는 ‘~하면 했지’의 뜻을 지니면서 종속절을 구성한다.
아니코 오직 몬져 事 더루믈 주007)
더루믈:
덜어냄을. 덜-[除]+움(명사형어미)+을.
責실 몬져 덜오 긋디 몯 마리 겨시니

원각경언해 하1의1:51ㄴ

【그럴 니샤 事 더다 주008)
더다:
덜어내었다. 덜-[除]+다. 동사 어간 뒤에 바로 종결어미가 놓이면 과거시제가 됨.
주009)
홈:
함. -+옴(명사형어미).
 주010)
:
등은. (복수 표지)+(보조사). ‘’이 ‘ㅎ’으로 끝나는 것으로 보아 체언(ㅎ 종성체언)일 가능성이 있다. 체언 중 의존명사로 간주할 수 있을 것이다.
事ㅣ 마 이 六染 주011)
육염(六染):
근본무명의 망심에 의해 나타나는 망염(妄染)의 심상.
이니 주012)
소(疏):
경, 논의 문구를 알기 쉽게 풀이한 글.
中에 비록 三細 더디 몯다 주013)
몯다:
못하였다. 몯(부사)+-+다. ‘’ 탈락.
니나 오히려 根本 브터 나와 다가 一定 주014)
일정(一定):
어떤 모양이나 범위가 확실함.
 體로 니면 二乘은 오직 第一 執相應染을 그츠니 오직 親히 能히 業을 니르와다 주015)
니르와다:
일으켜. 닐-[起]+으(사동접미사)+왇(강세 접미사)+아.
分段 生死 닛 주016)
닛:
잇는. -[連]++ㄴ. 8종성표기법.
들 자니 그 五染은 三界 여희요 막디 아니 聲聞이 긋디 몯니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생사고를 알아 잡아서 인연함을 끊으므로 이르시되 일을 덞이니, 그것은 실은 삼세를 능히 덜어내지 못한 것이다. 뜻에 먼저 이(理)를 알지 아니하고 오직 먼저 일을 덞을 꾸짖으시므로, 먼저 덜어내고 끊지 못한
(=못하였다는)
말씀이 있으시니라【그러므로 이르시되 일을 덜어내었다고 함과 같은 것들은 일이 이미 이것이 육염이니, 소 가운데 비록 삼세를 덜어내지 못하였다고 말하지만 오히려 근본으로부터 나와 만일 일정한 체로 이르면 이승은 오직 제1 집상응염을 끊으니, 오직 친히 능히 업을 일으켜 분단 생사를 잇는 뜻을 잡으니, 그 오염은 삼계 여읨을 막지 아니하므로 성문이 끊지 못하니라.】.
Ⓒ 역자 | 이유기 / 2005년 12월 23일

주석
주001)
덜오:덜고. 덜-[除]+고/오(대등적 연결어미). /ㄹ/ 뒤에서 /ㄱ/ 약화.
주002)
이장(理障):정지견(正知見)을 장애하는 혹(惑).
주003)
자바:잡아. 잡-+아. 《이조어사전》에서는 이 ‘잡-’의 뜻을 [어림하다. 짐작하다]로 파악하였는데, 그것은 ‘잡-’이 ‘約’의 번역으로 쓰인 데에 말미암은 것이다. 그러나 문맥으로 보면, ‘잡다’는 ‘추상적이거나 모호하여 인식하기 어려운 대상을 명시적으로 바라보거나 남에게 보여 주다’란 뜻을 지니는 것으로 생각된다.
주004)
더로미니:덜어냄이니. 덜-[除]+옴(명사형어미)+이+니.
주005)
데:+에. ‘데’는 ‘그 뜻은’ 정도의 의미로 쓰이는 경우가 매우 많아 보인다.
주006)
아디:알지. 알-[知]+디. /ㄷ/ 앞에서 /ㄹ/ 탈락. 알지. 알-+디(보조적 연결어미). 현대국어의 보조적 연결어미 ‘-지’와 종결어미 ‘-지’는 그 기원이 서로 다르다. 전자는 ‘-디’의 발달형이고, 후자는 ‘-디’의 발달형이다. ‘-디’는 ‘~하면 했지’의 뜻을 지니면서 종속절을 구성한다.
주007)
더루믈:덜어냄을. 덜-[除]+움(명사형어미)+을.
주008)
더다:덜어내었다. 덜-[除]+다. 동사 어간 뒤에 바로 종결어미가 놓이면 과거시제가 됨.
주009)
홈:함. -+옴(명사형어미).
주010)
:등은. (복수 표지)+(보조사). ‘’이 ‘ㅎ’으로 끝나는 것으로 보아 체언(ㅎ 종성체언)일 가능성이 있다. 체언 중 의존명사로 간주할 수 있을 것이다.
주011)
육염(六染):근본무명의 망심에 의해 나타나는 망염(妄染)의 심상.
주012)
소(疏):경, 논의 문구를 알기 쉽게 풀이한 글.
주013)
몯다:못하였다. 몯(부사)+-+다. ‘’ 탈락.
주014)
일정(一定):어떤 모양이나 범위가 확실함.
주015)
니르와다:일으켜. 닐-[起]+으(사동접미사)+왇(강세 접미사)+아.
주016)
닛:잇는. -[連]++ㄴ. 8종성표기법.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