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능엄경언해 제8

  • 역주 능엄경언해
  • 역주 능엄경언해 제8
  • Ⅱ. 정종분(正宗分)○5. 조도분(助道分)
  • [운허]1. 7취(趣)를 말하다
  • 1. 7취(趣)를 말하다○(2) 지옥취 2○1. 열 가지 원인○10. 소송을 벌임
메뉴닫기 메뉴열기

1. 7취(趣)를 말하다○(2) 지옥취 2○1. 열 가지 원인○10. 소송을 벌임


능엄경언해 권8:93ㄱ

十. 訟習
〔경문〕 十者 訟習이 交誼호미 發於藏覆니 如是故로 有鑑見照燭니 如於日中에 不能藏影니 二習이 相陳故로 有惡友와 業鏡과 火珠왜 披露宿業야 對驗 諸事니 是故로 十方一切如來ㅣ 色目覆藏샤 同名陰賊이오 菩薩이 觀覆호 如戴高山야 履於巨海니라

〔경문〕

능엄경언해 권8:93ㄴ

열흔 주001)
열흔:
열은. 열ㅎ[十].
訟習이 섯거 들에유미 주002)
들에유미:
떠드는 것이. 들에-[喧].
초아 주003)
초아:
감추어. 초-[藏].
두푸메 주004)
두푸메:
덮음에. 둪-[覆].
發니 이런 젼로 거우루로 주005)
거우루로:
거울로.
보며 觸로 비취요미 잇니 日中에 能히 그리메 주006)
그리메:
그림자.
초디 몯니 두 習이 서르 펴 젼로 모딘 벋과 주007)
벋과:
벗과.
業鏡과 火珠왜 아 주008)
아:
예전의.
業을 헤 나토아 주009)
나토아:
나타내어. 나토-[顯].
對야 마초 주010)
마초:
맞추는. 맞추어 보는.
여러 이리 잇니 이런로 十方 一切 如來 두퍼 초 色目샤  가지로 일후미 陰賊이오《陰賊은 그근 주011)
그근:
그윽한.
로 주012)
로:
꾀로.
害씨라 菩薩이 두푸믈 주013)
두푸믈:
덮음을.
보 노 뫼 주014)
뫼:
산을.
이여 큰 바 주015)
바:
바다.
 니라

〔경문〕 열째는 송습 주016)
송습:
자기의 옳음을 드러내고, 다른 사람의 그릇된 것을 말하는 버릇.
이 섞이어 떠드는 것이 감추어 덮음에서 발하니, 이런 까닭으로 거울로 보〈게 하〉며 촛불로 〈감춘 것을〉 비추는 것이 있으니, 〈마치〉 해가 있는 동안에 능히 그림자를 감추지 못하듯 하니, 두 ‘습’이 서로 펴는 까닭으로 나쁜 벗과 업경 주017)
업경:
염마왕청에 있는 거울로, 죽은 이가 생전에 지은 선악의 행업이 그대로 나타난다고 함.
화주 주018)
화주:
불과 같이 환하게 비치는 구슬로 사람에게 갖다 대면 일생 동안의 일이 다 드러난다고 함.
가 예전의 ‘업’을 생각해 나타내어 대하게 해서 맞추는 여러 일이 있으니, 이런고로 시방의 일체여래가 덮어 감추는 것을 색목하시되, 한가지로 이름이 음적이고 【음적은 그윽한 꾀로 〈남을〉 해하는 것이다.】 보살이 〈그런〉 덮음을 보되, 〈마치〉 높은 산을 〈머리에〉 이고 큰 바다를 밟듯이 하는 것이다.

〔주해〕 訟 非官訟이라 公發其覆之謂也ㅣ니 此ㅣ 正覆習也ㅣ라 此 覆거든 彼 訟시 曰交諠이니 故로 感鑑見照燭之境과 惡友對驗之報니라 陰賊이 藏覆야 잇다가 發면 則自害니 覆罪호미 適足自壓自墜故로 如戴山履海也ㅣ라 十習이 發於十惑야 通根本而兼隨니 隨煩惱二十에 初曰忿과 恨과 惱와 覆와 誑과 諂과 憍와 害니 今詐習이 卽諂也ㅣ오 寃 卽恨也ㅣ오 枉 卽害也ㅣ오 訟 卽覆也ㅣ니 略例而已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1년(세조 7)

〔주해〕

능엄경언해 권8:94ㄴ

訟 官訟이 아니라 그 두푸믈 번히 주019)
번히:
공정하게.
發호 니시니 이 正 둡 주020)
둡:
덮는. 둡-~둪-.
習이라 이 둡거든 뎌 주021)
뎌:
저[彼]는.
씨 주022)
-씨:
-하는, 것이.
니샨 섯거 들에요미니 주023)
들에요미니:
떠드는 것이니.
이런로 거우루로 주024)
거우루로:
거울로.
보며 燭로 비취 境과 모딘 버디 주025)
모딘 버디:
모진(=악한) 벗이.
對야 마초 報 感니라 陰賊이 초아 주026)
초아:
감추어.
두퍼 잇다가 發면 주027)
제:
스스로가.
害니 罪 두푸미 마치 足히 제 눌이며 주028)
눌이며:
눌리며. 눌이-[被壓].
제 러디 젼로 뫼 주029)
뫼:
산을.
이여 바 주030)
바:
바다.
옴 주031)
옴:
밟음.
니라 주032)
니라:
같으니라. 같은 것이다.
十習이 十惑애 發야 根本 通야 隨ㅣ 兼니 【根本煩惱 貪과 瞋과 癡와 慢과 疑 不正見괘라 주033)
-와 -괘라:
와 -이다.
【隨煩惱 忿과 恨과 惱와 覆와 誑과 諂과 憍와 害와 嫉와 慳과】 【無慚 無愧와 不信

