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7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7집 하1의1
  • 5. 미륵보살장(彌勒菩薩章)
  • 4. 윤회의 근본을 밝혀주심
  • 4-1) 윤회에 대하여 말씀해주심 가) 윤회의 근본과 곁가지 ② 끊기를 권함 4
메뉴닫기 메뉴열기

4-1) 윤회에 대하여 말씀해주심 가) 윤회의 근본과 곁가지 ② 끊기를 권함 4


【경】 若諸末世一切衆生이 能捨諸欲며 及除憎愛야 永斷輪廻고 勤求如來圓覺境界면 於淸淨心에 便得開悟리라

다가 한 末世 주001)
말세(末世):
사람의 마음이 어지럽고 여러 가지 죄악이 성행하는 시대. 말대(末代).
옛 一切 衆生이 能히 한 欲 리며 주002)
리며:
버리며. 리-[棄]+며. ‘버리-(벌-+이)’는 [列]을 뜻함.
믜윰과 주003)
믜윰과:
미워함과. 믜-[憎]+움/윰(명사형어미)+과. 형용사라면 ‘믜-+ㅂ(형용사파생접미사)+움(명사형어미)+과’로 구성된 ‘믜움과’로 나타남.
愛 더러 주004)
더러:
덜어. 덜-[除]+어(연결어미).
輪廻 永히 긋고 주005)
긋고:
끊고. 긏-[斷]+고. ‘긏-’은 자동사로도 쓰이고 타동사로 쓰이는 이른바 능격동사. ‘긏-→긋-’은 8종성표기법.
如來 주006)
ㅅ:
-의. ‘如來ㅅ’의 ‘-ㅅ’은 관형격 조사. 관형격 조사에는 ‘-ㅅ’과 ‘-/의’가 있었다. 일반적으로 무정체언 또는 높임의 대상인 체언 뒤에는 ‘-ㅅ’이, 평칭의 인칭 체언 뒤에서는 ‘-/의/ㅣ’가 쓰였다.
圓覺 境界 브즈러니 주007)
브즈러니:
부지런히. 이 어휘의 구조를 기술하는 방안에는 세 가지가 있다. ①‘브즈런(명사)+다(형용사파생접미사)’에 ‘-이(부사파생접미사)’가 붙은 ‘브즈런히’에서 /ㅎ/이 약화되어 형성된 것으로 보는 것. ②명사 ‘브즈런’에 접사 ‘-이’가 붙은 것으로 보는 것. ③기원적으로 부사인 ‘브즈런’이 명사적 자격을 얻어 여기에 접미사 ‘-이’가 붙은 것. 여기서는 ③을 취하기로 한다.
求면 淸淨心에 곧 여러 주008)
여러:
열리어. 열-[開]+어. 여기의 ‘열-’는 자동사로 쓰인 것. 이처럼 자동사와 타동사로 두루 쓰이는 동사를 능격동사라 함.
아로 주009)
아로:
앎을. 깨달음을. 알-[知]+옴(명사형어미)+(목적격조사).
得리라

만일 많은 말세의 일체 중생이 능히 많은 욕심을 버리며 또 미워함과 애착을 덜어 윤회를 길이 끊고 여래의 원각 경계(경지)를 부지런히 구하면 청정심에 곧 열리어 깨달음을 얻으리라.

【종밀주석】 先能除捨야 方可勤求ㅣ니 如出鑛金이 始堪爲器니라 故로 首棱에 云샤

원각경언해 하1의1:38ㄴ

 如是貪欲이 有 名鬼倫이오 無 名天趣ㅣ니 有無ㅣ相傾야 起輪廻性니 有無二ㅣ 無며 無二ㅣ 亦滅야 於佛菩提에 方可希冀라 시니라 問從前야 但云貪愛시니 何故로 此云及除憎愛오 荅由愛身愛境야 境違於情커나 或身被惱故로 生憎也ㅣ니 是知憎亦由愛니 故雖兼憎나 意但說愛시니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몬져 주010)
몬져:
먼저.
能히 덜며 려 주011)
려:
버려야. 리-[棄]+어(연결어미)+. ‘-’는 강조 또는 단독의 보조사로서, 체언, 조사, 어말어미 뒤에 두루 통합할 수 있음.
비르서 주012)
비르서:
비로소. 비릇-[始]+어(연결어미). 동사의 활용형이 부사로 굳어진 것.
어루 브즈러니 求리니 鑛 주013)
애:
-에서. 중세국어의 ‘-에/애’는 현대국어의 ‘-에서’와 ‘-에’가 출현하는 환경에 두루 쓰임.
주014)
난:
(밖으로) 나온. 나-[出]+ㄴ(관형사형어미).
이 주015)
이:
-이라야. 이(서술격조사)+(강조·단독의 보조사).
비르서 어

