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7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7집 하1의2
  • 6. 청정혜보살장(淸淨慧菩薩章)
  • 4. 수행의 경지를 단계별로 말씀하심
  • 4-2) 중생의 근기 때문에 수행의 차별이 있음 나) 사량분별을 끊고 단박에 체험 4
메뉴닫기 메뉴열기

4-2) 중생의 근기 때문에 수행의 차별이 있음 나) 사량분별을 끊고 단박에 체험 4


【경】 住妄想境야 不加了知며

妄想境에 住야 아로 주001)
아로:
앎을. 알-[知]+옴+.
더으디 주002)
더으디:
더하지. 더으-[加]+디(보조적 연결어미). 현대국어 보조적 연결어미 ‘-지’는 ‘-디’에서 발달한 것이고, 종결어미 ‘-지’는 ‘-디’에서 발달한 것이다. ‘-디’는 선행절을 강조하면서, 부정적인 내용의 후행절과 접속시키는 연결어미.
아니며

망상경에 머물러 앎을 더하지 아니하며,

【종밀주석】 境이 從心야 現이라 元是自心이니 若加了知면 卽迷現量故로 經에 說非幻이 成幻이라

원각경언해 하1의2:50ㄴ

시며 論애 云호 心不見心이라 니 但不生情면 自然如鏡照物리라 且心體ㅣ 本自知覺이어니 何必更加了知리오 知上애 起知호미 名爲加矣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원각경언해 하1의2:51ㄱ

주003)
경(境):
인식의 대상.
이  브터 現혼 디라 주004)
디라:
것이다. (의존명사)+ㅣ(서술격조사)+다/라.
本來 이 제 미니 다가 아로 더으면 곧 現量 迷릴【現量 分別 업슨 비취요미라 迷호 照논 고대 分別 念이니 닐오 各別히 잇다  젼라】 經에 니샤 幻 아닌 거시 幻이 외다 시며 論애 닐오 미  보디 아니다 니 오직 情을 내디 아니면 自然히 거우뤼 物 비취욤 리라  心體ㅣ 本來 제 아로미어니 주005)
아로미어니:
앎이거니. 알-+옴+이(서술격조사)+거/어(확정법 선어말어미)+니. 서술격조사 뒤에서 /ㄱ/ 약화.
엇뎨 반기 다시 아로 더으

원각경언해 하1의2:51ㄴ

리오 아롬 우희 주006)
우희:
위에. 웋+의(특수처소부사격조사).
아로 니르와도미 일후미 더우미라 주007)
더우미라:
더함이다. 더으-[加]+움(명사형어미)+이+다/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경이 마음으로부터 나타난 것이라, 본래 이것이 제 마음이니, 만일 앎을 더하면 곧 현량을 헛되이 바라볼 것이므로【현량은 분별 없는 비춤이다. 미하다는 것은 비추는 곳에 분별하는 념이니, 말하자면 따로이 있다 하는 까닭이다.】 경에서 이르시되, 헛것이 아닌 것이 헛것이 되었다 하시며 논에서 이르되 마음이 마음을 보지 아니한다 하니, 오직 정을 내지 아니하면 자연히 거울이 사물을 비춤과 같으리라. 또 심체가 본래 스스로 앎이거니, 어찌 반드시 다시 앎을 더하리오? 앎 위에 앎을 일으킴이 이름이 ‘더함’이다.
Ⓒ 역자 | 이유기 / 2005년 12월 23일

주석
주001)
아로:앎을. 알-[知]+옴+.
주002)
더으디:더하지. 더으-[加]+디(보조적 연결어미). 현대국어 보조적 연결어미 ‘-지’는 ‘-디’에서 발달한 것이고, 종결어미 ‘-지’는 ‘-디’에서 발달한 것이다. ‘-디’는 선행절을 강조하면서, 부정적인 내용의 후행절과 접속시키는 연결어미.
주003)
경(境):인식의 대상.
주004)
디라:것이다. (의존명사)+ㅣ(서술격조사)+다/라.
주005)
아로미어니:앎이거니. 알-+옴+이(서술격조사)+거/어(확정법 선어말어미)+니. 서술격조사 뒤에서 /ㄱ/ 약화.
주006)
우희:위에. 웋+의(특수처소부사격조사).
주007)
더우미라:더함이다. 더으-[加]+움(명사형어미)+이+다/라.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