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7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7집 하1의1
  • 5. 미륵보살장(彌勒菩薩章)
  • 4. 윤회의 근본을 밝혀주심
  • 4-1) 윤회에 대하여 말씀해주심 나) 윤회하는 중생의 다섯 종류 7
메뉴닫기 메뉴열기

4-1) 윤회에 대하여 말씀해주심 나) 윤회하는 중생의 다섯 종류 7


【종밀주석】 二 釋이니 中이 二니 一은 摠明未熏이오

둘흔 사기샤미니 中이 둘히니 나 주001)
훈습(熏習):
향이 그 냄새를 옷에 배게 하는 것처럼 사람이 몸과 입과 뜻으로 하는 행동이 그냥 없어지지 않고 인상이나 세력을 자기의 마음과 몸에 머물러 있게 함.
몯닐 주002)
몯닐:
못한 사람을. 몯(부사)+-+ㄴ(관형사형어미)+이(의존명사)+ㄹ(목적격조사).
뫼화 기샤미오

둘은 새기심이니, 그 부분이 둘이니, 하나는 훈습되지 못한 사람을 모아서 밝히신 것이고,

【경】 善男子아 若此二障을 未得斷滅면 名未成佛이라

善男子아 다가 이 二障 그처 주003)
그처:
그쳐. 끊어. 긏-[斷]+어(연결어미). ‘긏-’은 자동사로도 쓰이고 타동사로 쓰이는 이른바 능격동사.
滅호믈 得디 몯면 일후미 成佛 몯호미라

선남자야, 만일 이 이장을 끊어 없앰을 얻지 못하면 이름이 ‘성불하지 못함’이다.

【종밀주석】 本以發心脩證은 約斷二障故로 成五性이어늘 此 都不斷故로 非五數ㅣ오 亦未發

원각경언해 하1의1:50ㄱ

心遇敎故로 言未熏이라 若據棱伽之文면 卽當第五無性니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本來 發心야 脩證호 二障 그추믈 주004)
그추믈:
끊음을. 긏-[斷]++움(명사형어미)+을. ‘긏-’은 자동사와 타동사로 두루 쓰이는데, 여기서는 타동사로 쓰인 것. 여기의 ‘-우-’는 사동접미사가 아니다. ‘긏-’에 결합하는 사동접미사는 ‘-이-’이다.
자 五性이 외어늘 주005)
외어늘:
되거늘. 외-+거늘/어늘. 음절부음 [j] 뒤에서 /ㄱ/ 약화.
이 다 긋디 주006)
긋디:
끊지. 긏-+디(보조적 연결어미). 8종성표기법. ‘긏-’은 자동사로도 쓰이고 타동사로 쓰이는 이른바 능격동사. 현대국어의 보조적 연결어미 ‘-지’와 종결어미 ‘-지’는 그 기원이 서로 다르다. 전자는 ‘-디’의 발달형이고, 후자는 ‘-디’의 발달형이다. ‘-디’는 ‘~하면 했지’의 뜻을 지니면서 종속절을 구성한다.
몯 五數ㅣ 아니오 주007)
아니오:
아니고. ‘아니-’는 형용사 어간이나, ‘아니오’는 기원적으로는 ‘아니(명사)+∅(서술격조사)+고(대등적 연결어미)’의 구조이기 때문에 서술격조사 뒤에서 /ㄱ/이 약화한 것.
 發心야 敎를 맛나디 주008)
맛나디:
만나지. 맞-[逢]+나-+디(보조적 연결어미). 8종성표기법.
몯 닐오 주009)
훈습(熏習):
향이 그 냄새를 옷에 배게 하는 것처럼 사람이 몸과 입과 뜻으로 하는 행동이 그냥 없어지지 않고 인상이나 세력을 자기의 마음과 몸에 머물러 있게 함.
티 몯호미라 다가 棱伽ㅅ 文을 브트면 곧 第五 無性에 當니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본래 발심하여 수증함은 이장 끊음을 잡으므로 오성이 되거늘 이는 다 끊지 못하므로 오수가 아니고, 또 발심하여 가르침을 만나지 못하므로 이르되 훈습되지 못함이다. 만일 능가경의 글에 의거한다면 곧 제5의 무성에 해당하니라.
Ⓒ 역자 | 이유기 / 2005년 12월 23일

주석
주001)
훈습(熏習):향이 그 냄새를 옷에 배게 하는 것처럼 사람이 몸과 입과 뜻으로 하는 행동이 그냥 없어지지 않고 인상이나 세력을 자기의 마음과 몸에 머물러 있게 함.
주002)
몯닐:못한 사람을. 몯(부사)+-+ㄴ(관형사형어미)+이(의존명사)+ㄹ(목적격조사).
주003)
그처:그쳐. 끊어. 긏-[斷]+어(연결어미). ‘긏-’은 자동사로도 쓰이고 타동사로 쓰이는 이른바 능격동사.
주004)
그추믈:끊음을. 긏-[斷]++움(명사형어미)+을. ‘긏-’은 자동사와 타동사로 두루 쓰이는데, 여기서는 타동사로 쓰인 것. 여기의 ‘-우-’는 사동접미사가 아니다. ‘긏-’에 결합하는 사동접미사는 ‘-이-’이다.
주005)
외어늘:되거늘. 외-+거늘/어늘. 음절부음 [j] 뒤에서 /ㄱ/ 약화.
주006)
긋디:끊지. 긏-+디(보조적 연결어미). 8종성표기법. ‘긏-’은 자동사로도 쓰이고 타동사로 쓰이는 이른바 능격동사. 현대국어의 보조적 연결어미 ‘-지’와 종결어미 ‘-지’는 그 기원이 서로 다르다. 전자는 ‘-디’의 발달형이고, 후자는 ‘-디’의 발달형이다. ‘-디’는 ‘~하면 했지’의 뜻을 지니면서 종속절을 구성한다.
주007)
아니오:아니고. ‘아니-’는 형용사 어간이나, ‘아니오’는 기원적으로는 ‘아니(명사)+∅(서술격조사)+고(대등적 연결어미)’의 구조이기 때문에 서술격조사 뒤에서 /ㄱ/이 약화한 것.
주008)
맛나디:만나지. 맞-[逢]+나-+디(보조적 연결어미). 8종성표기법.
주009)
훈습(熏習):향이 그 냄새를 옷에 배게 하는 것처럼 사람이 몸과 입과 뜻으로 하는 행동이 그냥 없어지지 않고 인상이나 세력을 자기의 마음과 몸에 머물러 있게 함.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