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7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7집 하1의1
  • 5. 미륵보살장(彌勒菩薩章)
  • 4. 윤회의 근본을 밝혀주심
  • 4-1) 윤회에 대하여 말씀해주심 가) 윤회의 근본과 곁가지 ① 끊어야 할 대상을 보여주심 14
메뉴닫기 메뉴열기

4-1) 윤회에 대하여 말씀해주심 가) 윤회의 근본과 곁가지 ① 끊어야 할 대상을 보여주심 14


【경】 捨惡고 樂善면

惡 리고 주001)
리고:
버리고. 리-[棄]+고. ‘버리-(벌-+이)’는 [列]을 뜻함.
善을 즐기면 주002)
즐기면:
즐기면. 즐기-+면. ‘즐겁다’는 ‘즐기-’에 형용사파생접미사 ‘-업-’이 결합한 것이다.

악을 버리고 선을 즐기면,

【종밀주석】 比옌 由愛欲故로 造惡다가 今엔 知欲의 可厭故로 捨十惡고 樂十善ㅣ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아 주003)
아:
과거에는. 지난 날에는. 아+∅(특수처소부사격조사)+ㄴ(보조사). ‘-/의’는 관형격 조사와 형태가 같은데, 이러한 특수처소부사격 조사를 취하는 체언은 정해져 있다. 대개 시간, 장소, 방향을 나타내는 체언이 특수처소부사격 조사를 취한다. 그러나 음절부음 [j]로 끝나는 체언 뒤에는 특수처소부사격 조사 ‘-/의’가 나타나지 않는다.
欲 愛호 브틀 惡 짓다가 이젠 欲 어루 주004)
어루:
가히.
아쳗부믈 주005)
아쳗부믈:
싫증이 나는 것임을. 아쳗-[싫어하다]+브(형용사파생접미사)+움(명사형어미)+을. 29ㄱ에는 ‘아부믈’로 표기되어 있다. 자음으로 시작되는 어미나 접사 앞에서는 ‘아쳗-’이, 모음으로 시작되는 어미 앞에서는 ‘아쳘-’이 쓰인다. 매개모음은 ‘아쳘-’ 뒤에서 탈락.
알 十惡 리고 十善을 즐교미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과거에는 욕망을 애착함에 말미암았으므로 악을 짓다가 이제는 욕망이 가히 싫증나는 것임을 알므로 열 가지 악을 버리고 열 가지 선을 즐기는 것이다.
Ⓒ 역자 | 이유기 / 2005년 12월 23일

주석
주001)
리고:버리고. 리-[棄]+고. ‘버리-(벌-+이)’는 [列]을 뜻함.
주002)
즐기면:즐기면. 즐기-+면. ‘즐겁다’는 ‘즐기-’에 형용사파생접미사 ‘-업-’이 결합한 것이다.
주003)
아:과거에는. 지난 날에는. 아+∅(특수처소부사격조사)+ㄴ(보조사). ‘-/의’는 관형격 조사와 형태가 같은데, 이러한 특수처소부사격 조사를 취하는 체언은 정해져 있다. 대개 시간, 장소, 방향을 나타내는 체언이 특수처소부사격 조사를 취한다. 그러나 음절부음 [j]로 끝나는 체언 뒤에는 특수처소부사격 조사 ‘-/의’가 나타나지 않는다.
주004)
어루:가히.
주005)
아쳗부믈:싫증이 나는 것임을. 아쳗-[싫어하다]+브(형용사파생접미사)+움(명사형어미)+을. 29ㄱ에는 ‘아부믈’로 표기되어 있다. 자음으로 시작되는 어미나 접사 앞에서는 ‘아쳗-’이, 모음으로 시작되는 어미 앞에서는 ‘아쳘-’이 쓰인다. 매개모음은 ‘아쳘-’ 뒤에서 탈락.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