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7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7집 하1의2
  • 6. 청정혜보살장(淸淨慧菩薩章)
  • 1. 부처님께 드리는 질문
  • 1. 부처님께 드리는 질문 5
메뉴닫기 메뉴열기

1. 부처님께 드리는 질문 5


【종밀주석】 二 請後中文이 二니 一은 正問이오

둘흔 後를 請샨 中엣 文이 둘히니 나 正히 묻오샤미오 주001)
묻오샤미오:
여쭈심이고. 묻-+/오(겸양 선어말어미)+샤+옴(명사형어미)+이(서술격조사)+고/오(연결어미).

둘은 나중을 청하신 것 중의 글이 둘이니, 하나는 바로 여쭈심이고,

【경】 願爲諸來一切法衆샤 重宣法王圓滿覺性

원각경언해 하1의2:4ㄱ

쇼셔 一切衆生과 及諸菩薩와 如來世尊ㅅ 所證所得이 云何差別이니고

願 주002)
:
것은. 바는. (의존명사)+ㄴ(보조사). ‘’이 주어인데, 서술어는 ‘펴쇼셔’이다. 중세국어에서는 현대국어적 관점에서 볼 때 주어와 서술어의 호응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많다. 주어가 명사 상당 어구일 때에 이런 현상이 많이 보인다.
왯 주003)
왯:
와 있는. 오-+아+잇-++ㄴ. -어/아#잇-〉-엣/앳-〉엇/앗-〉-었/았-. 현대국어의 ‘-어/아#있-’이 ‘-었/았-’과 교체될 수 있는 것은 이런 역사적 사실에 말미암는다.
一切 法衆을 爲샤 法王ㅅ 圓滿 覺性을 다시 펴쇼셔 一切 衆生과 諸菩薩와 如來 世尊ㅅ 證샴과 得샤미 엇뎨 差別니고

원하는 바는 많은 와 있는 일체 법중을 위하시어 법왕의 원만한 각성을 다시 펴소서. 일체 중생과 모든 보살과 여래 세존의 증하심과 얻으심(=깨달으심)이 어찌 다릅니까?

【종밀주석】 擧所證覺性샤 問能證位地시니 覺心은 一味언마 因果ㅣ 階差야 二義ㅣ 旣乖故로 須起問이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證샨 覺性을 드르샤 能히 證샨 位地를 묻오시니 覺心은  마시언마 因과 果왜 階級이 달아

원각경언해 하1의2:4ㄴ

두 디 마 어긜 모로매 묻오 니르와샤미라 주004)
니르와샤미라:
일으키심이라. 닐-[起]+(사동접미사)+왇(강조 접미사)+샤(주체존대 선어말어미)+옴(명사형어미)+이+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증명하신 각성을 드시어 능히 증하신 지위를 여쭈시니, 각심은 한 맛이건만 인과 과가 계급이 달라 두 뜻이 이미 어긋나므로 모름지기 여쭘을 일으키신 것이라.
Ⓒ 역자 | 이유기 / 2005년 12월 23일

주석
주001)
묻오샤미오:여쭈심이고. 묻-+/오(겸양 선어말어미)+샤+옴(명사형어미)+이(서술격조사)+고/오(연결어미).
주002)
:것은. 바는. (의존명사)+ㄴ(보조사). ‘’이 주어인데, 서술어는 ‘펴쇼셔’이다. 중세국어에서는 현대국어적 관점에서 볼 때 주어와 서술어의 호응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많다. 주어가 명사 상당 어구일 때에 이런 현상이 많이 보인다.
주003)
왯:와 있는. 오-+아+잇-++ㄴ. -어/아#잇-〉-엣/앳-〉엇/앗-〉-었/았-. 현대국어의 ‘-어/아#있-’이 ‘-었/았-’과 교체될 수 있는 것은 이런 역사적 사실에 말미암는다.
주004)
니르와샤미라:일으키심이라. 닐-[起]+(사동접미사)+왇(강조 접미사)+샤(주체존대 선어말어미)+옴(명사형어미)+이+라.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