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7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7집 하1의1
  • 5. 미륵보살장(彌勒菩薩章)
  • 4. 윤회의 근본을 밝혀주심
  • 4-1) 윤회에 대하여 말씀해주심 가) 윤회의 근본과 곁가지 ② 끊기를 권함 5
메뉴닫기 메뉴열기

4-1) 윤회에 대하여 말씀해주심 가) 윤회의 근본과 곁가지 ② 끊기를 권함 5


【종밀주석】 二ㅣ 明種性令知者 謂由前說始終

원각경언해 하1의1:39ㄴ

動靜으로 乃至思度佛境히 皆是輪廻故로 彌勒이 問其種性시니 意云샤 比聞餘敎오니 只言五道輪廻러시니 今에 何得三乘行人이 亦未能免이고실 故로 佛이 爲說由本貪欲야 顯出五性실 故屬輪廻니 不以悟淨圓覺으로 爲本因故ㅣ라 然이나 菩薩性中에 脩證行相은 但除其病고 不除其法이니 餘如廣疏니라

원각경언해 하1의1:40ㄴ

文中이 二니 一은 摠標因依오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원각경언해 하1의1:40ㄴ

둘차히 주001)
둘차히:
둘째. 둟(二. ㅎ 종성체언)+차히(서수사 파생 접미사). 순서를 뜻하는 접미사는 ‘-차히, -채, -차, -자히, -재, -자’ 등으로 나타난다.
種性을 겨 주002)
겨:
밝혀. -[明]+이(사동접미사)+어.
알에 주003)
알에:
알게. 연결어미 ‘-게’가 /ㄱ/ 약화를 거쳐 ‘-에’로 교체된 것. /ㄱ/은 서술격조사와 /ㄹ/ 및 하향이중모음의 음절부음 [j] 뒤에서 약화 되어 ‘ㅇ’으로 표기됨. /ㄱ/이 약화된 ‘ㅇ’은 유성성문(후두)마찰음 [ɦ]을 표기한 것이므로 연철되지 않았다.
샤 닐오 알 주004)
알:
앞에서. 앒+(특수처소부사격조사). ‘-/의’는 관형격 조사와 형태가 같은데, 이러한 특수처소부사격 조사를 취하는 체언은 정해져 있다. 대개 시간, 장소, 방향을 나타내는 체언이 특수처소부사격 조사를 취한다. 중세국어의 ‘-에’는 현대국어의 ‘-에, -에서’가 쓰일 환경에 두루 쓰임.
니샨 始와 終과 動과 靜과로 佛境을 思量야 혜야료매 주005)
혜야료매:
헤아림에. 생각함에. 혜아리-+옴(명사형어미)+애.
니르리 주006)
니르리:
이르도록. 니를-[至]+이(부사형어미). 현대국어에서와 마찬가지로 중세국어의 ‘-이’ 역시 부사형어미로도 쓰이고 부사파생접미사로도 쓰이는 것으로 보인다.
주007)
이:
이것이. 이(대명사)+∅(주격조사).
輪廻라 샨 젼로【알 니샴 알 金剛藏 章中엣 그를 치니 알 마 사겨 닐오 오직 有爲예 住면 곧 輪廻心에 屬니라 니 經에 처 輪廻ㅅ 相 버려 주008)
버려:
벌여. 버리-[列]+어(연결어미). ‘리-’는 [棄]를 뜻함.
니샨 始와 終과 生과 滅와 有와 無와 起와 止와 往과 復과 取와 捨와 等이 비록 하나 주009)
하나:
많으나. 하-[多]+나.
動과 靜과애 주010)
과애:
-과로부터. 과(접속조사)+애(부사격조사). ‘-에/애’는 현대국어의 ‘-에, -에서’가 쓰일 자리에 두루 쓰임. 여기서는 ‘-에서’에 해당함.
여희디 아니니 다 주011)
웃:
위의. 웋(上. ㅎ 종성체언)+ㅅ(관형격조사). ‘우흿’으로 나타나는 일이 많음. ‘웋’과 ‘ㅅ’의 직접 결합과 ‘-의’를 매개로 한 간접 결합은 ‘ㅎ’의 음소적 특징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字 이 動ㅅ 디

