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7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7집 하1의2
  • 6. 청정혜보살장(淸淨慧菩薩章)
  • 4. 수행의 경지를 단계별로 말씀하심
  • 4-2) 중생의 근기 때문에 수행의 차별이 있음 가) 지위에 따른 점차적 수행 ④과위 8
메뉴닫기 메뉴열기

4-2) 중생의 근기 때문에 수행의 차별이 있음 가) 지위에 따른 점차적 수행 ④과위 8


【경】 衆生國土ㅣ 同一法性이며

衆生과 國土왜  가짓 주001)
가짓:
가지의. 가지[種類]+ㅅ(관형격조사). ‘-ㅅ’은 관형격 조사. 관형격 조사에는 ‘-ㅅ’과 ‘-/의’가 있었다. 일반적으로 무정체언 또는 높임의 대상인 체언 뒤에는 ‘-ㅅ’이, 평칭의 인칭 체언 뒤에서는 ‘-/의/ㅣ’가 쓰였다.

원각경언해 하1의2:42ㄴ

 法性이며

중생과 국토가 마찬가지의 한 법성이며,

【종밀주석】 七은 依正對니 涅槃애 云샤 我以佛眼으로 徧觀三界호니 有情無情一切人法이 悉皆究竟이라 시니 究竟者 卽法性也ㅣ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닐구븐 주002)
의(依):
직접적 원인을 ‘소의(所依)’라 함에 대하여 간접적 원인을 ‘의(依)’라 함.
와 正괏 對니 涅槃애 니샤 내 佛眼로 三界 너비 주003)
너비:
널리. 넙-+이(부사파생접미사). 파생명사는 ‘넙-+의’로 구성된 ‘너븨’이다. 이른바 척도류 형용사에서 이런 대립이 나타난다. ‘기리 : 기릐, 기피 : 기픠, 노피 : 노, 키 : 킈’ 등. 그러나 파생명사 ‘기릐’는 ‘기리’로 나타나는 일이 있었다.
보니 주004)
보니:
보니. 보-+오/우+니. ‘·보(거성)+오/우 → :보(상성)’.
有情과 無情과 一切ㅅ 人과 法괘 다 究竟이라 시니 究竟은 곧 法性이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일곱은 ‘의’와 ‘정’의 대립이니, 열반경에서 이르시되, 내가 불안으로 삼계(三界)를 널리 보니, 유정과 무정과 일체 사람과 법이 다 구경이라 하시니, 구경은 곧 법성이다.
Ⓒ 역자 | 이유기 / 2005년 12월 23일

주석
주001)
가짓:가지의. 가지[種類]+ㅅ(관형격조사). ‘-ㅅ’은 관형격 조사. 관형격 조사에는 ‘-ㅅ’과 ‘-/의’가 있었다. 일반적으로 무정체언 또는 높임의 대상인 체언 뒤에는 ‘-ㅅ’이, 평칭의 인칭 체언 뒤에서는 ‘-/의/ㅣ’가 쓰였다.
주002)
의(依):직접적 원인을 ‘소의(所依)’라 함에 대하여 간접적 원인을 ‘의(依)’라 함.
주003)
너비:널리. 넙-+이(부사파생접미사). 파생명사는 ‘넙-+의’로 구성된 ‘너븨’이다. 이른바 척도류 형용사에서 이런 대립이 나타난다. ‘기리 : 기릐, 기피 : 기픠, 노피 : 노, 키 : 킈’ 등. 그러나 파생명사 ‘기릐’는 ‘기리’로 나타나는 일이 있었다.
주004)
보니:보니. 보-+오/우+니. ‘·보(거성)+오/우 → :보(상성)’.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