능엄경언해 권8:95ㄱ

과 懈怠와 放逸와 昏沈과 掉擧와 失念과 不正知와 散亂괘라】
隨煩惱 二十에 처 주034)
처:
처음.
닐오 忿과 恨과 惱와 覆와 誑과 諂과 梟와 害니 이젯 주035)
이젯:
지금의.
詐習이 곧 諂이오 주036)
-이오:
-이고.
寃은 곧 恨이오 枉 곧 害 주037)
-오:
-이고.
訟 곧 覆ㅣ니 略히 例실 미라
Ⓒ 언해 | 간경도감 / 1462년(세조 8)

〔주해〕 ‘송’ 주038)
송:
여기서는 자기의 옳음을 드러내고 다른 사람의 그름을 말하는 것.
은 관〈청에서의〉 송사가 아니라, 그 덮은 것을 공정하게 드러내는 것을 이르시니, 이것은 바르게 덮는 ‘습’이다. 이〈쪽〉은 덮는데 저〈쪽〉은 ‘송’하는 것이 이르신〈바〉 섞여 떠드는 것이니, 이런고로 거울로 보며 촛불로 비추는 대경과 나쁜 벗을 대하여 맞추는 ‘보’를 감하는 것이다. 음적이 감추어 덮어 〈두〉었다가 발하면 스스로가 해하니, 죄를 덮는 것이 마치 족히 스스로가 눌리며 스스로가 떨어〈빠〉지는 까닭으로 ‘산을 이고서 바다를 밟는 것’ 같은 것이다. 10습이 10혹 주039)
10혹:
분(忿)·부(覆)·간(慳)·질(嫉)·뇌(惱)·해(害)·한(恨)·첨(諂)·광(誑)·교(憍).
에서 발하여 근본(=번뇌)을 통해 수(=번뇌)가 겸하〈게 되〉니 근본번뇌 주040)
근본번뇌:
모든 번뇌 가운데서 그 근본이고 자체인 6종의 번뇌.
는 탐과 진과 치와 만과 의와 부정견이다. 수번뇌 주041)
수번뇌:
근본번뇌에 수반하여 일어나는 스무 가지 번뇌.
는 분과 한과 뇌와 부와 광과 첨과 교와 해와 질과 간과 무참과 무괴와 불신과 해태와 방일과 혼침과 도거와 실념과 부정지와 산란이다.】
수번뇌 20에 처음에 이르기를 분과 한과 뇌와 부와 광과 첨과 교와 해〈만 이른 것이〉니 지금의 사습이 곧 첨이고, ‘원’은 곧 ‘한’이고 ‘광’은 곧 ‘해’이고 ‘송’은 곧 ‘부’이니, 간략히 예하시〈었〉을(=예를 들었을) 따름이다.
Ⓒ 역자 | 김영배 / 1997년 10월 23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5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열흔:열은. 열ㅎ[十].
주002)
들에유미:떠드는 것이. 들에-[喧].
주003)
초아:감추어. 초-[藏].
주004)
두푸메:덮음에. 둪-[覆].
주005)
거우루로:거울로.
주006)
그리메:그림자.
주007)
벋과:벗과.
주008)
아:예전의.
주009)
나토아:나타내어. 나토-[顯].
주010)
마초:맞추는. 맞추어 보는.
주011)
그근:그윽한.
주012)
로:꾀로.
주013)
두푸믈:덮음을.
주014)
뫼:산을.
주015)
바:바다.
주016)
송습:자기의 옳음을 드러내고, 다른 사람의 그릇된 것을 말하는 버릇.
주017)
업경:염마왕청에 있는 거울로, 죽은 이가 생전에 지은 선악의 행업이 그대로 나타난다고 함.
주018)
화주:불과 같이 환하게 비치는 구슬로 사람에게 갖다 대면 일생 동안의 일이 다 드러난다고 함.
주019)
번히:공정하게.
주020)
둡:덮는. 둡-~둪-.
주021)
뎌:저[彼]는.
주022)
-씨:-하는, 것이.
주023)
들에요미니:떠드는 것이니.
주024)
거우루로:거울로.
주025)
모딘 버디:모진(=악한) 벗이.
주026)
초아:감추어.
주027)
제:스스로가.
주028)
눌이며:눌리며. 눌이-[被壓].
주029)
뫼:산을.
주030)
바:바다.
주031)
옴:밟음.
주032)
니라:같으니라. 같은 것이다.
주033)
-와 -괘라:와 -이다.
주034)
처:처음.
주035)
이젯:지금의.
주036)
-이오:-이고.
주037)
-오:-이고.
주038)
송:여기서는 자기의 옳음을 드러내고 다른 사람의 그름을 말하는 것.
주039)
10혹:분(忿)·부(覆)·간(慳)·질(嫉)·뇌(惱)·해(害)·한(恨)·첨(諂)·광(誑)·교(憍).
주040)
근본번뇌:모든 번뇌 가운데서 그 근본이고 자체인 6종의 번뇌.
주041)
수번뇌:근본번뇌에 수반하여 일어나는 스무 가지 번뇌.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