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7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7집 하1의1
  • 5. 미륵보살장(彌勒菩薩章)
  • 4. 윤회의 근본을 밝혀주심
  • 4-1) 윤회에 대하여 말씀해주심 가) 윤회의 근본과 곁가지 ① 끊어야 할 대상을 보여주심 10
메뉴닫기 메뉴열기

4-1) 윤회에 대하여 말씀해주심 가) 윤회의 근본과 곁가지 ① 끊어야 할 대상을 보여주심 10


【경】 境背愛心면 而生憎嫉야 造種種業니

境이 愛心에 어긔면 주001)
어긔면:
어긋나면. 어긔-[違]+면.
믜요 주002)
믜요:
미워함을. 믜-[憎]+옴/욤(명사형어미)+(목적격조사). 형용사라면 ‘믜-+ㅂ(형용사파생접미사)+움(명사형어미)+을’로 구성된 ‘믜우믈’로 나타남.
내야 種種 業을 짓니

대경(對境)이 애심(愛心)에 어긋나면 미워함을 내어 가지가지 업을 짓나니,

【종밀주석】 由愛彼境야 境不順心면 便生熟惱憎嫉니 憎嫉故로 起瞋코 瞋故로 殺害逼惱打罵陵辱種種惡業이 從此便興니라 亦可境稱愛心면 而生耽著야 淫盜飮啖侵奪綺妄種種惡業이니 文無者 略也ㅣ라 言種種者 十不善等이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원각경언해 하1의1:27ㄴ

뎌 境 愛호 브터 境이 

원각경언해 하1의1:28ㄱ

매 順티 아니면 곧 더워 주003)
더워:
더워. 덥-+어. 더〉더워.
닶가오며 주004)
닶가오며:
답답하며. 고민하며. 닶기-+압(형용사파생접미사)+으며. 닶가며〉닶가오며.
믜요 주005)
믜요:
미워함을. 믜-[憎]+옴/욤(명사형어미)+(목적격조사). 형용사라면 ‘믜-+ㅂ(형용사파생접미사)+움(명사형어미)+을’로 구성된 ‘믜우믈’로 나타남.
내니 믤 瞋을 니르왇고 瞋 주귬과 주006)
주귬과:
죽임과. 죽-+이(사동접미사)+움(명사형어미)+과.
다와다 주007)
다와다:
다그쳐. 다왇-[逼]+아(연결어미).
보참과 주008)
보참과:
보챔과. 괴롭힘과. 보차-[괴롭히다]+옴(명사형어미)+과. 보차-+옴→보:참. /ㅏ, ㅓ, ㅗ, ㅜ/ 뒤에 ‘-오/우-’가 결합되면, ‘-오/우-’는 나타나지 않고, 이처럼 성조가 바뀐다. ‘참’이 책에는 거성(1점)으로 보이나, 나타난 점이 아래로 치우친 것으로 보아, 점 하나가 더 있는 것(상성)으로 보인다.
튬과 주009)
튬과:
침과 때림과. 티-[打]+움(명사형어미)+과.
구지줌과 주010)
구지줌과:
꾸짖음과 구짖-[罵]+움(명사형어미)+과.
辱홈과 種種 주011)
앳:
‘-앳’은 ‘애(부사격조사)+ㅅ(관형격조사)’의 구조로 보이나, 이 ‘-애’에 부사격조사의 성격이 없는 것이 많이 보인다. ‘種種앳’의 ‘-애’도 그 예이다.
惡業이 이 브터 곧 니니라  어루 境이 愛心에 마면 耽著 내야 淫과 盜와 마숌과 머굼과 보차 주012)
보차:
보채어. 보차-+아.
아과 주013)
아과:
빼앗음과. -[奪]+옴(명사형어미)+과.
綺語와 妄言과 種種앳 惡業이니 文이 업수믄 略히 샤미라 種種이라 니샤 열 不善 等이라【十不善은 殺生과 偸盜와 邪婬과 妄語와 兩舌와 惡口와 綺語와 貪欲과 瞋恚와 邪見괘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저 대경(對境)을 애착함으로 말미암아 대경이 마음에 따르지 아니하면 곧 더워 답답하며 미워함을 내나니, 미워하므로 성냄을 일으키고 성내므로 죽임과 다그쳐 보챔
(=괴롭힘)
과 침과 꾸짖음과 욕함과 가지가지의 악업이 이로 말미암아 곧 일어나느니라. 또 가히 대경이 애착하는 마음에 맞으면 탐착을 내어 음란함과 도둑질과 마심과 먹음과 보채어 빼앗음과 기어(綺語
아름다운 말
)와 거짓말과 가지가지 악업이니, 글이 없음은 간략히 하신 것이다. 가지가지라 이르심은 열 가지 불선(=착하지 않음) 등이다【열 가지 불선(十不善)은 살생과 투도와 사음과 거짓말과 두말하기와 나쁜 말 하기와 현란한 말과 탐욕과 성냄과 사견이다.】.
Ⓒ 역자 | 이유기 / 2005년 12월 23일

주석
주001)
어긔면:어긋나면. 어긔-[違]+면.
주002)
믜요:미워함을. 믜-[憎]+옴/욤(명사형어미)+(목적격조사). 형용사라면 ‘믜-+ㅂ(형용사파생접미사)+움(명사형어미)+을’로 구성된 ‘믜우믈’로 나타남.
주003)
더워:더워. 덥-+어. 더〉더워.
주004)
닶가오며:답답하며. 고민하며. 닶기-+압(형용사파생접미사)+으며. 닶가며〉닶가오며.
주005)
믜요:미워함을. 믜-[憎]+옴/욤(명사형어미)+(목적격조사). 형용사라면 ‘믜-+ㅂ(형용사파생접미사)+움(명사형어미)+을’로 구성된 ‘믜우믈’로 나타남.
주006)
주귬과:죽임과. 죽-+이(사동접미사)+움(명사형어미)+과.
주007)
다와다:다그쳐. 다왇-[逼]+아(연결어미).
주008)
보참과:보챔과. 괴롭힘과. 보차-[괴롭히다]+옴(명사형어미)+과. 보차-+옴→보:참. /ㅏ, ㅓ, ㅗ, ㅜ/ 뒤에 ‘-오/우-’가 결합되면, ‘-오/우-’는 나타나지 않고, 이처럼 성조가 바뀐다. ‘참’이 책에는 거성(1점)으로 보이나, 나타난 점이 아래로 치우친 것으로 보아, 점 하나가 더 있는 것(상성)으로 보인다.
주009)
튬과:침과 때림과. 티-[打]+움(명사형어미)+과.
주010)
구지줌과:꾸짖음과 구짖-[罵]+움(명사형어미)+과.
주011)
앳:‘-앳’은 ‘애(부사격조사)+ㅅ(관형격조사)’의 구조로 보이나, 이 ‘-애’에 부사격조사의 성격이 없는 것이 많이 보인다. ‘種種앳’의 ‘-애’도 그 예이다.
주012)
보차:보채어. 보차-+아.
주013)
아과:빼앗음과. -[奪]+옴(명사형어미)+과.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