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7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7집 하1의1
  • 5. 미륵보살장(彌勒菩薩章)
  • 4. 윤회의 근본을 밝혀주심
  • 4-1) 윤회에 대하여 말씀해주심 나) 윤회하는 중생의 다섯 종류 3
메뉴닫기 메뉴열기

4-1) 윤회에 대하여 말씀해주심 나) 윤회하는 중생의 다섯 종류 3


【종밀주석】 二 別釋差等이니 文이 二니 一은 所依二障이오

둘흔 差等을 各別히 사기샤미

원각경언해 하1의1:44ㄱ

주001)
사기샤미니:
풀이하심이니. 새기심이니. 사기-[釋]+샤(주체존대 선어말어미)+옴(명사형어미)+이+니.
文이 둘히니 나 所依 주002)
소의(所依):
‘능의(能依)’에 대응. 의지하는 주체에 대하여, 의지하는 대상.
ㅅ 二障이오

둘은 차등을 따로이 풀이하심이니, 글이 둘이니 하나는 ‘소의(所依)의 두 장애이고,

【경】 云何二障고

므스기 주003)
므스기:
무엇이. 므슥(何. 의문대명사)+이(주격조사).
二障 주004)
이장(二障):
혹장(惑障)을 둘로 나눈 것. 책마다 다른데, 《원각경》에서는 이장(理障)과 사장(事障)으로 구분한다.
주005)
고:
-인가. 설명의문문의 의문보조사. 중세국어 의문보조사에는 ‘-고’와 ‘-가’가 있는데, ‘-고’는 설명의문문에 스이고, ‘-가’는 판정의문문에 쓰인다. 설명의문문에는 의문대명사, 의문관형사, 의문부사가 출현한다. 한편 의문보조사 ‘-고, -가’는 의문종결어미 ‘-고, -가’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이나, 체언에 직접 통합하는 ‘-고, -가’는 보조사로 기술한다.

무엇이 이장(二障)인가?

【종밀주석】 依起信야 釋이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起信을 브터 주006)
브터:
의거하여. 븥-[依]+어. ‘븥-[附]+어’가 관용화하여 어떤 동작이나 사건의 출발점을 표시함. 현대국어 ‘-로부터’도 이와 같다.
사교미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기신론에 의거하여 새긴 것이다.
Ⓒ 역자 | 이유기 / 2005년 12월 23일

주석
주001)
사기샤미니:풀이하심이니. 새기심이니. 사기-[釋]+샤(주체존대 선어말어미)+옴(명사형어미)+이+니.
주002)
소의(所依):‘능의(能依)’에 대응. 의지하는 주체에 대하여, 의지하는 대상.
주003)
므스기:무엇이. 므슥(何. 의문대명사)+이(주격조사).
주004)
이장(二障):혹장(惑障)을 둘로 나눈 것. 책마다 다른데, 《원각경》에서는 이장(理障)과 사장(事障)으로 구분한다.
주005)
고:-인가. 설명의문문의 의문보조사. 중세국어 의문보조사에는 ‘-고’와 ‘-가’가 있는데, ‘-고’는 설명의문문에 스이고, ‘-가’는 판정의문문에 쓰인다. 설명의문문에는 의문대명사, 의문관형사, 의문부사가 출현한다. 한편 의문보조사 ‘-고, -가’는 의문종결어미 ‘-고, -가’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이나, 체언에 직접 통합하는 ‘-고, -가’는 보조사로 기술한다.
주006)
브터:의거하여. 븥-[依]+어. ‘븥-[附]+어’가 관용화하여 어떤 동작이나 사건의 출발점을 표시함. 현대국어 ‘-로부터’도 이와 같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