원각경언해 하1의1:41ㄱ

오 아랫 字 이 靜ㅅ 디라 世間 자바 니면 動 이 欲界오 靜은 이 上界라 다가 佛法中을 자바 니면 動 이 三界오 靜은 이 二乘이오 시혹 動 이 菩薩이오 靜은 이 聲聞이라 다가 始와 終과 사겨 닐올딘댄 菩提 涅槃 證得호미 始오 煩惱 그처 주012)
그처:
그쳐. 끊어. 긏-[斷]+어(연결어미). ‘긏-’은 자동사로도 쓰이고 타동사로 쓰이는 이른바 능격동사.
다오미 주013)
다오미:
다함이. 다-[盡]+옴(명사형어미)+이.
終이니 正히 이 五性의 닷가 주014)
닷가:
닦아. -[修]+아.
긋 주015)
긋:
끊는. 긏-[斷]++ㄴ. ‘긏-’은 자동사로도 쓰이고 타동사로 쓰이는 이른바 능격동사.
行相일 다 輪廻心에 브트니라】
彌勒이 그 種性을 묻오시니 데 니샤 아 다 敎 듣오니 오직 五道 輪廻 니더시니 이제 엇뎨 三乘 주016)
삼승(三乘):
①성문승은 부처의 가르침을 듣고 이를 관조하여 해탈을 얻는 이. ②연각승은 스승에게 의지하지 않고 이치를 관조하여 깨닫는 이. ③보살승은 육바라밀 법문에 의해 스스로 해탈하고 남까지 해탈시켜 성불하는 이.
行人이  能히 免티 몯니고 실 부톄 本來ㅅ 貪欲 브터 五性이 나타나 주017)
나타나:
나타남을. 낱-[現]+아(연결어미)+나-[出]+옴(명사형어미)+(목적격조사). ‘나-’는 평성인데, ‘-옴’과 결합하면서 상성으로 변화하고 ‘오’는 탈락함. /ㅏ, ㅓ, ㅗ, ㅜ/ 뒤에 ‘-오/우-’가 결합되면, ‘-오/우-’는 나타나지 않고, 이처럼 성조가 바뀐다.
爲야 니실 輪廻

원각경언해 하1의1:41ㄴ

예 屬니 조 圓覺 아로로 本來ㅅ 因을 삼디 아니 젼라 그러나 菩薩性中에 脩證ㅅ 行相 오직 그 病을 덜오 그 法을 더디 주018)
더디:
덜지. 덜-[除]+디(보조적 연결어미). /ㄷ/ 앞에서 /ㄹ/ 탈락. 현대국어의 보조적 연결어미 ‘-지’와 종결어미 ‘-지’는 그 기원이 서로 다르다. 전자는 ‘-디’의 발달형이고, 후자는 ‘-디’의 발달형이다. ‘-디’는 ‘~하면 했지’의 뜻을 지니면서 종속절을 구성한다.
아닌니 주019)
아닌니:
아니하나니. 아니[不]+++니. /ㆍ/가 탈락하고 /ㅎ/은 자음동화로 인해 /ㄴ/으로 교체됨.
나닌 주020)
나닌:
남은 것은. 나머지는. 남-++이(의존명사)+ㄴ(보조사).
너븐 주021)
너븐:
넓은. 넙-[廣]+은(관형사형어미).
疏 니라 文中이 둘히니 나 因依 뫼화 標샤미오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둘째 공성(種性)을 밝혀 알게 하신 것은 말하자면 앞에서 말씀하신 ‘비롯함(시작)’과 ‘마침’과 ‘움직임’과 ‘고요함(=움직이지 않음)’으로 부처의 경지를 생각하여 헤아림에 이르기까지 다 이것이 윤회라 하신 까닭으로【‘앞에서 말씀하신 것’ 등은 앞의 금강장의 장(章) 중의 글을 가리키니, 앞에서 이미 풀이하여 말하되, 오직 유위(有爲)에 머무르면 곧 윤회심에 속하니라 하니, 경전에서 처음 윤회의 상을 벌여 말씀하신 시작과 마침과 태어남과 없어짐과 있음과 없음과 일어남과 그침과 감과 돌아옴과 취함과 버림 등이 비록 많으나 움직임과 움직이지 않음에서 벗어나지 아니하니, 다 위의 글자는 이것은 움직임의 뜻이고, 아래의 글자는 이것은 움직이지 않음의 뜻이다. 세간을 잡아
(=대상으로 삼아)
말하면 움직임은 이것은 욕계이고 움직이지 않음은 이것은 상계(上界)이다. 만일 불법 중을 잡아 말하면 움직임은 이것은 삼계이고, 움직이지 않음은 이것은 이승이고, 혹 움직임은 이것은 보살이고, 움직이지 않음은 이것은 성문이다. 만일 시작과 마침을 풀이하여 말한다면 보리 열반을 깨달음이 시작이고, 번뇌를 끊어 다함이 마침이니, 바로 이것이 오성(五性)의 닦아 끊는 행상이므로 다 윤회심에 말미암은 것이다.】
미륵이 그 종성을 여쭈니 뜻에 이르시되 지난날에 다른 가르침을 듣자오니 오직 오도(五道) 윤회를 말씀하시더니, 이제 어찌 삼승(三乘) 행하는 사람이 또 능히 면하지 못하였습니까 하시므로 부처께서 본래의 탐욕으로 말미암아 오성이 나타남을 위하여 말씀하시므로 윤회에 속하니, 깨끗한 원각을 알므로 본래의 원인을 삼지 아니한 까닭이다. 그러나 보살성 중에 수증의 행상은 오직 그 병을 덜고 그 법을 덜지 아니하나니, 나머지는 넓은 소(疏) 같으니라. 글 속이 둘이니, 하나는 인의(因依)를 모아 보이심이고,
Ⓒ 역자 | 이유기 / 2005년 12월 23일