원각경언해 하1의1:39ㄱ

루 그릇 롬 주016)
롬:
만듦. -[造]+옴(명사형어미).
니라 그럴 首棱에 니샤 이  貪欲이 잇닌 주017)
잇닌:
있는 것은. 잇-[有]++ㄴ(관형사형어미)+이(의존명사)+ㄴ(보조사).
일후미 주018)
일후미:
이름이. ‘일훔’은 명사로서 [名]을 뜻하기도 하고, 동사의 명사형으로서 [命名] 또는 [稱]을 의미하기도 한다.
鬼倫이오 주019)
이오:
-이고. 연결어미 ‘-고’가 /ㄱ/ 약화를 거쳐 ‘-오’로 교체된 것. /ㄱ/은 서술격조사와 /ㄹ/ 및 하향이중모음의 음절부음 [j] 뒤에서 약화 되어 ‘ㅇ’으로 표기됨. /ㄱ/이 약화된 ‘ㅇ’은 유성성문(후두)마찰음 [ɦ]을 표기한 것. 이 때의 ‘ㅇ’은 자음을 표기한 것이므로 연철되거나, 모음 /ㅣ/의 영향을 입어 ‘요’로 변화하지 않는 거이 원칙이다.
업스닌 주020)
업스닌:
없는 것은. 없-[無]+은(관형사형어미)+이(의존명사)+ㄴ(보조사). ‘없-’은 형용사이므로 ‘--’가 결합하지 못한다. 현대국어에서는 ‘없-’이 ‘-느-’와 결합할 수 있음.
일후미 天趣ㅣ니 이슘과 주021)
이슘과:
있음과. 이시-+움(명사형어미)+과. ‘잇-’의 이형태는 세 가지이다. 모음 앞에서는 ‘이시-’, 자음 앞에서는 ‘잇-’이 쓰이며, 모음 앞이되 연결어미 ‘-어/아, -고’나 부사 ‘마니’의 뒤일 경우에는 ‘시-’가 쓰인다.
업수미 주022)
업수미:
없음이. 없-[無]+움(명사형어미)+이.
서르 기우려 輪廻ㅅ 性을 니르왇니 주023)
니르왇니:
일으키나니. 닐-[起]+으/(사동접미사)+왇(강조 접미사)++니.
이슘과 업수미 둘히 업스며 둘 업수미  滅야 佛菩提예 비르서 어루 라리라 주024)
라리라:
바라리라. 라-[願]+리+라.
시니라 무로 주025)
무로:
묻되. 묻/물-[問]+오. ‘묻-’은 ‘ㄷ’ 불규칙동사로서, 모음 어미 앞에서 ‘물-’로 교체됨.
알 주026)
알:
앞을. 앒[前]+(목적격조사).
브터 오직 貪愛 니시니 엇던 젼로 이 주027)
이:
이 곳에. ‘이’는 ‘이(대명사)+ㆁ+에(부사격조사)’로 구성된 것으로 보이나, 다음 두 가지 현상은 ‘이’가 체언(대명사)으로 굳어진 것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1) 목적격조사가 ‘이’ 뒤에 바로 이어지기도 한다. 예 : 이 向야(금삼 4:62). (2) 다음 예문의 ‘이’가 나타난 위치는 부사어가 나타날 위치는 아니다. 이 위치는 관형어가 올 위치로 보이는데, ‘이’가 체언(대명사)이라면 설명이 가능한 현상이다. 예 : 이 一切 種智와 시니라(원각 하 1-2 :54ㄴ).
 믜윰과 愛 덜라 니시뇨 주028)
니시뇨:
이르시는가. 니-+시+니+고/오(의문종결어미). 종결어미 ‘-고’가 /ㄱ/ 약화를 거쳐 ‘-오’로 교체. /ㄱ/은 서술격조사와 /ㄹ/ 및 하향이중모음의 음절부음 [j] 뒤에서 약화 되어 ‘ㅇ’으로 표기됨. /ㄱ/이 약화된 ‘ㅇ’은 유성성문(후두)마찰음 [ɦ]을 표기한 것. 이 때의 ‘ㅇ’은 자음을 표기한 것이므로 연철되거나, 모음 /ㅣ/의 영향을 입어 ‘요’로 변화하지 않는 것이 원칙이다. ‘-니-, -리-’는 기원적으로 명사 ‘이’와 서술격조사를 구성 요소로 지니고 있어서 ‘-니-, -리-’ 뒤에서도 /ㄱ/ 약화 현상이 나타난다. 그러나 ‘-뇨’는 ‘ㅇ’이 자음의 성질을 잃은 것임을 보여 준다.
對答호 모 愛며 境을 愛호 브터 境이 데 주029)
데:
뜻에. +에.
어긔어나 주030)
어긔어나:
어긋나거나. 어긔-[違]+거나. ‘-거나’의 ‘-거-’는 원래 확정법 선어말어미인데, 여기서는 /ㄱ/ 약화를 거쳐 ‘-어-’로 교체된 것. /ㄱ/은 서술격조사와 /ㄹ/ 및 하향이중모음의 음절부음 [j] 뒤에서 약화 되어 ‘ㅇ’으로 표기됨. /ㄱ/이 약화된 ‘ㅇ’은 유성성문(후두)마찰음 [ɦ]을 표기한 것이므로 연철되지 않았다.
시혹 모미 惱 니블 믜유미 나니 이 믜유미  愛 브튼  아롤 디니 그럴 비록 믜유믈 兼나 든 오직 愛 니시니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먼저 능히 덜어내며 버려야 비로소 가히 부지런히 구하리니, 쇳돌에서 〈밖으로〉 나온
(=벗어난)
금이라야 비로소 가히 그릇을 만듦
(=만들 수 있음)
과 같으니라. 그러므로 수능엄경에서 이르시되, 이 같은 탐욕이 있는 것은 귀륜(鬼倫)이고 없는 것은 이름이 천취(天趣)이니, 있음과 없음이 서로 기울여 윤회의 성을 일으키나니, 있음과 없음이 둘이 없으며 둘 없음이 또 멸하여야 불보리에 비로소 가히 바라리라
(=소원을 품을 수 있으리라)
하시니라. 묻되, 앞에서는 오직 탐애만을 말씀하시니, 어떤 까닭으로 여기에서 또 미움과 애착을 없애라 말씀하시는가 〈하고 묻는다면〉 대답하되, 몸을 애착하며 대경(對境)을 애착함으로 말미암아 대경이 뜻에 어긋나거나 혹 몸이 괴로움을 입으므로 미워함이 나나니, 이 미워함이 또 애착으로 말미암은 것인 줄을 알지니, 그러므로 비록 미움을 겸하나 뜻은 오직 애착을 말씀하신 것이다.
Ⓒ 역자 | 이유기 / 2005년 12월 23일

