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7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7집 하1의1
  • 5. 미륵보살장(彌勒菩薩章)
  • 4. 윤회의 근본을 밝혀주심
  • 4-1) 윤회에 대하여 말씀해주심 나) 윤회하는 중생의 다섯 종류 17
메뉴닫기 메뉴열기

4-1) 윤회에 대하여 말씀해주심 나) 윤회하는 중생의 다섯 종류 17


【경】 若遇如來無上菩提正脩行路면 根無大小히 皆成佛果리라

다가 如來 주001)
ㅅ:
-의. 관형격 조사. 관형격 조사에는 ‘-ㅅ’과 ‘-/의’가 있었다. 일반적으로 무정체언 또는 높임의 대상인 체언 뒤에는 ‘-ㅅ’이, 평칭의 인칭 체언 뒤에서는 ‘-/의/ㅣ’가 쓰였다.
無上 菩提ㅅ 正 脩行ㅅ 길흘 주002)
길흘:
길을. 긿(道. ㅎ 종성체언)+을.
맛나면 根이 크니 주003)
크니:
큰 사람. 크-[大]+ㄴ(관형사형어미)+이(의존명사).
져그니 주004)
져그니:
작은 사람. 젹-[小]+은(관형사형어미)+이(의존명사).
업시 다 佛果 일우리라

만일 여래의 무상 보리의 바른 수행의 길을 만나면 뿌리(근기)가 큰 사람 작은 사람 없이 다 불과를 이루리라.

【종밀주석】 遇於勝敎야 皆成은 卽明無別定性샤 反明不遇勝緣면 則隨所聞야 成小시니 文無者 略也ㅣ라 由此야 名不定性이니 故로 上애 標頓漸시니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원각경언해 하1의1:55ㄴ

勝 敎 맛나 다 일우믄 주005)
일우믄:
이룸은. 일-[成]+우(사동접미사)+움(명사형어미)+은. 이 책에서는 연철되는 예가 가끔 보인다. 바로 뒤에 그 예(예: 이로)가 있다.
곧 各別 定性 업수믈 기샤 주006)
기샤:
밝히시어. -[明]+이(사동접미사)+샤(주체존대 선어말어미)+아.
勝 緣을 맛나디 몯면 드로 주007)
드로:
들음을. 듣-[聞]+옴(명사형어미)+.
조차 져기 주008)
져기:
적게. 젹-[少]+이(부사형어미).
이로 주009)
이로:
이룸을. 일-[成]+오(사동접미사)+옴(명사형어미)+. ‘일우-’로 적히는 것이 보통. 바로 앞에 그 예가 있다.
드위혀 주010)
드위혀:
돌이켜. 드위(反. 접두사)+혀-[引]+어(연결어미). ‘드위혀다’는 ‘번역하다’의 뜻으로도 쓰임. ‘-’는 이 책에서부터 각자병서가 쓰이지 않게 됨에 따라 ‘혀-’로 적힘.
기시니 文이 업수믄 略히 샤미라 이 브터 일후미 不定性이니 그럴 우희 주011)
우희:
위에서. 웋(上. ㅎ 종성체언)+의(특수처소부사격조사). 관형어라면 ‘우흿’으로 나타났을 것이다. ‘-의’는 관형격 조사와 형태가 같은데, 이러한 특수처소부사격 조사를 취하는 체언은 정해져 있다. 대개 시간, 장소, 방향을 나타내는 체언이 특수처소부사격 조사를 취한다.
頓과 漸과 標시니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더 나은 가르침을 만나 다 이룸은 곧 다른 정성 없음을 밝히시어 더 나은 인연을 만나지 못하면 들음[聞]을 좇아 작게 이룸을 돌이켜 밝히시니, 글이 없음은 간략히 하신 것이다. 이로 말미암아 이름이 불정성이니, 그러므로 위에서 ‘돈’과 ‘점’을 지표로 보이신 것이다.
Ⓒ 역자 | 이유기 / 2005년 12월 23일

주석
주001)
ㅅ:-의. 관형격 조사. 관형격 조사에는 ‘-ㅅ’과 ‘-/의’가 있었다. 일반적으로 무정체언 또는 높임의 대상인 체언 뒤에는 ‘-ㅅ’이, 평칭의 인칭 체언 뒤에서는 ‘-/의/ㅣ’가 쓰였다.
주002)
길흘:길을. 긿(道. ㅎ 종성체언)+을.
주003)
크니:큰 사람. 크-[大]+ㄴ(관형사형어미)+이(의존명사).
주004)
져그니:작은 사람. 젹-[小]+은(관형사형어미)+이(의존명사).
주005)
일우믄:이룸은. 일-[成]+우(사동접미사)+움(명사형어미)+은. 이 책에서는 연철되는 예가 가끔 보인다. 바로 뒤에 그 예(예: 이로)가 있다.
주006)
기샤:밝히시어. -[明]+이(사동접미사)+샤(주체존대 선어말어미)+아.
주007)
드로:들음을. 듣-[聞]+옴(명사형어미)+.
주008)
져기:적게. 젹-[少]+이(부사형어미).
주009)
이로:이룸을. 일-[成]+오(사동접미사)+옴(명사형어미)+. ‘일우-’로 적히는 것이 보통. 바로 앞에 그 예가 있다.
주010)
드위혀:돌이켜. 드위(反. 접두사)+혀-[引]+어(연결어미). ‘드위혀다’는 ‘번역하다’의 뜻으로도 쓰임. ‘-’는 이 책에서부터 각자병서가 쓰이지 않게 됨에 따라 ‘혀-’로 적힘.
주011)
우희:위에서. 웋(上. ㅎ 종성체언)+의(특수처소부사격조사). 관형어라면 ‘우흿’으로 나타났을 것이다. ‘-의’는 관형격 조사와 형태가 같은데, 이러한 특수처소부사격 조사를 취하는 체언은 정해져 있다. 대개 시간, 장소, 방향을 나타내는 체언이 특수처소부사격 조사를 취한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