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법화경언해 권3

  • 역주 법화경언해
  • 역주 법화경언해 권3
  • 화성유품 제7
  • 3. 대통지승불의 성도 [2] 십육 왕자의 찬탄 1
메뉴닫기 메뉴열기

3. 대통지승불의 성도 [2] 십육 왕자의 찬탄 1


二. 王子隨佛

〔본문〕

법화경언해 권3:95ㄴ

그 부톄 出家 아니신 제 열여슷 아리 잇더니 그 第一은 일후미 智積이러라

〔본문〕 그 부처가 출가하지 아니하셨을 적에 열여섯 아들이 있었는데, 그 첫째는 이름이 지적이었다.


〔요해〕

법화경언해 권3:96ㄱ

諸佛 應시논 자최 本來 法 表호 爲시니 燈明이 出家 아니신 제 八 子ㅣ 겨시며 大通이 出家 아니신 제 十六 子ㅣ 겨샤 주001)
겨샤:
계심은.
얽쿄매 주002)
얽쿄매:
얽힘에.
잇 八識 주003)
8식:
안식(眼識)·이식(耳識)·비식(鼻識)·설식(舌識)·신식(身識)·의식(意識)·말나식(末那識)·아뢰야식(阿賴耶識).
을 表시니 알 上根을 對샤 正코 邪티 아니실 오직 여듧 주004)
여듧:
여덟.
미시고 주005)
미시고:
따름이시고.
이 下根 주006)
하근:
정신적으로 소질이 떨어지는 이.
을 對샤 邪正이 兼야 섯그실 주007)
섯그실:
섞였으므로.
十六이 겨시니라 一名 智積은 智 모도미 잇논 젼로 얽쿄매 잇 識이 외니 다가 뮈워 주008)
뮈워:
움직이게 하여. 뮈우-.
모도미 주009)
모도미:
모음이.
업스시면 이 大通勝智 외시리라 燈明ㅅ 아리 一名 有意도  모도미 잇 디라

〔요해〕 모든 부처님께서 응하시는 자취는 본래 ‘법’ 표함을 위하신 것이니, 등명이 출가하지 아니하셨을 적에 여덟 아들이 계시며 대통이 출가하지 아니하셨을 적에 열여섯 아들이 계심은 다 얽힘에 있는 8식를 나타내신 것이니, 앞은 상근을 대하시어 바르고 삿되지 아니하시므로 오직 여덟 사람이시고, 이는 하근을 대하시어 삿됨과 바름이 겸하여 섞였으므로 16이 계신 것이다. 일명 지적은 지혜 모음이(=쌓임이) 있는 까닭으로 얽힘에 있는 ‘식’이 되니, 만일 움직이게 하여 모음이(=쌓임이) 없으시면 이에 대통승지가 되실 것이다. 등명의 아들 일명 유의도 또 모음이(=쌓임이) 있다는 뜻이다.


〔본문〕

법화경언해 권3:96ㄴ

諸子ㅣ 各各 種種앳 珍異 玩好 주010)
완호(玩好):
장난감.
앳 거슬 뒷더니 주011)
뒷더니:
두었더니.
아바니미 阿耨多羅三藐三菩提 일우시다 듣고 다 보 주012)
보:
보배.
리고 부텻게 주013)
부텻게:
부처님께.
가거늘 諸母ㅣ 우러 조차가 보내더니

〔본문〕 모든 아들이 각각 여러 가지 진귀한 장난감을 두었더니, 아버님이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이루셨다는 말을 듣고 다 보배 버리고 부처님께 가니 모든 어머니가 울며 따라가 보내더니,


〔요해〕

법화경언해 권3:97ㄱ

燈明ㅅ 아래 다 주014)
다:
다만.
四天下 領타 니샤 上根은 오직 四大 허믈 욀 닌 주015)
닌:
뿐인.
 表시고 智勝ㅅ 아래 各各 種種 玩好 뒷다 주016)
뒷다:
두었다.
니샤 下根은 種種 欲 기픈 주017)
기픈:
깊은.
 著혼 모도미 잇  表시니라 보 리고 주018)
리고:
버리고.
부텻긔 주019)
부텻긔:
부처님께.
가 주020)
가:
감은.
모도미 주021)
모도미:
모음이.
이시면 能히 大通티 몯려니와 能히 欲著 주022)
욕착:
탐욕과 집착.
려 通智 證니라