주석
주001)
둘차히:둘째. 둟(二. ㅎ 종성체언)+차히(서수사 파생 접미사). 순서를 뜻하는 접미사는 ‘-차히, -채, -차, -자히, -재, -자’ 등으로 나타난다.
주002)
겨:밝혀. -[明]+이(사동접미사)+어.
주003)
알에:알게. 연결어미 ‘-게’가 /ㄱ/ 약화를 거쳐 ‘-에’로 교체된 것. /ㄱ/은 서술격조사와 /ㄹ/ 및 하향이중모음의 음절부음 [j] 뒤에서 약화 되어 ‘ㅇ’으로 표기됨. /ㄱ/이 약화된 ‘ㅇ’은 유성성문(후두)마찰음 [ɦ]을 표기한 것이므로 연철되지 않았다.
주004)
알:앞에서. 앒+(특수처소부사격조사). ‘-/의’는 관형격 조사와 형태가 같은데, 이러한 특수처소부사격 조사를 취하는 체언은 정해져 있다. 대개 시간, 장소, 방향을 나타내는 체언이 특수처소부사격 조사를 취한다. 중세국어의 ‘-에’는 현대국어의 ‘-에, -에서’가 쓰일 환경에 두루 쓰임.
주005)
혜야료매:헤아림에. 생각함에. 혜아리-+옴(명사형어미)+애.
주006)
니르리:이르도록. 니를-[至]+이(부사형어미). 현대국어에서와 마찬가지로 중세국어의 ‘-이’ 역시 부사형어미로도 쓰이고 부사파생접미사로도 쓰이는 것으로 보인다.
주007)
이:이것이. 이(대명사)+∅(주격조사).
주008)
버려:벌여. 버리-[列]+어(연결어미). ‘리-’는 [棄]를 뜻함.
주009)
하나:많으나. 하-[多]+나.
주010)
과애:-과로부터. 과(접속조사)+애(부사격조사). ‘-에/애’는 현대국어의 ‘-에, -에서’가 쓰일 자리에 두루 쓰임. 여기서는 ‘-에서’에 해당함.
주011)
웃:위의. 웋(上. ㅎ 종성체언)+ㅅ(관형격조사). ‘우흿’으로 나타나는 일이 많음. ‘웋’과 ‘ㅅ’의 직접 결합과 ‘-의’를 매개로 한 간접 결합은 ‘ㅎ’의 음소적 특징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주012)
그처:그쳐. 끊어. 긏-[斷]+어(연결어미). ‘긏-’은 자동사로도 쓰이고 타동사로 쓰이는 이른바 능격동사.
주013)
다오미:다함이. 다-[盡]+옴(명사형어미)+이.
주014)
닷가:닦아. -[修]+아.
주015)
긋:끊는. 긏-[斷]++ㄴ. ‘긏-’은 자동사로도 쓰이고 타동사로 쓰이는 이른바 능격동사.
주016)
삼승(三乘):①성문승은 부처의 가르침을 듣고 이를 관조하여 해탈을 얻는 이. ②연각승은 스승에게 의지하지 않고 이치를 관조하여 깨닫는 이. ③보살승은 육바라밀 법문에 의해 스스로 해탈하고 남까지 해탈시켜 성불하는 이.
주017)
나타나:나타남을. 낱-[現]+아(연결어미)+나-[出]+옴(명사형어미)+(목적격조사). ‘나-’는 평성인데, ‘-옴’과 결합하면서 상성으로 변화하고 ‘오’는 탈락함. /ㅏ, ㅓ, ㅗ, ㅜ/ 뒤에 ‘-오/우-’가 결합되면, ‘-오/우-’는 나타나지 않고, 이처럼 성조가 바뀐다.
주018)
더디:덜지. 덜-[除]+디(보조적 연결어미). /ㄷ/ 앞에서 /ㄹ/ 탈락. 현대국어의 보조적 연결어미 ‘-지’와 종결어미 ‘-지’는 그 기원이 서로 다르다. 전자는 ‘-디’의 발달형이고, 후자는 ‘-디’의 발달형이다. ‘-디’는 ‘~하면 했지’의 뜻을 지니면서 종속절을 구성한다.
주019)
아닌니:아니하나니. 아니[不]+++니. /ㆍ/가 탈락하고 /ㅎ/은 자음동화로 인해 /ㄴ/으로 교체됨.
주020)
나닌:남은 것은. 나머지는. 남-++이(의존명사)+ㄴ(보조사).
주021)
너븐:넓은. 넙-[廣]+은(관형사형어미).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