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7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7집 하1의2
  • 6. 청정혜보살장(淸淨慧菩薩章)
  • 4. 수행의 경지를 단계별로 말씀하심
  • 4-1) 원각 자체에는 보살과 중생의 차별이 없음 8
메뉴닫기 메뉴열기

4-1) 원각 자체에는 보살과 중생의 차별이 없음 8


【경】 菩薩衆生이 皆是幻化ㅣ니 幻化ㅣ 滅故로 無取證者니

菩薩 衆生이 다 주001)
이:
이것이. 이(대명사)+∅(주격조사).
幻化ㅣ니 幻化 주002)
환화(幻化):
실체가 없는 것을 환술로 만들어 내는 것.
ㅣ 업슬 取며 證리 업스니

보살 중생이 다 이것이 환화이니, 환화가 없으므로 취하며 증할 사람이 없으니,

【종밀주석】 約有幻垢야 名曰衆生이오 對離幻垢야 名

원각경언해 하1의2:7ㄴ

爲菩薩이니 故로 二ㅣ 皆空니라 然이나 前엣 輪廻와 及此脩證을 皆云無者 前은 似岸移고 此 如鏡像니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주003)
:
때가. [垢]+∅(주격조사).
이쇼 자바 주004)
자바:
잡아. 잡-+아. 《이조어사전》에서는 이 ‘잡-’의 뜻을 [어림하다. 짐작하다]로 파악하였는데, 그것은 ‘잡-’이 ‘約’의 번역으로 쓰인 데에 말미암은 것이다. 그러나 문맥으로 보면, ‘잡다’는 ‘추상적이거나 모호하여 인식하기 어려운 대상을 명시적으로 바라보거나 남에게 보여 주다’란 뜻을 지니는 것으로 생각된다.
일후믈 닐오 衆生이오 幻  여희요 對야 일후미 菩薩이니 그럴 둘히 다 空니라 그러나 알 輪廻와 이 脩證을 다 업

원각경언해 하1의2:8ㄱ

다 니샤 알 두들기 올몸 고 이 거우룻 주005)
거우룻:
거울의. 거우루[鏡]+ㅅ(관형격조사). ‘거우루’는 ‘거우로’로도 나타남. 근대국어 시기 이후 어말 모음이 탈락하여 ‘거올, 거울’이 등장.
像 니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헛것에는 때가 있음을 잡아 일컫기를 중생이고, 헛것이 때를 벗음을 대하여 일컫기를 보살이니, 그러므로 둘이 다 비어 있느니라. 그러나 앞의 윤회와 여기의 수증을 다 없다 하심은 앞은 기슭이 옮음과 같고 이는 거울의 상과 같으니라.
Ⓒ 역자 | 이유기 / 2005년 12월 23일

주석
주001)
이:이것이. 이(대명사)+∅(주격조사).
주002)
환화(幻化):실체가 없는 것을 환술로 만들어 내는 것.
주003)
:때가. [垢]+∅(주격조사).
주004)
자바:잡아. 잡-+아. 《이조어사전》에서는 이 ‘잡-’의 뜻을 [어림하다. 짐작하다]로 파악하였는데, 그것은 ‘잡-’이 ‘約’의 번역으로 쓰인 데에 말미암은 것이다. 그러나 문맥으로 보면, ‘잡다’는 ‘추상적이거나 모호하여 인식하기 어려운 대상을 명시적으로 바라보거나 남에게 보여 주다’란 뜻을 지니는 것으로 생각된다.
주005)
거우룻:거울의. 거우루[鏡]+ㅅ(관형격조사). ‘거우루’는 ‘거우로’로도 나타남. 근대국어 시기 이후 어말 모음이 탈락하여 ‘거올, 거울’이 등장.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