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7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7집 하1의2
  • 6. 청정혜보살장(淸淨慧菩薩章)
  • 청정혜보살장(淸淨慧菩薩章) 서문
메뉴닫기 메뉴열기

청정혜보살장(淸淨慧菩薩章) 서문


【종밀주석】

원각경언해 하1의2:1ㄱ

此下 第四略分修證之位也ㅣ니 旣顯覺智之源시고 復究輪廻之本시니 已知圓覺애凡聖이 無殊ㅣ언마 但未辨隨順圓覺之心이 從凡至聖히 如何差別故로 次明之시니라

원각경언해 하1의2:1ㄴ

言略分者 三賢이 綂爲一位코 十地等覺이 合之一門이라 修 卽修圓覺이오 證은 卽證圓覺이니 圓覺이 無差컨마 約修智샤 以明位地시니 文이 四ㅣ니 初三之初ㅣ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아랜 주001)
아랜:
아래는. 아래+ㄴ(보조사).
第四 修證ㅅ 位 略히 호샤미니 마 覺智ㅅ 根源을 나토시고 주002)
나토시고:
나타내시고. 낱-[現]+오(사동접미사)시+고.
 輪廻ㅅ 根本을 窮究시니 마 圓覺애 凡聖이 달옴 업수믈 아란마 주003)
아란마:
알았건만. 알-+거/어/아(확정법 표지)+ㄴ마. ‘-ㄴ마’이 어미로 보인다. 그러나 ‘브즈런커시뇨마’(남명집언해 하 41ㄱ)에서는 ‘마’이 보조사로 보임.
오직 圓覺 隨順 미 凡을 브터 聖에 니르리 엇뎨 差別 디 디 몯 버거 기시니라 略히 호시다 닐오 三賢이 모다  位 외오 十

원각경언해 하1의2:2ㄱ

地와 等覺이  門에 어우루미라 修는 곧 圓覺 닷고미오 證은 곧 圓覺 證호미니 圓覺이 달옴 업건마 닷 주004)
닷:
닦는. -[修]++ㄴ. ‘ㅺ’ 받침을 ‘ㅅ’으로 표기.
智 자샤 位地를 기시니 文이 네히니 첫 세헷 처미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이 아래는 제4 수증
(닦아 깨달음)
의 지위를 간략히 나누심이니, 이미 각지의 근원을 나타내시고 또 윤회의 근본을 궁구하심이니, 이미 원각에 범성이 다름이 없음을 알았건만 오직 원각을 수순하는 마음이 범인으로부터 성인에 이르기까지 어찌 다른지를 구별하지 못하므로 다음에 가서 밝히시니라. 간략히 나누셨다 함은 삼현(三賢)이 모여 한 지위가 되고, 십지(十地)와 등각이 한 문에서 합해짐이다. 닦음은 곧 원각을 닦음이고, 깨달음은 곧 원각을 깨달음이니, 원각이 다름이 없건만 닦는 지혜를 잡으시어 위지를 밝히시니, 글이 넷이니 첫 셋의 처음이다.
Ⓒ 역자 | 이유기 / 2005년 12월 23일

주석
주001)
아랜:아래는. 아래+ㄴ(보조사).
주002)
나토시고:나타내시고. 낱-[現]+오(사동접미사)시+고.
주003)
아란마:알았건만. 알-+거/어/아(확정법 표지)+ㄴ마. ‘-ㄴ마’이 어미로 보인다. 그러나 ‘브즈런커시뇨마’(남명집언해 하 41ㄱ)에서는 ‘마’이 보조사로 보임.
주004)
닷:닦는. -[修]++ㄴ. ‘ㅺ’ 받침을 ‘ㅅ’으로 표기.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