법화경언해 권3:97ㄴ

王子 기르온 주023)
기르온:
기른.
어미 나 아닐 諸母ㅣ라 니시니라 우러 조초 주024)
조초:
좇음은.
愛 믄득 료미 어려울라

〔요해〕 ‘등명불의 아들’에서 다만 4천하를 다스리다.’고 이르심은, 상근은 오직 4대에 허물될 뿐일 것을 표하신 것이고 ‘지승의 아들’에서 각각 놀이갯감을 두었다고 이르심은, 하근은 여러 가지 욕심 깊은 마음에 집착한 모음이 있는 것을 표하신 것이다. ‘보배 버리고 부처님께 감’은 모음이 있으면 능히 대통하지 못하려니와 능히 탐욕과 집착을 버려야 통지를 증득하는 것이다. 왕자를 기른 어머니가 하나 아니므로 ‘모든 어머니’라고 이르신 것이다. ‘울며 따름’은 사랑을 문득 버리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본문〕 그 한아바님 轉輪聖王이 一百 大臣과  녀나 주025)
녀나:
다른.
百千萬億 人民과로 다 圍繞 주026)
위요:
오른쪽 어깨를 향하여 세 번 돌아 경례하는 것. 빙 둘러 쌈.
야 조차 道場애 가 다 大通智勝如來 親近코져 와 주027)
와:
하여.
供養 恭敬오며 尊重 讚

법화경언해 권3:98ㄱ

歎와 다라 주028)
다라:
다달아. 다-[到].
머리 로 주029)
로:
낯으로.
바래 저고 주030)
저고:
절하고.
주031)
머리 로 바래 저고:
무릎을 꿇고 두 손으로 상대방 발을 들어 받드는 듯이 하며 머리를 대는 예법.
부텨 도옴 주032)
도옴:
돌기.
고 주033)
고:
마치고. -[畢].

〔본문〕 그 할아버지 전륜성왕이 일백 대신과 또 다른 백천만억 인민과 더불어 다 위요하여 좇아 도량에 가서 다 대통지승여래께 친근하고자 하여, 공양 공경하오며 존중 찬탄하여 다다라 머리와 낯으로 발에 절하옵고 부처님께 돌기를 마치고,

Ⓒ 구결 | 세조 / 1463년(세조 9) 월 일

〔요해〕 輪王 곧 大通ㅅ 아바니미시니 智積에 한아바니미시니라 주034)
한아바니미시니라:
할아버님이신 것이다.
Ⓒ 언해 | 간경도감 / 1463년(세조 9) 월 일

〔요해〕 윤왕은 곧 대통의 아버님이시니 지적에〈게는〉 할아버님이신 것이다.
Ⓒ 역자 | 김영배 / 2002년 5월 15일

주석
주001)
겨샤:계심은.
주002)
얽쿄매:얽힘에.
주003)
8식:안식(眼識)·이식(耳識)·비식(鼻識)·설식(舌識)·신식(身識)·의식(意識)·말나식(末那識)·아뢰야식(阿賴耶識).
주004)
여듧:여덟.
주005)
미시고:따름이시고.
주006)
하근:정신적으로 소질이 떨어지는 이.
주007)
섯그실:섞였으므로.
주008)
뮈워:움직이게 하여. 뮈우-.
주009)
모도미:모음이.
주010)
완호(玩好):장난감.
주011)
뒷더니:두었더니.
주012)
보:보배.
주013)
부텻게:부처님께.
주014)
다:다만.
주015)
닌:뿐인.
주016)
뒷다:두었다.
주017)
기픈:깊은.
주018)
리고:버리고.
주019)
부텻긔:부처님께.
주020)
가:감은.
주021)
모도미:모음이.
주022)
욕착:탐욕과 집착.
주023)
기르온:기른.
주024)
조초:좇음은.
주025)
녀나:다른.
주026)
위요:오른쪽 어깨를 향하여 세 번 돌아 경례하는 것. 빙 둘러 쌈.
주027)
와:하여.
주028)
다라:다달아. 다-[到].
주029)
로:낯으로.
주030)
저고:절하고.
주031)
머리 로 바래 저고:무릎을 꿇고 두 손으로 상대방 발을 들어 받드는 듯이 하며 머리를 대는 예법.
주032)
도옴:돌기.
주033)
고:마치고. -[畢].
주034)
한아바니미시니라:할아버님이신 것이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