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7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7집 하1의2
  • 6. 청정혜보살장(淸淨慧菩薩章)
  • 5. 게송으로 요약하심
  • 5. 게송으로 요약하심 1
메뉴닫기 메뉴열기

5. 게송으로 요약하심 1


【종밀주석】 偈讚中이 三이니 初二 全同長行고 第三兩句 摠結이니 長行애 無也니라

偈讚中이 세히니 첫 둘흔 오로 주001)
오로:
온전히. 온통. 오/올-[全](형용사)+오(부사파생접미사). ‘오로’로도 쓰임.
長行 고 주002)
고:
같고. -+고. 8종성표기법.
第三 두 句 뫼화 結샤미니 長行 주003)
장항(長行):
운문체의 게송에 대하여 산문체의 경문(經文)을 말함.
애 업스니라

게찬 부분이 셋이니, 첫 둘은 온전히 장항(長行)과 같고 제3 두 구는 모아서 맺으심이니, 장항에 없느니라.

【경】 爾時世尊이 欲重宣此義샤 而說偈言샤

주004)
:
때에. [時]+의(특수처소부사격조사). ‘-의’는 관형격 조사와 형태가 같은데, 이러한 특수처소부사격 조사를 취하는 체언은 정해져 있다. 대개 시간, 장소, 방향을 나타내는 체언이 특수처소부사격 조사를 취한다.
世尊이 주005)
이:
‘世尊이’의 ‘-이’는 주격조사. 높임의 ‘-셔’가 쓰일 수 있는 위치에 ‘-이’가 쓰이는 일이 많다.
들 주006)
들:
뜻을. [意]+을. 〉〉뜻.
다시 펴려 샤 偈 니샤

그 때에 세존께서 이 뜻을 다시 펴려 하시어 게를 이르시되,

【경】 淸淨慧여 當知라 圓滿菩提性은 無取亦無

원각경언해 하1의2:55ㄴ

證며 無菩薩衆生컨마

淸淨慧 주007)
여:
-아. 호격조사.
반기 알라 주008)
알라:
알라. 중세국어에서도 직접명령의 ‘-어라/아라’와 간접명령의 ‘-으라’가 구별되어 쓰인 것인지는 분명치 않다.
圓滿 菩提性은 取홈 업스며  證홈 업스며 菩薩와 衆生 업건마 주009)
업건마:
없건만. 없-+거+ㄴ마. ‘-ㄴ마’이 어미로 보인다. 그러나 ‘브즈런커시뇨마’(남명집언해 하 41ㄱ)에서는 ‘마’이 보조사로 보임.

청정혜여, 반드시 알라. 원만구족한 보리성은 취함이 없으며, 또 증함이 없으며, 보살과 중생이 없건만,

【종밀주석】 上은 圓覺無證이오 下 對機說證이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우흔 주010)
우흔:
위는. 웋(上. ㅎ 종성체언)+은(보조사).
圓覺이 證 업수미오 아랜 주011)
아랜:
아래는. 아래+ㄴ(보조사).
機를 對야 證 니샤미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위는 원각이 증 없음이고, 아래는 근기를 대하여 증을 이르신 것이다.
Ⓒ 역자 | 이유기 / 2005년 12월 23일

주석
주001)
오로:온전히. 온통. 오/올-[全](형용사)+오(부사파생접미사). ‘오로’로도 쓰임.
주002)
고:같고. -+고. 8종성표기법.
주003)
장항(長行):운문체의 게송에 대하여 산문체의 경문(經文)을 말함.
주004)
:때에. [時]+의(특수처소부사격조사). ‘-의’는 관형격 조사와 형태가 같은데, 이러한 특수처소부사격 조사를 취하는 체언은 정해져 있다. 대개 시간, 장소, 방향을 나타내는 체언이 특수처소부사격 조사를 취한다.
주005)
이:‘世尊이’의 ‘-이’는 주격조사. 높임의 ‘-셔’가 쓰일 수 있는 위치에 ‘-이’가 쓰이는 일이 많다.
주006)
들:뜻을. [意]+을. 〉〉뜻.
주007)
여:-아. 호격조사.
주008)
알라:알라. 중세국어에서도 직접명령의 ‘-어라/아라’와 간접명령의 ‘-으라’가 구별되어 쓰인 것인지는 분명치 않다.
주009)
업건마:없건만. 없-+거+ㄴ마. ‘-ㄴ마’이 어미로 보인다. 그러나 ‘브즈런커시뇨마’(남명집언해 하 41ㄱ)에서는 ‘마’이 보조사로 보임.
주010)
우흔:위는. 웋(上. ㅎ 종성체언)+은(보조사).
주011)
아랜:아래는. 아래+ㄴ(보조사).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