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7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7집 하1의2
  • 6. 청정혜보살장(淸淨慧菩薩章)
  • 4. 수행의 경지를 단계별로 말씀하심
  • 4-2) 중생의 근기 때문에 수행의 차별이 있음 가) 지위에 따른 점차적 수행 ① 신위 12
메뉴닫기 메뉴열기

4-2) 중생의 근기 때문에 수행의 차별이 있음 가) 지위에 따른 점차적 수행 ① 신위 12


【경】 得法界淨리니

法界 조호 주001)
조호:
깨끗함을. 좋-[淨]+옴/움+. ‘좋-, 조-’ 두 어간이 있었는데, 이 중 ‘좋-’이 더 널리 쓰였다.
得리니

법계가 깨끗함을 얻으리니

【종밀주석】 若理法界則法界體中에 絶諸勞慮야 塵

원각경언해 하1의2:22ㄴ

境이 不生시 名之爲淨이오 若事法界則分別念慮之心과 差別塵境之法十八界等이 當體不生시 名之爲淨이니 何者오 法界淨穢ㅣ 皆由自心니 心穢則穢코 心淨則淨니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다가 주002)
다가:
혹.
理法界 法界體 中에 한 잇븐 분벼리 그처 塵境이 나디 아니 주003)
시:
것이. (의존명사)+ㅣ(주격조사).
일후미 조호미오 다가 事法界 分別야 혜아리 과 差別 塵境엣 法ㅅ 十八界 等이 當 體 나디 아니 시 일후미 조호미니 엇뎨오 주004)
엇뎨오:
어찌하여 그런가? 엇뎨(부정의 부사)+고/오(의문 보조사). ‘-고/오’는 의문 종결어미로도 쓰이고 의문 보조사로도 쓰임. ‘엇뎨’는 부사이나, 여기서는 체언 자격을 가진다.
法界 조며 주005)
조며:
깨끗하며. 좋-+며.
더러우미 다 제  븓니 미 더러우면 더럽고 미 조면 졷니라 주006)
졷니라:
좋아지느니라. 좋-[好]++니+라. 형용사 ‘좋-’이 여기서는 동사적인 용법으로 쓰여, ‘--’와 결합함. 8종성표기법.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혹 이법계는 법계체 중에 많은 힘든 걱정이 그쳐 진경이 나지 아니하는 것이 이름이 깨끗함이고, 혹 사법계는 염려하여 헤아리는 마음과 차별한 진경의 법의 십팔계(十八界) 등이 마땅한 체가 나지 아니하는 것이 이름이 깨끗함이니, 어찌하여 그런가? 법계가 깨끗하며 더러움이 다 자기 자신의 마음에 말미암나니, 마음이 더러우면 더럽고 마음이 깨끗하면 깨끗해지느니라.
Ⓒ 역자 | 이유기 / 2005년 12월 23일

주석
주001)
조호:깨끗함을. 좋-[淨]+옴/움+. ‘좋-, 조-’ 두 어간이 있었는데, 이 중 ‘좋-’이 더 널리 쓰였다.
주002)
다가:혹.
주003)
시:것이. (의존명사)+ㅣ(주격조사).
주004)
엇뎨오:어찌하여 그런가? 엇뎨(부정의 부사)+고/오(의문 보조사). ‘-고/오’는 의문 종결어미로도 쓰이고 의문 보조사로도 쓰임. ‘엇뎨’는 부사이나, 여기서는 체언 자격을 가진다.
주005)
조며:깨끗하며. 좋-+며.
주006)
졷니라:좋아지느니라. 좋-[好]++니+라. 형용사 ‘좋-’이 여기서는 동사적인 용법으로 쓰여, ‘--’와 결합함. 8종성표기법.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