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7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7집 하1의1
  • 5. 미륵보살장(彌勒菩薩章)
  • 1. 부처님께 드리는 질문
  • 1. 부처님께 드리는 질문 10
메뉴닫기 메뉴열기

1. 부처님께 드리는 질문 10


【경】 於諸輪廻예

주001)
한:
많은. 하-[多]+ㄴ(관형사형어미).
輪廻예

많은 윤회에

【종밀주석】 前에 云샤 種種取捨ㅣ 皆是輪廻故로 此에 云諸시니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알 주002)
알:
앞에서. 앒+(특수처소부사격조사). ‘-/의’는 관형격 조사와 형태가 같은데, 이러한 특수처소부사격 조사를 취하는 체언은 정해져 있다. 대개 시간, 장소, 방향을 나타내는 체언이 특수처소부사격 조사를 취한다. 중세국어의 ‘-에’는 현대국어의 ‘-에, -에서’가 쓰일 환경에 두루 쓰임.
니샤 種種앳 取홈과 捨홈 주003)
괘:
-이. 과(접속조사)+ㅣ(주격조사). 체언의 접속에서 마지막에 놓이는 체언 뒤에도 접속조사가 쓰이는 것이 중세국어의 특징임.

원각경언해 하1의1:5ㄱ

주004)
다:
다. 모두. ‘다-[盡]+아’가 결합한 활용형 ‘다’가 부사로 굳어진 것으로 보인다.
주005)
이:
이것이. 이(대명사)+∅(주격조사).
輪廻라 실 주006)
실:
하시므로. ‘-ㄹ’는 이 책 이전에는 ‘ㄹ’로 적혔으나, 이 책에서부터 각자병서가 폐지됨.
이 주007)
이:
이 곳에. ‘이’는 ‘이(대명사)+ㆁ+에(부사격조사)’로 구성된 것으로 보이나, 다음 두 가지 현상은 ‘이’가 체언(대명사)으로 굳어진 것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1) 목적격조사가 ‘이’ 뒤에 바로 이어지기도 한다. 예 : 이 向야(금삼 4:62). (2) 다음 예문의 ‘이’가 나타난 위치는 부사어가 나타날 위치는 아니다. 이 위치는 관형어가 올 위치로 보이는데, ‘이’가 체언(대명사)이라면 설명이 가능한 현상이다. 예 : 이 一切 種智와 시니라(원각 하 1-2 :54ㄴ).
하다 니시니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앞에서 이르시되, 가지가지의 취함과 버림이 다 이것이 윤회라 하셨으므로 여기에서 많다고 하시니라.
Ⓒ 역자 | 이유기 / 2005년 12월 23일

주석
주001)
한:많은. 하-[多]+ㄴ(관형사형어미).
주002)
알:앞에서. 앒+(특수처소부사격조사). ‘-/의’는 관형격 조사와 형태가 같은데, 이러한 특수처소부사격 조사를 취하는 체언은 정해져 있다. 대개 시간, 장소, 방향을 나타내는 체언이 특수처소부사격 조사를 취한다. 중세국어의 ‘-에’는 현대국어의 ‘-에, -에서’가 쓰일 환경에 두루 쓰임.
주003)
괘:-이. 과(접속조사)+ㅣ(주격조사). 체언의 접속에서 마지막에 놓이는 체언 뒤에도 접속조사가 쓰이는 것이 중세국어의 특징임.
주004)
다:다. 모두. ‘다-[盡]+아’가 결합한 활용형 ‘다’가 부사로 굳어진 것으로 보인다.
주005)
이:이것이. 이(대명사)+∅(주격조사).
주006)
실:하시므로. ‘-ㄹ’는 이 책 이전에는 ‘ㄹ’로 적혔으나, 이 책에서부터 각자병서가 폐지됨.
주007)
이:이 곳에. ‘이’는 ‘이(대명사)+ㆁ+에(부사격조사)’로 구성된 것으로 보이나, 다음 두 가지 현상은 ‘이’가 체언(대명사)으로 굳어진 것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1) 목적격조사가 ‘이’ 뒤에 바로 이어지기도 한다. 예 : 이 向야(금삼 4:62). (2) 다음 예문의 ‘이’가 나타난 위치는 부사어가 나타날 위치는 아니다. 이 위치는 관형어가 올 위치로 보이는데, ‘이’가 체언(대명사)이라면 설명이 가능한 현상이다. 예 : 이 一切 種智와 시니라(원각 하 1-2 :54ㄴ).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