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7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7집 하1의2
  • 6. 청정혜보살장(淸淨慧菩薩章)
  • 4. 수행의 경지를 단계별로 말씀하심
  • 4-2) 중생의 근기 때문에 수행의 차별이 있음 가) 지위에 따른 점차적 수행 ① 신위 3
메뉴닫기 메뉴열기

4-2) 중생의 근기 때문에 수행의 차별이 있음 가) 지위에 따른 점차적 수행 ① 신위 3


【경】 及愛我者야

릴 주001)
릴:
사랑할 사람을. -[愛]+(관형사형어미)+이(의존명사)+ㄹ(목적격조사).
브터

나를 사랑할 사람을 말미암아

【종밀주석】 執爲我故로 便生愛著니라 上句 我體니 卽所執也ㅣ오 此句 我見이니 卽能執也ㅣ라 具明我義 下自有文니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자바 주002)
자바:
잡-[約]+아. 《이조어사전》에서는 이 ‘잡-’의 뜻을 [어림하다. 짐작하다]로 파악하였는데, 그것은 ‘잡-’이 ‘約’의 번역으로 쓰인 데에 말미암은 것이다. 그러나 문맥으로 보면, ‘잡다’는 ‘추상적이거나 모호하여 인식하기 어려운 대상을 명시적으로 바라보거나 남에게 보여 주다’란 뜻을 지니는 것으로 생각된다.
我 사 곧  주003)
:
사랑하여. -[愛]+아(연결어미).
著호 내니라 주004)
웃:
위의. 웋(上. ㅎ 종성체언)+ㅅ(관형격조사). ‘우흿’으로 나타나는 일이 많음.
句는 我體니 곧 所執이

원각경언해 하1의2:18ㄴ

오 이 句는 我見이니 곧 能執이라 我ㅅ 들 초 교 아래 주005)
제:
제가. 스스로가. 인칭대명사의 주격 형태와 관형격 형태는 성조에 의해 구별되는 일이 많다. ①:제(주격), 제(관형격) ②‧내(주격), 내(관형격) ③:네(주격), 네(관형격) ④‧뉘(주격), :뉘(관형격).
그리 잇니라【淨業 菩薩章ㅅ 四相 門中에 사기니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잡아서 나를 삼으므로 곧 사랑하여 애착을 내느니라. 위의 구는 아체이니 곧 소집이고, 이 구는 아견이니 곧 능집이다. 아의 뜻을 갖추어 밝힘은 아래에 스스로 글이 있느니라.【정업 보살장의 사상 문중에 새기니라.】.
Ⓒ 역자 | 이유기 / 2005년 12월 23일

주석
주001)
릴:사랑할 사람을. -[愛]+(관형사형어미)+이(의존명사)+ㄹ(목적격조사).
주002)
자바:잡-[約]+아. 《이조어사전》에서는 이 ‘잡-’의 뜻을 [어림하다. 짐작하다]로 파악하였는데, 그것은 ‘잡-’이 ‘約’의 번역으로 쓰인 데에 말미암은 것이다. 그러나 문맥으로 보면, ‘잡다’는 ‘추상적이거나 모호하여 인식하기 어려운 대상을 명시적으로 바라보거나 남에게 보여 주다’란 뜻을 지니는 것으로 생각된다.
주003)
:사랑하여. -[愛]+아(연결어미).
주004)
웃:위의. 웋(上. ㅎ 종성체언)+ㅅ(관형격조사). ‘우흿’으로 나타나는 일이 많음.
주005)
제:제가. 스스로가. 인칭대명사의 주격 형태와 관형격 형태는 성조에 의해 구별되는 일이 많다. ①:제(주격), 제(관형격) ②‧내(주격), 내(관형격) ③:네(주격), 네(관형격) ④‧뉘(주격), :뉘(관형격).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