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7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7집 하1의1
  • 5. 미륵보살장(彌勒菩薩章)
  • 4. 윤회의 근본을 밝혀주심
  • 4-1) 윤회에 대하여 말씀해주심 나) 윤회하는 중생의 다섯 종류 5
메뉴닫기 메뉴열기

4-1) 윤회에 대하여 말씀해주심 나) 윤회하는 중생의 다섯 종류 5


【경】 二者 事障이니 續諸生死니라

둘흔 事障 주001)
사장(事障):
생사를 계속되게 하는 장애. 번뇌.
이니 주002)
한:
많은. 하-[多]+ㄴ.
生死 닛니라 주003)
닛니라:
잇느니라. -[繼]++니+라. 8종성표기법.

둘은 사장이니, 많은 생사를 잇느니라.

【종밀주석】 六種染心也ㅣ니 三細로 乃至起業受報이 是續生死義故ㅣ라

원각경언해 하1의1:47ㄱ

故로 彼論애 云호 此淸淨心이 爲無明所染야 有其染心니 染心義者ㅣ 名煩惱礙等이니 廣如彼說니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원각경언해 하1의1:48ㄱ

여슷 가짓 주004)
가짓:
가지의. 종류의. 가지+ㅅ. 관형격 조사에는 ‘-ㅅ’과 ‘-/의’가 있었다. 일반적으로 무정체언 또는 높임의 대상인 체언 뒤에는 ‘-ㅅ’이, 평칭의 인칭 체언 뒤에서는 ‘-/의/ㅣ’가 쓰였다.
染心이니 三細 주005)
삼세(三細):
무명업상(無明業相)과 능견상(能見相)과 경계상(境界相). 〈대승기신론〉에서는 일심 진여를 우주 근본으로 삼고, 여기에서 일체 현상을 내는 것을 무명 때문이라 하고, 이 무명을 근본불각(根本不覺), 지말불각(枝末不覺)으로 나눈다.
로 起業과 受報애 니르리 주006)
니르리:
이르기까지. 니를-[至]+이(부사형어미).
이 生死 닛 주007)
닛:
잇는. -[連]++ㄴ. 8종성표기법.
딘 젼라【여슷 가짓 染心은 論애 닐오 나 執과 相應 染이오〖三과 四왓 두 麤ㅣ라〗 둘흔 긋디 주008)
긋디:
그치지. 끊어지지. 긏-+디(보조적 연결어미). ‘긏-’은 자동사로도 쓰이고 타동사로 쓰이는 이른바 능격동사.
아니홈과 相應 染이오〖第二 麤ㅣ라〗 세흔 分別智와 相應 染이오〖第一 麤ㅣ라〗 네흔 色 나톰과 주009)
나톰과:
나타냄과. 낱-[現]+옴(명사형어미)+과.
相應 아니 染이오

원각경언해 하1의1:48ㄴ

〖三境界相이라〗 다 能見心과 相應 아니 染이오〖二能見相이라〗 여스슨 根本 業과 相應 아니 染이라〖第一 業相이라〗 그럴 뎌 論애 닐오 이 淸淨心이 無明의 染호미 외야 그 染心이 잇니 染心ㅅ 디 일후미 煩惱礙 等이니 너부믄 주010)
너부믄:
넓음은. 넙-[廣]+움(명사형어미)+은.
주011)
뎻:
저의. 저 곳의. 뎌[彼]+에(부사격조사)+ㅅ(관형격조사).
말 니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여섯 가지의 물든 마음이니, 삼세(三細)로 업을 일으킴과 과보를 받음에 이르기까지 이것이 생사를 잇는 뜻인 까닭이다. 【여섯 가지의 물든 마음은 논장에서 말하되 하나는 집착과 상응한 물듦이고〖3과 4의 두 대략적인 것이다.〗 둘은 끊어지지 아니함과 상응한 물듦이고〖제 2의 대략적인 구분이다.〗 셋은 분별지와 상응하는 물듦이고〖제1의 거칢이다.〗 넷은 색을 나타냄과 상응하지 아니한 물듦이고〖삼경계상이다.〗 다섯은 능견심과 상응하지 아니하는 물듦이고〖이능견상이다.〗 여섯은 근본 업과 상응하지 아니하는 물듦이다.〖제1 업상이다.〗 그러므로 저 논에서 말하기를, 이 청정심이 무명의 물듦이 되어 그 물든 마음[染心]이 있나니, 물든 마음의 뜻이 이름이 번뇌애 등이니, 넓음은 저 말과 같으니라.】
Ⓒ 역자 | 이유기 / 2005년 12월 23일

주석
주001)
사장(事障):생사를 계속되게 하는 장애. 번뇌.
주002)
한:많은. 하-[多]+ㄴ.
주003)
닛니라:잇느니라. -[繼]++니+라. 8종성표기법.
주004)
가짓:가지의. 종류의. 가지+ㅅ. 관형격 조사에는 ‘-ㅅ’과 ‘-/의’가 있었다. 일반적으로 무정체언 또는 높임의 대상인 체언 뒤에는 ‘-ㅅ’이, 평칭의 인칭 체언 뒤에서는 ‘-/의/ㅣ’가 쓰였다.
주005)
삼세(三細):무명업상(無明業相)과 능견상(能見相)과 경계상(境界相). 〈대승기신론〉에서는 일심 진여를 우주 근본으로 삼고, 여기에서 일체 현상을 내는 것을 무명 때문이라 하고, 이 무명을 근본불각(根本不覺), 지말불각(枝末不覺)으로 나눈다.
주006)
니르리:이르기까지. 니를-[至]+이(부사형어미).
주007)
닛:잇는. -[連]++ㄴ. 8종성표기법.
주008)
긋디:그치지. 끊어지지. 긏-+디(보조적 연결어미). ‘긏-’은 자동사로도 쓰이고 타동사로 쓰이는 이른바 능격동사.
주009)
나톰과:나타냄과. 낱-[現]+옴(명사형어미)+과.
주010)
너부믄:넓음은. 넙-[廣]+움(명사형어미)+은.
주011)
뎻:저의. 저 곳의. 뎌[彼]+에(부사격조사)+ㅅ(관형격조사).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