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7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7집 하1의1
  • 5. 미륵보살장(彌勒菩薩章)
  • 4. 윤회의 근본을 밝혀주심
  • 4-1) 윤회에 대하여 말씀해주심 가) 윤회의 근본과 곁가지 ① 끊어야 할 대상을 보여주심 7
메뉴닫기 메뉴열기

4-1) 윤회에 대하여 말씀해주심 가) 윤회의 근본과 곁가지 ① 끊어야 할 대상을 보여주심 7


【종밀주석】 三은 展轉更依오

세흔 주001)
세흔:
셋은. 셓(ㅎ 종성체언)+은.
올며 올마 다시곰 주002)
다시곰:
다시금. 다시+곰(강조의 보조사). -곰〉-금.
브투미오

셋은 옮으며 옮아 다시금 붙음이고,

【경】 欲은 因愛야 生고 命은 因欲야 有커든 衆生이 愛命야 還依欲本니 愛欲이 爲因이오 愛命이 爲果ㅣ라

주003)
은:
-은. -는. ‘欲은’은 모음조화에 어긋남. 26ㄱ에서는 ‘欲’으로 표기되어 있다.
愛 因야 나고 命은 欲 因야 잇거든 주004)
잇거든:
있으니. 잇-+거든. ‘-거든’은 현대국어의 ‘-으니’가 쓰일 자리에 쓰이기도 함.
衆生이 命을 愛야 도로 주005)
도로:
도로. 돌-+오(부사파생접미사).
欲ㅅ 根本 븓니 欲 愛호미 因이 외오 주006)
외오:
되고. 외-+고/오(대등적 연결어미). 연결어미 ‘-고’가 /ㄱ/ 약화를 거쳐 ‘-오’로 교체된 것. /ㄱ/은 서술격조사와 /ㄹ/ 및 하향이중모음의 음절부음 [j] 뒤에서 약화 되어 ‘ㅇ’으로 표기됨.
命 愛호미 果ㅣ 외니라

욕심은 애착으로 인하여 나고 목숨은 욕심으로 인하여 있으니, 중생이 목숨을 애착하여 도로 욕심의 근본에 의지하나니, 욕심을 애착함이 원인이 되고 목숨을 애착함이 과보가 되느니라.

【종밀주석】

원각경언해 하1의1:25ㄴ

欲은 謂貪媱이오 命은 謂身命이니 無愛면 欲則不生고 無欲이면 身則不有리니 當知欲因愛有고 身因欲生이로다 旣有此身얀 還生於愛니 由愛身故로 還爲欲因야 復感未來生死果報야 如是展轉야 相續無窮니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欲은 닐오 주007)
닐오:
말하자면. ‘닐오’는 대개 ‘이르되’를 뜻하는데, 때로는 여기서처럼 ‘말하자면’을 뜻하기도 함.
貪婬이오 주008)
이오:
-이고. 이(서술격조사)+고/오(대등적 연결어미).
命은 닐오 身命이니 愛 업스면 欲이 나디 아니고 欲 업스면 모미 잇디 아니리니

원각경언해 하1의1:26ㄱ

欲 愛 因야 잇고 身은 欲 因야 나 주009)
:
것을. 줄을. (의존명사)+ㄹ(목적격조사). ‘-ㄹ’과 ‘-/를’의 교체는 수의적이었으나, ‘’는 언제나 ‘ㄹ’을 취함.
반기 알리로다 마 이 모미 이션 주010)
이션:
있고서는. 이시-[有]+어(연결어미)+ㄴ(보조사). ‘잇-’의 이형태는 세 가지이다. 모음 앞에서는 ‘이시-’, 자음 앞에서는 ‘잇-’이 쓰이며, 모음 앞이되 연결어미 ‘-어/아, -고’나 부사 ‘마니’의 뒤일 경우에는 ‘시-’가 쓰인다.
도로 愛 내니 모 愛호믈 브틀 도로 欲의 因이 외야  未來옛 生死 果報 感야 이티 올며 올마 서르 니 주011)
니:
이어. -[連]+어. 니〉이어.
다옴 주012)
다옴:
다함. 다-[盡]+옴(명사형어미).
업스니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욕망은 말하자면 탐음이고, 목숨은 말하자면 신명(身命)이니, 애착이 없으면 욕망이 일어나지 아니하고 욕망이 없으면 몸이 있지 아니하리니, 욕망은 애착을 인하여 있고, 몸은 욕망을 인하여 나는 것을 반드시 알아야 할 것이로다. 이미 이 몸이 있고 나서는 도로 애착을 내나니, 몸을 애착함을 말미암으므로 도로 욕망의 원인이 되어 또 미래의 생사 과보를 감하여 이같이 옮으며 옮아 서로 이어 다함이 없느니라.
Ⓒ 역자 | 이유기 / 2005년 12월 23일

주석
주001)
세흔:셋은. 셓(ㅎ 종성체언)+은.
주002)
다시곰:다시금. 다시+곰(강조의 보조사). -곰〉-금.
주003)
은:-은. -는. ‘欲은’은 모음조화에 어긋남. 26ㄱ에서는 ‘欲’으로 표기되어 있다.
주004)
잇거든:있으니. 잇-+거든. ‘-거든’은 현대국어의 ‘-으니’가 쓰일 자리에 쓰이기도 함.
주005)
도로:도로. 돌-+오(부사파생접미사).
주006)
외오:되고. 외-+고/오(대등적 연결어미). 연결어미 ‘-고’가 /ㄱ/ 약화를 거쳐 ‘-오’로 교체된 것. /ㄱ/은 서술격조사와 /ㄹ/ 및 하향이중모음의 음절부음 [j] 뒤에서 약화 되어 ‘ㅇ’으로 표기됨.
주007)
닐오:말하자면. ‘닐오’는 대개 ‘이르되’를 뜻하는데, 때로는 여기서처럼 ‘말하자면’을 뜻하기도 함.
주008)
이오:-이고. 이(서술격조사)+고/오(대등적 연결어미).
주009)
:것을. 줄을. (의존명사)+ㄹ(목적격조사). ‘-ㄹ’과 ‘-/를’의 교체는 수의적이었으나, ‘’는 언제나 ‘ㄹ’을 취함.
주010)
이션:있고서는. 이시-[有]+어(연결어미)+ㄴ(보조사). ‘잇-’의 이형태는 세 가지이다. 모음 앞에서는 ‘이시-’, 자음 앞에서는 ‘잇-’이 쓰이며, 모음 앞이되 연결어미 ‘-어/아, -고’나 부사 ‘마니’의 뒤일 경우에는 ‘시-’가 쓰인다.
주011)
니:이어. -[連]+어. 니〉이어.
주012)
다옴:다함. 다-[盡]+옴(명사형어미).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