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7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7집 하1의2
  • 6. 청정혜보살장(淸淨慧菩薩章)
  • 4. 수행의 경지를 단계별로 말씀하심
  • 4-2) 중생의 근기 때문에 수행의 차별이 있음 나) 사량분별을 끊고 단박에 체험 1
메뉴닫기 메뉴열기

4-2) 중생의 근기 때문에 수행의 차별이 있음 나) 사량분별을 끊고 단박에 체험 1


【경】 善男子아 但諸菩薩와 及末世衆生이

善男子 주001)
선남자(善男子):
대승법을 믿는 신심(信心)이 있는 남자.
주002)
아:
-아/야. 호격 조사. 중세국어에서도 모음으로 끝난 체언 뒤에서 호격 조사 ‘-야’가 쓰이기도 했는데, 여기서는 ‘-아’가 쓰임.
오직 한 菩薩와 末世 주003)
말세(末世):
사람의 마음이 어지럽고 여러 가지 죄악이 성행하는 시대. 말대(末代).
衆生이

선남자야, 오직 많은 보살과 말세 중생이

【종밀주석】 指示末世安心文이 有四節니 每節二句

원각경언해 하1의2:49ㄱ

ㅣ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末世 주004)
ㅅ:
-의. 관형격조사. 관형격 조사에는 ‘-ㅅ’과 ‘-/의’가 있었다. 일반적으로 무정체언 또는 높임의 대상인 체언 뒤에는 ‘-ㅅ’이, 평칭의 인칭 체언 뒤에서는 ‘-/의/ㅣ’가 쓰였다.
 便安히 호 쳐 주005)
쳐:
가리켜. 치-[指]+어. 중세국어의 ‘치-’는 [指]와 [敎] 두 가지 의미로 쓰임.
뵈샨 주006)
뵈샨:
보이신. 보-+ㅣ(사동접미사)+샤+오/우+ㄴ.
文이 네 節이 잇니 節마다 두 句ㅣ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말세의 마음 편안히 함을 가리켜 보이신 글이 네 마디가 있으니, 마디마다 두 구이다.
Ⓒ 역자 | 이유기 / 2005년 12월 23일

주석
주001)
선남자(善男子):대승법을 믿는 신심(信心)이 있는 남자.
주002)
아:-아/야. 호격 조사. 중세국어에서도 모음으로 끝난 체언 뒤에서 호격 조사 ‘-야’가 쓰이기도 했는데, 여기서는 ‘-아’가 쓰임.
주003)
말세(末世):사람의 마음이 어지럽고 여러 가지 죄악이 성행하는 시대. 말대(末代).
주004)
ㅅ:-의. 관형격조사. 관형격 조사에는 ‘-ㅅ’과 ‘-/의’가 있었다. 일반적으로 무정체언 또는 높임의 대상인 체언 뒤에는 ‘-ㅅ’이, 평칭의 인칭 체언 뒤에서는 ‘-/의/ㅣ’가 쓰였다.
주005)
쳐:가리켜. 치-[指]+어. 중세국어의 ‘치-’는 [指]와 [敎] 두 가지 의미로 쓰임.
주006)
뵈샨:보이신. 보-+ㅣ(사동접미사)+샤+오/우+ㄴ.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