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7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7집 하1의2
  • 6. 청정혜보살장(淸淨慧菩薩章)
  • 4. 수행의 경지를 단계별로 말씀하심
  • 4-1) 원각 자체에는 보살과 중생의 차별이 없음 10
메뉴닫기 메뉴열기

4-1) 원각 자체에는 보살과 중생의 차별이 없음 10


【경】 譬如眼根이 不自見眼야 性自平等며 無平等者니라

가비건댄 眼根이 제 眼을 보디 몯 주001)
몯:
못하듯. 몯(부사)+-+(어미). ‘’ 탈락.
야 性이 주002)
제:
제가. 스스로가. 저절로. 인칭대명사의 주격 형태와 관형격 형태는 성조에 의해 구별되는 일이 많다. ①:제(주격), 제(관형격) ②‧내(주격), 내(관형격) ③:네(주격), 네(관형격) ④‧뉘(주격), :뉘(관형격).
平等며 平等리 업스니라

비유하건대 안근이 제 눈을 보지 못하듯 하여 성이 저절로 평등하며 평등한 사람이 없으리라.

【종밀주석】 夫眼이 能見一切호 唯不能自見眼根니라 又如眼光이 照矚物時예 境則萬差ㅣ나 見卽是一故로 云平等이니 但約於凡聖이 無分別勝劣之心야 說平等義언 亦無有

원각경언해 하1의2:8ㄴ

能作平等之者니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眼이 能히 一切 보 주003)
보:
보되. 보-+오. ‘보-[見]’는 거성인데, 선어말어미 ‘-오/우-’와 결합하여 상성의 ‘:보-’로 나타남.
오직 能히 제 眼根을 보디 몯니라  眼光이 物을 비취여 볼 時節에 境은 萬으로 다나 보 주004)
보:
보는 것은. 보-[見]+옴/움(명사형어미)+(보조사). ‘보-’는 평성인데, ‘-오/우-’와 결합하여 상성으로 변화함. /ㅏ, ㅓ, ㅗ, ㅜ/ 뒤에 ‘-오/우-’가 결합되면, ‘-오/우-’는 나타나지 않고, 이처럼 성조가 바뀐다. [春]을 뜻하는 ‘·봄’은 거성이다.
곧 이 나힐 주005)
나힐:
하나이므로. 낳(ㅎ 종성체언)+이(서술격조사)+ㄹ. ‘-ㄹ’는 이 책 이전에는 ‘ㄹ’로 적혔으나, 이 책에서부터 각자병서가 폐지됨.
니샤 平等이니 오직 凡과 聖괘 勝며 劣호 욤 업슨  자바 주006)
자바:
잡아. 잡-+아. 《이조어사전》에서는 이 ‘잡-’의 뜻을 [어림하다. 짐작하다]로 파악하였는데, 그것은 ‘잡-’이 ‘約’의 번역으로 쓰인 데에 말미암은 것이다. 그러나 문맥으로 보면, ‘잡다’는 ‘추상적이거나 모호하여 인식하기 어려운 대상을 명시적으로 바라보거나 남에게 보여 주다’란 뜻을 지니는 것으로 생각된다.
平等ㅅ 들 니 니언  能히 平等을 지리 주007)
지리:
지을 사람이. -[作]+을(관형사형어미)+이(의존명사)+∅(주격조사).
업스니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눈이 능히 일체를 보되 오직 능히 제 안근은 보지 못하느니라. 또 눈빛이 사물을 비추어 볼 때에 외물은 만 가지로 다르나 보는 것은 곧 이것이 하나이므로 이르시되 평등이니, 오직 범인과 성인이 더 낫고 못함을 구별함이 없는 마음을 잡고서 평등이란 뜻을 말할 뿐이지 또 능히 평등을 지을 사람이 없느니라.
Ⓒ 역자 | 이유기 / 2005년 12월 23일

주석
주001)
몯:못하듯. 몯(부사)+-+(어미). ‘’ 탈락.
주002)
제:제가. 스스로가. 저절로. 인칭대명사의 주격 형태와 관형격 형태는 성조에 의해 구별되는 일이 많다. ①:제(주격), 제(관형격) ②‧내(주격), 내(관형격) ③:네(주격), 네(관형격) ④‧뉘(주격), :뉘(관형격).
주003)
보:보되. 보-+오. ‘보-[見]’는 거성인데, 선어말어미 ‘-오/우-’와 결합하여 상성의 ‘:보-’로 나타남.
주004)
보:보는 것은. 보-[見]+옴/움(명사형어미)+(보조사). ‘보-’는 평성인데, ‘-오/우-’와 결합하여 상성으로 변화함. /ㅏ, ㅓ, ㅗ, ㅜ/ 뒤에 ‘-오/우-’가 결합되면, ‘-오/우-’는 나타나지 않고, 이처럼 성조가 바뀐다. [春]을 뜻하는 ‘·봄’은 거성이다.
주005)
나힐:하나이므로. 낳(ㅎ 종성체언)+이(서술격조사)+ㄹ. ‘-ㄹ’는 이 책 이전에는 ‘ㄹ’로 적혔으나, 이 책에서부터 각자병서가 폐지됨.
주006)
자바:잡아. 잡-+아. 《이조어사전》에서는 이 ‘잡-’의 뜻을 [어림하다. 짐작하다]로 파악하였는데, 그것은 ‘잡-’이 ‘約’의 번역으로 쓰인 데에 말미암은 것이다. 그러나 문맥으로 보면, ‘잡다’는 ‘추상적이거나 모호하여 인식하기 어려운 대상을 명시적으로 바라보거나 남에게 보여 주다’란 뜻을 지니는 것으로 생각된다.
주007)
지리:지을 사람이. -[作]+을(관형사형어미)+이(의존명사)+∅(주격조사).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