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7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7집 하1의1
  • 5. 미륵보살장(彌勒菩薩章)
  • 5. 게송으로 요약하심
  • 5. 게송으로 요약하심 3
메뉴닫기 메뉴열기

5. 게송으로 요약하심 3


【경】 十方諸菩薩이 皆以大悲願으로 示現入生死니 現在修行者와 及末世衆生이 勤斷諸愛見면 便歸大圓覺리라

十方 諸菩薩이 다 大悲願으로 生死에 드로 뵈야 現니 現在 脩行리와 末世 주001)
말세(末世):
사람의 마음이 어지럽고 여러 가지 죄악이 성행하는 시대. 말대(末代).
衆生이 한 愛見을 브즈러니 주002)
브즈러니:
부지런히. 이 어휘의 구조를 기술하는 방안에는 세 가지가 있다. ①‘브즈런(명사)+다(형용사파생접미사)’에 ‘-이(부사파생접미사)’가 붙은 ‘브즈런히’에서 /ㅎ/이 약화되어 형성된 것으로 보는 것. ②명사 ‘브즈런’에 접사 ‘-이’가 붙은 것으로 보는 것. ③기원적으로 부사인 ‘브즈런’이 명사적 자격을 얻어 여기에 접미사 ‘-이’가 붙은 것. 여기서는 ③을 취하기로 한다.
그츠면 곧 大圓覺에 가리라

시방 모든 보살이 다 대비원으로 생사에 들어감을 보여 나타내나니, 현재 수행할 사람과 말세 중생이 많은 애견을 부지런히 끊으면 곧 대원각에 가리라.

【종밀주석】 上來예 究輪廻之根을 竟시니라

우희 주003)
우희:
위에서. 웋(上. ㅎ 종성체언)+의(특수처소부사격조사). 관형어라면 ‘우흿’으로 나타났을 것이다. ‘-의’는 관형격 조사와 형태가 같은데, 이러한 특수처소부사격 조사를 취하는 체언은 정해져 있다. 대개 시간, 장소, 방향을 나타내는 체언이 특수처소부사격 조사를 취한다.
輪廻 주004)
ㅅ:
-의. 관형격조사. 관형격 조사에는 ‘-ㅅ’과 ‘-/의’가 있었다. 일반적으로 무정체언 또는 높임의 대상인 체언 뒤에는 ‘-ㅅ’이, 평칭의 인칭 체언 뒤에서는 ‘-/의/ㅣ’가 쓰였다.
根本 窮究샤 시니라 주005)
시니라:
끝내시니라. -[終]+시+니+다/라. ‘-’은 자동사로도 쓰이고 타동사로 쓰이는 능격동사.
大方廣圓覺脩多羅了義經下 一之一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위에서 윤회의 근본을 궁구하심을 마치시니라.
Ⓒ 역자 | 이유기 / 2005년 12월 23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말세(末世):사람의 마음이 어지럽고 여러 가지 죄악이 성행하는 시대. 말대(末代).
주002)
브즈러니:부지런히. 이 어휘의 구조를 기술하는 방안에는 세 가지가 있다. ①‘브즈런(명사)+다(형용사파생접미사)’에 ‘-이(부사파생접미사)’가 붙은 ‘브즈런히’에서 /ㅎ/이 약화되어 형성된 것으로 보는 것. ②명사 ‘브즈런’에 접사 ‘-이’가 붙은 것으로 보는 것. ③기원적으로 부사인 ‘브즈런’이 명사적 자격을 얻어 여기에 접미사 ‘-이’가 붙은 것. 여기서는 ③을 취하기로 한다.
주003)
우희:위에서. 웋(上. ㅎ 종성체언)+의(특수처소부사격조사). 관형어라면 ‘우흿’으로 나타났을 것이다. ‘-의’는 관형격 조사와 형태가 같은데, 이러한 특수처소부사격 조사를 취하는 체언은 정해져 있다. 대개 시간, 장소, 방향을 나타내는 체언이 특수처소부사격 조사를 취한다.
주004)
ㅅ:-의. 관형격조사. 관형격 조사에는 ‘-ㅅ’과 ‘-/의’가 있었다. 일반적으로 무정체언 또는 높임의 대상인 체언 뒤에는 ‘-ㅅ’이, 평칭의 인칭 체언 뒤에서는 ‘-/의/ㅣ’가 쓰였다.
주005)
시니라:끝내시니라. -[終]+시+니+다/라. ‘-’은 자동사로도 쓰이고 타동사로 쓰이는 능격동사.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