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7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7집 하1의2
  • 6. 청정혜보살장(淸淨慧菩薩章)
  • 4. 수행의 경지를 단계별로 말씀하심
  • 4-2) 중생의 근기 때문에 수행의 차별이 있음 가) 지위에 따른 점차적 수행 ① 신위 11
메뉴닫기 메뉴열기

4-2) 중생의 근기 때문에 수행의 차별이 있음 가) 지위에 따른 점차적 수행 ① 신위 11


【경】 若復有人이 勞慮ㅣ 永斷면

다가  사미 잇비 분별 주001)
분별:
염려. ‘分別’이 한글로 표기되는 것은 중세국어에서는 매우 드문 일.
호미 永히 그츠면 주002)
그츠면:
끊어지면. 긏-[斷]+으면. ‘긏-’은 자동사로도 쓰이고 타동사로 쓰이는 이른바 능격동사.

만일 또 사람이 힘들게 염려함이 영원히 그치면

【종밀주석】 絶求作之心이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求홈과 짓논 주003)
짓논:
짓는. -[作]++오/우+ㄴ. 8종성표기법.
 그추미라 주004)
그추미라:
끊음이다. 긏-[斷]+움+이+라. 여기의 ‘-우-’는 사동접미사가 아니다. ‘긏-’에 결합하는 사동접미사는 ‘-이-’이다.
【한 業을 짓디 아니호미니 비록 法性을 조차 順야 助道法을 닷나 주005)
닷나:
닦으나. -[修]+나.
心行애 求홈 업스며 지 주006)
지:
지음. -[作]+옴/움(명사형어미).
업슬 닐오 그추미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구함과 짓는 마음을 끊음이다【많은 업을 짓지 아니함이니, 비록 법성을 좇아 따라서 조도법을 닦으나 심행에 구함이 없으며 지음이 없으므로 이르되 ‘끊음’이다.】.
Ⓒ 역자 | 이유기 / 2005년 12월 23일

주석
주001)
분별:염려. ‘分別’이 한글로 표기되는 것은 중세국어에서는 매우 드문 일.
주002)
그츠면:끊어지면. 긏-[斷]+으면. ‘긏-’은 자동사로도 쓰이고 타동사로 쓰이는 이른바 능격동사.
주003)
짓논:짓는. -[作]++오/우+ㄴ. 8종성표기법.
주004)
그추미라:끊음이다. 긏-[斷]+움+이+라. 여기의 ‘-우-’는 사동접미사가 아니다. ‘긏-’에 결합하는 사동접미사는 ‘-이-’이다.
주005)
닷나:닦으나. -[修]+나.
주006)
지:지음. -[作]+옴/움(명사형어미).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