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7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7집 하1의2
  • 6. 청정혜보살장(淸淨慧菩薩章)
  • 4. 수행의 경지를 단계별로 말씀하심
  • 4-1) 원각 자체에는 보살과 중생의 차별이 없음 11
메뉴닫기 메뉴열기

4-1) 원각 자체에는 보살과 중생의 차별이 없음 11


【종밀주석】 二 對機說證이니 文이 二니 一은 摠標大意오 二 證位階差ㅣ라 前中이 二니 今初

원각경언해 하1의2:9ㄱ

功用有殊ㅣ오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둘흔 機를 對야 證 니샤미니 文히 둘히니 나 큰 들 뫼화 標샤미오 둘흔 證位ㅅ 階級 달오미라 前中이 둘히니 이제 주001)
이제:
지금은. 오늘날의 ‘이제’는 발화시와 일치하나, 중세국어의 ‘이 제’는 그렇지 않은 경우에도 쓰인다. 대개 원문이 ‘今’일 때에는 ‘지금’의 뜻으로 쓰인 부사(합성어)이지만, 그 밖의 경우(예: 於是)에는 ‘이 때(에)’의 뜻으로 쓰인 것이다.
처 功用 달옴 이쇼미오 주002)
이쇼미오:
있음이고. 이시-[有]+옴/움(명사형어미)+이(서술격조사)+고/오. 연결어미 ‘-고’가 /ㄱ/ 약화를 거쳐 ‘-오’로 교체된 것.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둘은 근기를 대하여 증을 이르심이니, 글이 둘이니, 하나는 큰 뜻을 모아 지표로서 보이신 것이고, 둘은 증위의 계급이 다른 것이다. 앞 부분이 둘이니 지금은 처음 공용의 다름이 있음이고,
Ⓒ 역자 | 이유기 / 2005년 12월 23일

주석
주001)
이제:지금은. 오늘날의 ‘이제’는 발화시와 일치하나, 중세국어의 ‘이 제’는 그렇지 않은 경우에도 쓰인다. 대개 원문이 ‘今’일 때에는 ‘지금’의 뜻으로 쓰인 부사(합성어)이지만, 그 밖의 경우(예: 於是)에는 ‘이 때(에)’의 뜻으로 쓰인 것이다.
주002)
이쇼미오:있음이고. 이시-[有]+옴/움(명사형어미)+이(서술격조사)+고/오. 연결어미 ‘-고’가 /ㄱ/ 약화를 거쳐 ‘-오’로 교체된 것.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