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7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7집 하1의1
  • 5. 미륵보살장(彌勒菩薩章)
  • 4. 윤회의 근본을 밝혀주심
  • 4-1) 윤회에 대하여 말씀해주심 나) 윤회하는 중생의 다섯 종류 23
메뉴닫기 메뉴열기

4-1) 윤회에 대하여 말씀해주심 나) 윤회하는 중생의 다섯 종류 23


【종밀주석】 二 荅脩悲智니 旣識輪廻之病야 用心이 免落異宗 卽須依解脩行야 速求證入이니 然이나

원각경언해 하1의1:58ㄱ

菩薩脩行이 不出悲智二利故로 須明之시니라 前問中엔 先智後悲시고 今荅앤 則先悲後智시니 意表卽智之悲와 卽悲之智ㅣ 無先無後故로 互明之시니라 文中이 二니 初 悲오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둘흔 悲와 智와 닷고 주001)
닷고:
닦음을. -[修]+옴(명사형어미)+.
對答샤미니 마 輪廻ㅅ 病을 아라 用心이 다 宗애 듀믈 주002)
듀믈:
떨어짐을. 디-[落]+움(명사형어미)+을.
免 곧 모로매 解 브터 行 닷가 리 證入을 求홀 디니 그러나 菩薩ㅅ 脩行이 悲와 智왓 두 利예 나디 아니 모로매 기시니라 알 주003)
알:
앞에서. 앒+(특수처소부사격조사). ‘-/의’는 관형격 조사와 형태가 같은데, 이러한 특수처소부사격 조사를 취하는 체언은 정해져 있다. 대개 시간, 장소, 방향을 나타내는 체언이 특수처소부사격 조사를 취한다. 중세국어의 ‘-에’는 현대국어의 ‘-에, -에서’가 쓰일 환경에 두루 쓰임.
묻오샨 주004)
묻오샨:
여쭈신. 묻-[問]+(겸양 선어말어미)+샤(주체존대 선어말어미)+오/우+ㄴ(관형사형어미).
中엔 智 몬져 시고 悲 後에 시고 이제 對答

원각경언해 하1의1:58ㄴ

샤맨 주005)
샤맨:
하심에는. -+샤(주체존대 선어말어미)+옴(명사형어미)+애(부사격조사)+ㄴ(보조사).
悲 몬져 시고 智 後에 시니 든 智를 卽 悲와 悲를 卽 智왜 몬져 업스며 後ㅣ 업슨  表실 서르 기시니라 文中이 둘히니 처믄 悲오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둘은 비(悲)와 지(智)와 닦음을 대답하시니, 이미 윤회의 병을 알아 용심이 다른 종에 떨어짐을 면하므로 곧 모름지기 해(解)에 의거하여 행을 닦아 빨리 증입을 구할지니, 그러나 보살의 수행이 비와 지의 두 이로움에서 벗어나지 아니하므로 모름지기 밝히시니라. 앞에서 여쭈신 것 중에는 지를 먼저 하시고 비를 나중에 하시고, 이제 대답하심에는 비를 먼저 하시고 지를 나중에 하시니, 뜻은 지를 즉한 비와, 비를 즉한 지가 먼저 없으며 나중이 없는 것을 표하셨으므로 서로 밝히시니라. 글 속이 둘이니 처음은 비이고,
Ⓒ 역자 | 이유기 / 2005년 12월 23일

주석
주001)
닷고:닦음을. -[修]+옴(명사형어미)+.
주002)
듀믈:떨어짐을. 디-[落]+움(명사형어미)+을.
주003)
알:앞에서. 앒+(특수처소부사격조사). ‘-/의’는 관형격 조사와 형태가 같은데, 이러한 특수처소부사격 조사를 취하는 체언은 정해져 있다. 대개 시간, 장소, 방향을 나타내는 체언이 특수처소부사격 조사를 취한다. 중세국어의 ‘-에’는 현대국어의 ‘-에, -에서’가 쓰일 환경에 두루 쓰임.
주004)
묻오샨:여쭈신. 묻-[問]+(겸양 선어말어미)+샤(주체존대 선어말어미)+오/우+ㄴ(관형사형어미).
주005)
샤맨:하심에는. -+샤(주체존대 선어말어미)+옴(명사형어미)+애(부사격조사)+ㄴ(보조사).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