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7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7집 하1의2
  • 6. 청정혜보살장(淸淨慧菩薩章)
  • 4. 수행의 경지를 단계별로 말씀하심
  • 4-2) 중생의 근기 때문에 수행의 차별이 있음 가) 지위에 따른 점차적 수행 ① 신위 4
메뉴닫기 메뉴열기

4-2) 중생의 근기 때문에 수행의 차별이 있음 가) 지위에 따른 점차적 수행 ① 신위 4


【경】 曾不自知念念生滅야

간도 제 念念 주001)
염염(念念):
정신 현상의 최소 단위를 1념(一念)이라 함. 아주 짧은 시간.
에 生滅  아디 몯야

잠깐도 스스로 염염에 생멸하는 것을 알지 못하여,

【종밀주석】 我體本無ㅣ어늘 唯心故로 有니 心旣念念無常이라 我亦念念에 生滅니 故로 淨名에 云샤 是身이 如電야 念念不住ㅣ라 시니 故로 論애 云호 一切衆生을 不名爲覺은 以從本來예 念念相續 故說無始無

원각경언해 하1의2:19ㄱ

明이라 니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我體ㅣ 本來 업거늘 오직 밀 잇니 미 마 念念에 無常혼 디라 我도  念念에 生滅니 그럴 淨名에 니샤 이 모미 번게 주002)
번게:
번개.
야 주003)
야:
같아서. (부사)+-아/어/야/여. 어간이 ‘-’으로도 나타난다. ‘-’는 ‘(부사)’에 ‘-’가 붙어 형성된 형용사인데, ‘니(+-+니)’와 같은 활용형에 대한 오분석의 결과 새로운 어간 ‘-’이 형성되었다. 이 ‘-’은 음절말에서는 8종성표기법에 의해 ‘-’으로 적힌다.
念念에 住티 아닌니라 주004)
아닌니라:
아니하느니라. 아니(부사)+-++니+라. ‘-’의 /ㆍ/가 탈락한 다음 /ㄴ/ 앞에서 /ㅎ/이 /ㄴ/에 동화됨.
시니 그럴 論애 닐오 一切 衆生 覺이라 일훔 몯호 本來브터 오매 念念이 서르 니 닐오 無始 無明이라 니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아체가 본래 없거늘 오직 마음이므로 있나니, 마음이 이미 염염에 무상한지라, 아상도 또 염염에 생멸하나니, 그러므로 정명경에서 이르시되, 이 몸이 번개 같아서 염염에도 머물지 아니하느니라 하시니, 그러므로 논에서 이르되 일체 중생을 각이라 일컫지 못함은 본래부터 〈옴에〉 염염이 서로 이어지므로 이르되 무시 무명이라 하니라.
Ⓒ 역자 | 이유기 / 2005년 12월 23일

주석
주001)
염염(念念):정신 현상의 최소 단위를 1념(一念)이라 함. 아주 짧은 시간.
주002)
번게:번개.
주003)
야:같아서. (부사)+-아/어/야/여. 어간이 ‘-’으로도 나타난다. ‘-’는 ‘(부사)’에 ‘-’가 붙어 형성된 형용사인데, ‘니(+-+니)’와 같은 활용형에 대한 오분석의 결과 새로운 어간 ‘-’이 형성되었다. 이 ‘-’은 음절말에서는 8종성표기법에 의해 ‘-’으로 적힌다.
주004)
아닌니라:아니하느니라. 아니(부사)+-++니+라. ‘-’의 /ㆍ/가 탈락한 다음 /ㄴ/ 앞에서 /ㅎ/이 /ㄴ/에 동화됨.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