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7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7집 하1의2
  • 6. 청정혜보살장(淸淨慧菩薩章)
  • 4. 수행의 경지를 단계별로 말씀하심
  • 4-2) 중생의 근기 때문에 수행의 차별이 있음 가) 지위에 따른 점차적 수행 ③ 성위 4
메뉴닫기 메뉴열기

4-2) 중생의 근기 때문에 수행의 차별이 있음 가) 지위에 따른 점차적 수행 ③ 성위 4


【종밀주석】 二 明證相이니 謂

원각경언해 하1의2:27ㄱ

以智로 證理야 理智冥符호미

원각경언해 하1의2:27ㄴ

如日이 合空며 如珠ㅣ 自照야 但是本覺이 顯現이라 非能所故ㅣ라 文中이 二니 一은 不住證이오 二 不住敎ㅣ라 前中이 三이니 謂法과 喩와 合괘니 今初ㅣ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둘흔 證

원각경언해 하1의2:28ㄱ

 相 기샤미니 닐오 주001)
닐오:
말하자면. ‘닐오’는 대개 ‘이르되’를 뜻하는데, 때로는 여기서처럼 ‘말하자면’을 뜻하기도 함.
智로 理 證야 理와 智왜 어우러 주002)
어우러:
어울리어. 합해져서. 어울-[合]+어.
마초미 주003)
마초미:
맞춤이. 부합함이. 맞-+호(사동접미사)+옴(명사형어미)+이.
주004)
:
해가. [日]+∅(주격조사).
空애 어우룸 며 구스리 주005)
제:
제가. 스스로가. 저절로. ‘제’는 격에 따라 성조가 구별된다. :제(주격), 제(관형격).
비취윰 야 오직 이 本覺이 나타 주006)
나타:
나타나. 낱-[現]+아.
現호미라 能所 주007)
능소(能所):
능과 소. ‘능’은 능동으로서, 동작하는 것. ‘소’는 소동(所動)으로서, 동작을 받는 것.
ㅣ 아닌 젼라 文 中이 둘히니 나 證에 住티 아니호미오 둘흔 敎애 住티 아니호미라 前中이 세히니 닐오 法과 가비샴과 마초샴괘니 이제 주008)
이제:
지금이.
처미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둘은 증한 상을 밝히심이니, 말하자면 지혜로 이치를 증하여 이치와 지혜가 합해져서 (서로가 상대에 대하여) 맞춤(부합함)이 태양이 허공에 어우러짐 같으며 구슬이 스스로 비춤 같아서 오직 이 본각이 나타나 보임이라, 능소가 아닌 까닭이다. 글이 둘이니 하나는 증에 머므르지 아니함이고, 둘은 교에 머므르지 아니함이다. 앞 부분이 셋이니, 말하자면 법과 비유하심과 맞추심이니, 지금이 첫 부분이다.
Ⓒ 역자 | 이유기 / 2005년 12월 23일

주석
주001)
닐오:말하자면. ‘닐오’는 대개 ‘이르되’를 뜻하는데, 때로는 여기서처럼 ‘말하자면’을 뜻하기도 함.
주002)
어우러:어울리어. 합해져서. 어울-[合]+어.
주003)
마초미:맞춤이. 부합함이. 맞-+호(사동접미사)+옴(명사형어미)+이.
주004)
:해가. [日]+∅(주격조사).
주005)
제:제가. 스스로가. 저절로. ‘제’는 격에 따라 성조가 구별된다. :제(주격), 제(관형격).
주006)
나타:나타나. 낱-[現]+아.
주007)
능소(能所):능과 소. ‘능’은 능동으로서, 동작하는 것. ‘소’는 소동(所動)으로서, 동작을 받는 것.
주008)
이제:지금이.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