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7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7집 하1의2
  • 6. 청정혜보살장(淸淨慧菩薩章)
  • 4. 수행의 경지를 단계별로 말씀하심
  • 4-2) 중생의 근기 때문에 수행의 차별이 있음 가) 지위에 따른 점차적 수행 ④과위 1
메뉴닫기 메뉴열기

4-2) 중생의 근기 때문에 수행의 차별이 있음 가) 지위에 따른 점차적 수행 ④과위 1


【경】 善男子아 一切障礙ㅣ 卽究竟覺이니

善男子 주001)
아:
-아/야. 호격 조사. 중세국어에서도 모음으로 끝난 체언 뒤에서 호격 조사 ‘-야’가 쓰이기도 했는데, 여기서는 ‘-아’가 쓰임.
一切 障礙 곧 究竟覺이니

선남자야, 일체 장애가 곧 구경각이니,

【종밀주석】

원각경언해 하1의2:38ㄱ

摠標也ㅣ니 謂智冥圓覺야 無分別心故로 列十對法이 皆同眞實시니 卽論中엣 見性常住等也ㅣ라 又若見有障可斷야 斷已名覺면 覺非究竟故로 障礙ㅣ 卽覺이라 方究竟矣니라

원각경언해 하1의2:38ㄴ

障礙者 標每對中上句시고 究竟覺은 卽標下句시니라 十對者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뫼화 標샤미니 智ㅣ 圓覺애

원각경언해 하1의2:39ㄱ

어우러 分別心 업슬 버리샨 주002)
버리샨:
벌이신. 벌-[列]+이(사동접미사)+샤(주체존대 선어말어미)+오/우+ㄴ.
十對ㅅ 法이 다  가짓 주003)
가짓:
가지의. ‘-ㅅ’은 관형격 조사. 관형격 조사에는 ‘-ㅅ’과 ‘-/의’가 있었다. 일반적으로 무정체언 또는 높임의 대상인 체언 뒤에는 ‘-ㅅ’이, 평칭의 인칭 체언 뒤에서는 ‘-/의/ㅣ’가 쓰였다.
眞實이라 시니 곧 論中엣 性 보아 常住홈 等이라  다가 障이 어루 그출 주004)
그출:
끊을. 긏-[斷]+오/우+ㄹ(관형사형어미). ‘-오/우-’는 이른바 대상활용 선어말어미.
것 이슈믈 보아 긋고 일후믈 覺이라 면 覺이 究竟 아닐 障礙 곧 覺이라 주005)
이라:
이라야. 이(서술격조사)+어/아(연결어미)+. 서술격조사 뒤에서 ‘-어/아’가 ‘-라’로 교체되는 사실은 서술격조사가 기원적으로 ‘일-’에서 발달한 것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비르서 究竟이니라 障礙 每對中엣 주006)
웃:
위의. 웋(上. ㅎ 종성체언)+ㅅ(관형격조사). ‘우흿’으로 나타나는 일이 많음.
句를 標시고 究竟覺 곧 아랫 句를 標시니라 十對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모아서 보이신 것이니, 지혜가 원각에 어우러져 분별심이 없으므로 벌이신 10가지 대법이 다 한 가지 진실이라 하시니, 곧 논장 중의 ‘성을 보아 상주함’ 등이다. 또 만일 장애가 가히 끊을 수 있는 것 있음을 보아 끊고 이름을 각이라 하면 각이 구경이 아니므로 장애가 곧 각이라야 비로소 구경이니라. 장애는 매 댓구 중의 윗 구를 표하시고, 구경각은 곧 아래의 구를 표하신 것이다. 십대(열 가지 대립)는
Ⓒ 역자 | 이유기 / 2005년 12월 23일

주석
주001)
아:-아/야. 호격 조사. 중세국어에서도 모음으로 끝난 체언 뒤에서 호격 조사 ‘-야’가 쓰이기도 했는데, 여기서는 ‘-아’가 쓰임.
주002)
버리샨:벌이신. 벌-[列]+이(사동접미사)+샤(주체존대 선어말어미)+오/우+ㄴ.
주003)
가짓:가지의. ‘-ㅅ’은 관형격 조사. 관형격 조사에는 ‘-ㅅ’과 ‘-/의’가 있었다. 일반적으로 무정체언 또는 높임의 대상인 체언 뒤에는 ‘-ㅅ’이, 평칭의 인칭 체언 뒤에서는 ‘-/의/ㅣ’가 쓰였다.
주004)
그출:끊을. 긏-[斷]+오/우+ㄹ(관형사형어미). ‘-오/우-’는 이른바 대상활용 선어말어미.
주005)
이라:이라야. 이(서술격조사)+어/아(연결어미)+. 서술격조사 뒤에서 ‘-어/아’가 ‘-라’로 교체되는 사실은 서술격조사가 기원적으로 ‘일-’에서 발달한 것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주006)
웃:위의. 웋(上. ㅎ 종성체언)+ㅅ(관형격조사). ‘우흿’으로 나타나는 일이 많음.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