주석
주001)
말세(末世):사람의 마음이 어지럽고 여러 가지 죄악이 성행하는 시대. 말대(末代).
주002)
리며:버리며. 리-[棄]+며. ‘버리-(벌-+이)’는 [列]을 뜻함.
주003)
믜윰과:미워함과. 믜-[憎]+움/윰(명사형어미)+과. 형용사라면 ‘믜-+ㅂ(형용사파생접미사)+움(명사형어미)+과’로 구성된 ‘믜움과’로 나타남.
주004)
더러:덜어. 덜-[除]+어(연결어미).
주005)
긋고:끊고. 긏-[斷]+고. ‘긏-’은 자동사로도 쓰이고 타동사로 쓰이는 이른바 능격동사. ‘긏-→긋-’은 8종성표기법.
주006)
ㅅ:-의. ‘如來ㅅ’의 ‘-ㅅ’은 관형격 조사. 관형격 조사에는 ‘-ㅅ’과 ‘-/의’가 있었다. 일반적으로 무정체언 또는 높임의 대상인 체언 뒤에는 ‘-ㅅ’이, 평칭의 인칭 체언 뒤에서는 ‘-/의/ㅣ’가 쓰였다.
주007)
브즈러니:부지런히. 이 어휘의 구조를 기술하는 방안에는 세 가지가 있다. ①‘브즈런(명사)+다(형용사파생접미사)’에 ‘-이(부사파생접미사)’가 붙은 ‘브즈런히’에서 /ㅎ/이 약화되어 형성된 것으로 보는 것. ②명사 ‘브즈런’에 접사 ‘-이’가 붙은 것으로 보는 것. ③기원적으로 부사인 ‘브즈런’이 명사적 자격을 얻어 여기에 접미사 ‘-이’가 붙은 것. 여기서는 ③을 취하기로 한다.
주008)
여러:열리어. 열-[開]+어. 여기의 ‘열-’는 자동사로 쓰인 것. 이처럼 자동사와 타동사로 두루 쓰이는 동사를 능격동사라 함.
주009)
아로:앎을. 깨달음을. 알-[知]+옴(명사형어미)+(목적격조사).
주010)
몬져:먼저.
주011)
려:버려야. 리-[棄]+어(연결어미)+. ‘-’는 강조 또는 단독의 보조사로서, 체언, 조사, 어말어미 뒤에 두루 통합할 수 있음.
주012)
비르서:비로소. 비릇-[始]+어(연결어미). 동사의 활용형이 부사로 굳어진 것.
주013)
애:-에서. 중세국어의 ‘-에/애’는 현대국어의 ‘-에서’와 ‘-에’가 출현하는 환경에 두루 쓰임.
주014)
난:(밖으로) 나온. 나-[出]+ㄴ(관형사형어미).
주015)
이:-이라야. 이(서술격조사)+(강조·단독의 보조사).
주016)
롬:만듦. -[造]+옴(명사형어미).
주017)
잇닌:있는 것은. 잇-[有]++ㄴ(관형사형어미)+이(의존명사)+ㄴ(보조사).
주018)
일후미:이름이. ‘일훔’은 명사로서 [名]을 뜻하기도 하고, 동사의 명사형으로서 [命名] 또는 [稱]을 의미하기도 한다.
주019)
이오:-이고. 연결어미 ‘-고’가 /ㄱ/ 약화를 거쳐 ‘-오’로 교체된 것. /ㄱ/은 서술격조사와 /ㄹ/ 및 하향이중모음의 음절부음 [j] 뒤에서 약화 되어 ‘ㅇ’으로 표기됨. /ㄱ/이 약화된 ‘ㅇ’은 유성성문(후두)마찰음 [ɦ]을 표기한 것. 이 때의 ‘ㅇ’은 자음을 표기한 것이므로 연철되거나, 모음 /ㅣ/의 영향을 입어 ‘요’로 변화하지 않는 거이 원칙이다.
