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7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7집 하1의2
  • 6. 청정혜보살장(淸淨慧菩薩章)
  • 4. 수행의 경지를 단계별로 말씀하심
  • 4-2) 중생의 근기 때문에 수행의 차별이 있음 가) 지위에 따른 점차적 수행 ④과위 13
메뉴닫기 메뉴열기

4-2) 중생의 근기 때문에 수행의 차별이 있음 가) 지위에 따른 점차적 수행 ④과위 13


【경】 照了諸相이 猶如虛空호미

諸相이 虛空 호 주001)
호:
같음을. +-+옴(명사형어미)+(목적격조사). 어간이 ‘/-’으로 나타기도 함. ‘-’는 ‘(부사)’에 ‘-’가 붙어 형성된 형용사인데, ‘니(+-+니)’와 같은 활용형에 대한 오분석의 결과 새로운 어간 ‘-’이 형성되었다. 이 ‘-’은 음절말에서는 8종성표기법에 의해 ‘-’으로 적힌다.
비취요미 주002)
비취요미:
비추는 것이. 비취-[照]+옴/욤+이.

제상이 허공 같음을 비추는 것이

【종밀주석】 理量齊鑑샤 無倒正知시니 由分別心야 諸相이 差別이어늘 今에 海慧ㅣ 離念故로 諸相이 如空니라 又能照之慧ㅣ 離分別念

원각경언해 하1의2:46ㄱ

샤미 猶如虛空니 卽同淨名엣 其無礙慧ㅣ 無若干也ㅣ라 如鏡照物에 鏡自無心니라 上來ㅣ 皆是論中엣 滿足方便야 一念相應야 覺心初起예 心無初相也ㅣ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理와 量괘 기 비취샤 갓롬 업슨 正 아로미시니【理와 量과 如理智와 如量智

원각경언해 하1의2:46ㄴ

라 기 비취샤 理의 보샤 곧 空이오 量 보샤 곧 假ㅣ니 空과 假왜   주003)
:
때이므로. [時]+ㅣ(서술격조사)+ㄹ. ‘’[時]는 대개 조사와 결합한 형태 ‘, , , 로’ 등으로 나타남. ‘-ㄹ’는 이 책 이전에는 ‘ㄹ’로 적혔으나, 이 책에서부터 각자병서가 폐지됨.
다 주004)
다:
가지런하다. +-+다. ‘’ 탈락.
닐오미라 갓롬 주005)
갓롬:
넘어짐. 갓-[倒]+옴(명사형어미).
업수믄 有ㅣ 一定 주006)
일정(一定):
어떤 모양이나 범위가 확실함.
 有 아니며 空이 그츤 업숨 아니라】
分別心을 브터 諸相이 差別이어늘 이제 海慧ㅣ 念을 여흴 諸相이 空 니라  能히 비취 慧ㅣ 分別念을 여희샤미 虛空 니 곧 淨名엣 그 룜 업슨 慧ㅣ 若干 업숨과 니라 거우뤼 주007)
거우뤼:
거울이. 거우루+이. ‘거우루’는 ‘거우로’로도 나타남. 근대국어 시기 이후 어말 모음이 탈락하여 ‘거올, 거울’이 등장.
物을 비취요매 거우루는 제  업숨 니라 우히 다 이 論中엣 方便이 滿足야 一念이 相應야 覺心이 처 니로매 미 첫 相 업수미라【滿足야 相應 法界예 마자 法界慧 일오  처 니로 알 諸

원각경언해 하1의2:47ㄱ

相 비취오 미 첫 相 업슬 虛空 니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리’와 ‘량’이 가지런히 비치시어 거꾸러지는 바른 앎이시니【‘리’와 ‘량’은 여리지와 여량지이다. 가지런히 비치심은 여리지의 보심은 곧 공이고 여량지의 보심은 곧 가이니, 공과 가가 한 때이므로 가지런하다고 이른 것이다. 거꾸러짐이 없음은 있음이 일정한 있음이 아니며 공이 끊어진 없음이 아니다(아니라는 뜻이다.).】, 분별심으로 말미암아 제상이 차별되거늘, 이제 해혜가 염을 여의므로 제상이 공과 같으니라. 또 능히 비치는 혜가 분별념을 여의심이 허공 같으니, 곧 정명경의 그 막힘이 없는 혜가 거의 없음과 같으니라. 거울이 물을 비춤에 거울은 스스로 마음이 없음과 같으니라. 위 부분이 다 이 논 중의 방편이 만족하여 일념이 상응하여 각심이 처음 일어남에 마음이 첫 상이 없는 것이다【만족하여 상응하므로 법계에 맞아서 법계해가 이루어지고 마음에 처음 일어남을 알기 때문에 제상을 비추고 마음이 첫 상이 없으므로 허공 같으니라.】.
Ⓒ 역자 | 이유기 / 2005년 12월 23일

주석
주001)
호:같음을. +-+옴(명사형어미)+(목적격조사). 어간이 ‘/-’으로 나타기도 함. ‘-’는 ‘(부사)’에 ‘-’가 붙어 형성된 형용사인데, ‘니(+-+니)’와 같은 활용형에 대한 오분석의 결과 새로운 어간 ‘-’이 형성되었다. 이 ‘-’은 음절말에서는 8종성표기법에 의해 ‘-’으로 적힌다.
주002)
비취요미:비추는 것이. 비취-[照]+옴/욤+이.
주003)
:때이므로. [時]+ㅣ(서술격조사)+ㄹ. ‘’[時]는 대개 조사와 결합한 형태 ‘, , , 로’ 등으로 나타남. ‘-ㄹ’는 이 책 이전에는 ‘ㄹ’로 적혔으나, 이 책에서부터 각자병서가 폐지됨.
주004)
다:가지런하다. +-+다. ‘’ 탈락.
주005)
갓롬:넘어짐. 갓-[倒]+옴(명사형어미).
주006)
일정(一定):어떤 모양이나 범위가 확실함.
주007)
거우뤼:거울이. 거우루+이. ‘거우루’는 ‘거우로’로도 나타남. 근대국어 시기 이후 어말 모음이 탈락하여 ‘거올, 거울’이 등장.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