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법화경언해 권3

  • 역주 법화경언해
  • 역주 법화경언해 권3
  • 화성유품 제7
  • 3. 대통지승불의 성도 [10] 옛 제자와 지금의 제자 5
메뉴닫기 메뉴열기

3. 대통지승불의 성도 [10] 옛 제자와 지금의 제자 5


五. 結會終實

〔본문〕

법화경언해 권3:168ㄴ

比丘하 다가 如來ㅣ 涅槃 時節 다며 주001)
다며:
다다르며. 다-[到].
衆이  淸淨며 信解 구드며 주002)
구드며:
굳으며.
空法 주003)
공법:
공(空)의 이법(理法). 공의 가르침.
 주004)
:
사뭇. 투철히.
알며 禪定에 기피 든  제 알면 곧 諸菩薩와 聲聞衆을 모도아 주005)
모도아:
모아.
이 經을 爲야 니니 주006)
니니:
이른 것이니. 이르니.
世間애 二乘이 滅度 得홈 업고 오직 一佛乘이 滅度 得 미라

〔본문〕 비구들아, 만일 여래가 열반할 시절 다다르며 대중이 또 청정하며 신해 굳으며 공법을 투철히 알며 선정에 깊이 든 줄을 스스로 알면, 곧 모든 보살과 성문 대중을 모아 이 경을 위하여 설법하니, 세간에 2승이 멸도를 얻음은 없고 오직 1불승만이 멸도를 얻을 따름이다.


〔요해〕

법화경언해 권3:169ㄱ

알 처 權샤 기시고 주007)
기시고:
밝히시고.
이 주008)
이:
여기에. 이것에.
내 實샤매 모도시니라 주009)
모도시니라:
모으신 것이다.
涅槃 時節 다로 化緣 주010)
화연:
중생을 교화하는 인연.
이  샤 주011)
샤:
마치심을. -[終].
니시고 衆이  淸淨호 根機ㅣ 마 니구 주012)
니구:
익음을. 닉-[熟].
니시니라 衆이 淸淨호 마 藏敎 주013)
장교:
화교 사법(化敎四法)의 하나. 좁은 세계관에 의거하여 얕은 교리를 말하고 분석하여, 비로소 만물이 본래 있는 것이 아님을 알게 되는 교법.
애 惑 그처 주014)
결:
번뇌의 속박.
더로미오 주015)
더로미오:
덞이고.

법화경언해 권3:169ㄴ

구두 주016)
구두:
굳음은.
마 通敎 주017)
통교:
화법 사교의 하나. 성문(聲聞)·보살·연각(緣覺)이 공통으로 받는 법(法)으로, 공무생멸(空無生滅)의 이치에 따라 인연·사제(四諦)의 법을 살피어 알게 하는 교법.
애 미 서르 體信호미오 空法  아로 주018)
아로:
앎은. 아는 것은.
마 般若 아로 니시고 禪定에 기피 드로 기픈 根源에 微妙히 나가 주019)
나가:
나아감을.
니시니 이러면 諸病이 마 덜오 醫方을  릴 二權을 廢시고 一實을 特別히 기시니라 滅度 得호 眞常 주020)
진상:
열반의 경지.
道果 주021)
도과:
불도 수행의 결과.
得 씨라

〔요해〕 앞에 처음 ‘권’하심을 밝히시고 여기에 나중 ‘실’하심에 모으신 것이다. ‘열반하실 시절 다름’은 화연이 이미 마치심을 이르시고, ‘무리가 또 청정함’은 근기가 이미 익음을 이르신 것이다. ‘무리가 청정함’은 이미 장교에 의혹 끊어져 번뇌의 속박을 없앰이고, ‘믿음 굳음’은 이미 통교에 마음이 서로 체신함이고, ‘공법 투철히 앎’은 이미 열반 앎을 이르시고, ‘선정에 깊이 듦’은 깊은 근원에 미묘히 나아감을 이르신 것이니, 이러면 모든 병이 이미 없어지고 의방을 또 버리므로 2권을 폐하시고 1실을 특별히 밝시힌 것이다. ‘멸도 얻음’은 진상의 도과를 얻는 것이다.