주020)
업스닌:없는 것은. 없-[無]+은(관형사형어미)+이(의존명사)+ㄴ(보조사). ‘없-’은 형용사이므로 ‘--’가 결합하지 못한다. 현대국어에서는 ‘없-’이 ‘-느-’와 결합할 수 있음.
주021)
이슘과:있음과. 이시-+움(명사형어미)+과. ‘잇-’의 이형태는 세 가지이다. 모음 앞에서는 ‘이시-’, 자음 앞에서는 ‘잇-’이 쓰이며, 모음 앞이되 연결어미 ‘-어/아, -고’나 부사 ‘마니’의 뒤일 경우에는 ‘시-’가 쓰인다.
주022)
업수미:없음이. 없-[無]+움(명사형어미)+이.
주023)
니르왇니:일으키나니. 닐-[起]+으/(사동접미사)+왇(강조 접미사)++니.
주024)
라리라:바라리라. 라-[願]+리+라.
주025)
무로:묻되. 묻/물-[問]+오. ‘묻-’은 ‘ㄷ’ 불규칙동사로서, 모음 어미 앞에서 ‘물-’로 교체됨.
주026)
알:앞을. 앒[前]+(목적격조사).
주027)
이:이 곳에. ‘이’는 ‘이(대명사)+ㆁ+에(부사격조사)’로 구성된 것으로 보이나, 다음 두 가지 현상은 ‘이’가 체언(대명사)으로 굳어진 것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1) 목적격조사가 ‘이’ 뒤에 바로 이어지기도 한다. 예 : 이 向야(금삼 4:62). (2) 다음 예문의 ‘이’가 나타난 위치는 부사어가 나타날 위치는 아니다. 이 위치는 관형어가 올 위치로 보이는데, ‘이’가 체언(대명사)이라면 설명이 가능한 현상이다. 예 : 이 一切 種智와 시니라(원각 하 1-2 :54ㄴ).
주028)
니시뇨:이르시는가. 니-+시+니+고/오(의문종결어미). 종결어미 ‘-고’가 /ㄱ/ 약화를 거쳐 ‘-오’로 교체. /ㄱ/은 서술격조사와 /ㄹ/ 및 하향이중모음의 음절부음 [j] 뒤에서 약화 되어 ‘ㅇ’으로 표기됨. /ㄱ/이 약화된 ‘ㅇ’은 유성성문(후두)마찰음 [ɦ]을 표기한 것. 이 때의 ‘ㅇ’은 자음을 표기한 것이므로 연철되거나, 모음 /ㅣ/의 영향을 입어 ‘요’로 변화하지 않는 것이 원칙이다. ‘-니-, -리-’는 기원적으로 명사 ‘이’와 서술격조사를 구성 요소로 지니고 있어서 ‘-니-, -리-’ 뒤에서도 /ㄱ/ 약화 현상이 나타난다. 그러나 ‘-뇨’는 ‘ㅇ’이 자음의 성질을 잃은 것임을 보여 준다.
주029)
데:뜻에. +에.
주030)
어긔어나:어긋나거나. 어긔-[違]+거나. ‘-거나’의 ‘-거-’는 원래 확정법 선어말어미인데, 여기서는 /ㄱ/ 약화를 거쳐 ‘-어-’로 교체된 것. /ㄱ/은 서술격조사와 /ㄹ/ 및 하향이중모음의 음절부음 [j] 뒤에서 약화 되어 ‘ㅇ’으로 표기됨. /ㄱ/이 약화된 ‘ㅇ’은 유성성문(후두)마찰음 [ɦ]을 표기한 것이므로 연철되지 않았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