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7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7집 하1의2
  • 6. 청정혜보살장(淸淨慧菩薩章)
  • 1. 부처님께 드리는 질문
  • 1. 부처님께 드리는 질문 2
메뉴닫기 메뉴열기

1. 부처님께 드리는 질문 2


【종밀주석】 次陳辭句文中이 二

원각경언해 하1의2:2ㄴ

니 初 慶前이오

버거 주001)
버거:
다음으로. 벅-[次]+어(연결어미). 이 어휘의 어간은 ‘버그-’가 아니라 ‘벅-’이다. ‘벅게코져’(圓覺 상1-2:75ㄴ)를 참조할 것.
말 주002)
말:
말씀의. 말+ㅅ(관형격조사). ‘말’은 현대국어 ‘말씀’과 달리 반드시 [+높임]의 의미를 갖는 것이 아니다. 이전 시기에는 ‘말’으로 적혔던 것인데, 이 책에서부터 각자병서가 폐지됨.
 句 펴샨 文中이 둘히니 처믄 알 慶賀샤미오

다음으로 말씀의 구 펴신 글이 둘인데, 처음은 앞을 경하하신 것이고,

【경】 大悲世尊이 爲我等輩샤 廣說如是不思議事

大悲 世尊이 우리 무를 주003)
무를:
무리를. 물[群]+을.
爲샤 이  不思議ㅅ 일

대비 세존이 우리 무리를 위하시어 이 같은 불사의의 일

【종밀주석】 於一味淨覺之中에 說輪廻本末와 種性差別와 雜染等法샤 而無乖失故로 不思議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 맛 淨覺中에 輪廻ㅅ 本末와 種性ㅅ 差別와 雜染等 法을 니샤 그르 주004)
그르:
그릇되게. 그르-[非]+∅(부사파생접미사). 대개는 영형태를 인정하지 않고, 어간이 바로 부사로 파생된 것으로 간주함. 이른바 어간형 부사.
샴 업스실 不思議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한 맛의 정각 중에 윤회의 본말과 종성의 차별과 잡염 등의 법을 이르시되 그릇되게 하심이 없으시므로 불사의라.
Ⓒ 역자 | 이유기 / 2005년 12월 23일

주석
주001)
버거:다음으로. 벅-[次]+어(연결어미). 이 어휘의 어간은 ‘버그-’가 아니라 ‘벅-’이다. ‘벅게코져’(圓覺 상1-2:75ㄴ)를 참조할 것.
주002)
말:말씀의. 말+ㅅ(관형격조사). ‘말’은 현대국어 ‘말씀’과 달리 반드시 [+높임]의 의미를 갖는 것이 아니다. 이전 시기에는 ‘말’으로 적혔던 것인데, 이 책에서부터 각자병서가 폐지됨.
주003)
무를:무리를. 물[群]+을.
주004)
그르:그릇되게. 그르-[非]+∅(부사파생접미사). 대개는 영형태를 인정하지 않고, 어간이 바로 부사로 파생된 것으로 간주함. 이른바 어간형 부사.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