四. 喩明權實 六○一. 立譬本

〔본문〕

법화경언해 권3:170ㄱ

比丘아 반기 주022)
반기:
반드시.
알라 如來ㅣ 方便으로 衆生의 性에 기피 드러 주023)
드러:
들어.
그 데 져근 法 즐겨 五欲 주024)
5욕:
1.오경(五境)에 집착하여서 일으키는 다섯 가지 정욕(情欲). 2.재욕, 색욕, 식욕, 명예욕, 수면욕의 다섯 가지 욕망.
애 기피 著  아라 주025)
아라:
알아.
이 爲혼 젼로 涅槃 닐어 주026)
닐어:
이르거든. 이르매. 설하매.
이 사미 다가 드르면 곧 信受니

〔본문〕 비구야, 반드시 알아라. 여래가 방편으로 중생의 성품에 깊이 들어 그 뜻에 작은(=소승의) 법을 즐겨 5욕에 깊이 집착한 줄 알고 이들을 위한 까닭으로 열반을 설하매, 이 사람이 만일 들으면 곧 믿고 받느니라.

Ⓒ 구결 | 세조 / 1463년(세조 9) 월 일

〔요해〕 져근 주027)
져근:
작은.
즐길 싸 주028)
즐길 싸:
즐기는 사람. 즐기-+ㄹㆆ 사.
爲샤 權으로 小果 주029)
소과:
소승의 깨달음.
닐어시 뎨 곧 信受 주030)
신수:
가르침을 믿고 받아 들임.
오미 化城 주031)
화성:
신통력으로 변화시켜 만든 성.
걸욤 주032)
걸욤:
걸림.
니라
Ⓒ 언해 | 간경도감 / 1463년(세조 9) 월 일

〔요해〕 ‘작은 법을 즐기는 사람 위하시어 방편으로 소과 이르시매’는 저들이 곧 신수함이 화성에 걸림과 같은 것이다.
Ⓒ 역자 | 김영배 / 2002년 5월 15일

주석
주001)
다며:다다르며. 다-[到].
주002)
구드며:굳으며.
주003)
공법:공(空)의 이법(理法). 공의 가르침.
주004)
:사뭇. 투철히.
주005)
모도아:모아.
주006)
니니:이른 것이니. 이르니.
주007)
기시고:밝히시고.
주008)
이:여기에. 이것에.
주009)
모도시니라:모으신 것이다.
주010)
화연:중생을 교화하는 인연.
주011)
샤:마치심을. -[終].
주012)
니구:익음을. 닉-[熟].
주013)
장교:화교 사법(化敎四法)의 하나. 좁은 세계관에 의거하여 얕은 교리를 말하고 분석하여, 비로소 만물이 본래 있는 것이 아님을 알게 되는 교법.
주014)
결:번뇌의 속박.
주015)
더로미오:덞이고.
주016)
구두:굳음은.
주017)
통교:화법 사교의 하나. 성문(聲聞)·보살·연각(緣覺)이 공통으로 받는 법(法)으로, 공무생멸(空無生滅)의 이치에 따라 인연·사제(四諦)의 법을 살피어 알게 하는 교법.
주018)
아로:앎은. 아는 것은.
주019)
나가:나아감을.
주020)
진상:열반의 경지.
주021)
도과:불도 수행의 결과.
주022)
반기:반드시.
주023)
드러:들어.
주024)
5욕:1.오경(五境)에 집착하여서 일으키는 다섯 가지 정욕(情欲). 2.재욕, 색욕, 식욕, 명예욕, 수면욕의 다섯 가지 욕망.
주025)
아라:알아.
주026)
닐어:이르거든. 이르매. 설하매.
주027)
져근:작은.
주028)
즐길 싸:즐기는 사람. 즐기-+ㄹㆆ 사.
주029)
소과:소승의 깨달음.
주030)
신수:가르침을 믿고 받아 들임.
주031)
화성:신통력으로 변화시켜 만든 성.
주032)
걸욤:걸림.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