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법화경언해 권3

  • 역주 법화경언해
  • 역주 법화경언해 권3
  • 약초유품 제5
  • 4. 게송으로 거듭 설하다 [3] 비유에서 법을 밝히다 ① 차별의 비유에서 법을 밝히다 2
메뉴닫기 메뉴열기

4. 게송으로 거듭 설하다 [3] 비유에서 법을 밝히다 ① 차별의 비유에서 법을 밝히다 2



〔본문〕

법화경언해 권3:38ㄴ

大聖 世尊이 諸天人 一切 衆中에 이 마 주001)
마:
말을.
펴 내 如來 兩足尊 주002)
양족존:
양족선(兩足仙)·이족존(二足尊). 부처님을 말함. 부처님은 두 발을 가진 이 중에서 가장 높은 이란 말.
이라 世間애 나미 주003)
나미:
남이.
구룸 주004)
구룸:
구름.
야 一切 이운 주005)
이운:
시든. 이운. 이울/이-[枯].
衆生 기 주006)
기:
가득히.
저져 주007)
저져:
적시어.
다 受苦 여희여 安隱樂

법화경언해 권3:39ㄱ

과 世間樂과 涅槃樂 得게 호리니

〔본문〕 큰 성인 세존께서 모든 천인과 일체 중생 가운데 이 말을 펴되 ‘나는 여래 양족존이다. 세간에 나는 것이 큰 구름 같아서 일체 시든 중생을 가득히 적시어 다 수고를 여의어 편안한 즐거움과 세간의 즐거움과 열반의 즐거움을 얻게 할 것이니,

Ⓒ 구결 | 세조 / 1463년(세조 9) 월 일

〔요해〕 敎化ㅅ 자쵤 주008)
자쵤:
자취를.
닐어 나토샤 주009)
나토샤:
나타내시어.
衆生 濟度샬 주010)
-샬:
~하실.
일 펴샤 頌시니라 皆令離苦 주011)
-롯:
-로부터.
아랜 주012)
아랜:
아래는.
未度 令度 주013)
미도 영도:
아직 깨닫지 못하고 미(迷)의 세계에 머물러 있는 이를 제도함.
等을 頌시니 度 得호 브터 涅槃애 니를 주014)
니를:
이르므로.
受苦 여희여 便安야 世와 出世 樂 몯 得리 업스리로다
Ⓒ 언해 | 간경도감 / 1463년(세조 9) 월 일

〔요해〕 교화의 자취를 일러 나타내시어 중생 제도하실 일 펴심을 찬송하신 것이다. ‘다 수고 여의어’의 아래는 미도 영도 등을 송하신 것이니 제도를 얻음을 의지하여 열반에 이르므로, 수고를 여의어 편안하고 세상과 출세상의 즐거움을 못 얻을 이가 없을 것이다.
Ⓒ 역자 | 김영배 / 2002년 5월 15일

주석
주001)
마:말을.
주002)
양족존:양족선(兩足仙)·이족존(二足尊). 부처님을 말함. 부처님은 두 발을 가진 이 중에서 가장 높은 이란 말.
주003)
나미:남이.
주004)
구룸:구름.
주005)
이운:시든. 이운. 이울/이-[枯].
주006)
기:가득히.
주007)
저져:적시어.
주008)
자쵤:자취를.
주009)
나토샤:나타내시어.
주010)
-샬:~하실.
주011)
-롯:-로부터.
주012)
아랜:아래는.
주013)
미도 영도:아직 깨닫지 못하고 미(迷)의 세계에 머물러 있는 이를 제도함.
주014)
니를:이르므로.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