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능엄경언해 제8

  • 역주 능엄경언해
  • 역주 능엄경언해 제8
  • Ⅱ. 정종분(正宗分)○5. 조도분(助道分)
  • [운허]1. 7취(趣)를 말하다
  • 1. 7취(趣)를 말하다○(5) 인취(人趣)○2
메뉴닫기 메뉴열기

1. 7취(趣)를 말하다○(5) 인취(人趣)○2


二. 明感

능엄경언해 권8:125ㄱ

〔경문〕 汝ㅣ 今에 應知라 彼梟倫者 酬足고 復形야 生人道中면 參合頑類고 彼咎徵者 酬足고 復形야 生人道中면 參合愚類고 彼狐倫者 酬足고 復形야 生人道中면 參合很類고 彼毒倫者 酬足고 復形야 生人道中면 參合庸類고 彼蛔倫者 酬足고 復形야 生人道中면 參合微類고 彼食倫者 酬足고 復形야 生人道中면 參合柔類고 彼服倫者 酬足고 復形야 生人道中면 參合勞類고 彼應倫者는 酬足고 復形야 生人道中면 參合文類고 彼休徵者 酬足고 復形야 生人道中면 參合明類고 彼循倫者 酬足고 復形야 生人道中면 參合達類니라

〔경문〕

능엄경언해 권8:126ㄱ

주001)
네:
네가. 너+ㅣ(임자토) → 네.
이제 반기 알라 뎌 梟 무 주002)
무:
무리는. 물[群].
가포 足히 고 形을 도로 야 人道 中에 나면 주003)
완:
어리석고 미혹해서 아무것도 모름.
무레 주004)
무레:
무리에.
섯거 주005)
섯거:
섞어. 섞이어.
어울오 주006)
어울오:
어울리고. 합하고.
뎌 咎徵 가포 足히 고 形을 도로 야 人道 中에 나면 어린 무레 섯거 어울오 의 주007)
의:
여우의. 여[狐]+의.
무 가포 주008)
가포:
갚음을.
足히 고 形을 도로 야 人道 中에 나면 거슬 주009)
거슬:
거슬린.
무레 섯거 어울오 주010)
뎌:
저.
毒 무 가포 足히 고 形

능엄경언해 권8:126ㄴ

을 도로 야 人道 中에 나면 庸 무레 섯거 어울오 주011)
어울오:
어울리고.
【庸 常ㅅ거시라】 뎌 蛔 주012)
-:
-의.
무 가포 足히 고 形을 도로 야 人道 中에 나면 微 무레 섯거 어울오 머키 주013)
머키:
먹히는.
무 가포 足히 고 形을 도로 야 人道 中에 나면 柔 무레 섯거 주014)
섯거:
섞어. 섞이어. ‘-’[混]은 남움직씨와 제움직씨가 같이 씌었음.
어울오 뎌 服 무 가포 足히 고 形을 도로 야 人道 中에 나면 이 주015)
이:
고단한. 피곤한.
무레 섯거 어울오 뎌 應 무 가포 足히 고 形을 도로 야 人道 中에 나면 빗난 무레 섯거 어울오 뎌 休徵 가포 足히 고 形을 도로야 人道 中에 나면  무레 섯거 어울오 좃 주016)
좃:
좇는. 따르는.
무 주017)
무:
무리는.
가포 足히 고 形을 도로 야 人道 中에 나면 通達 무레 섯거 어우니라

〔경문〕 너는 이제 마땅히 알아라. 저 올빼미의 무리는 갚음을 족히 하고 형상을 도로(=회복) 하여 인도 주018)
인도:
인간계. 6도의 하나.
중에 나면 어리석은 무리에 섞여 어울리고, 저 구징은 갚음을 족히 하고 형상을 도로(=회복) 하여 인도 중에 나면 어리석은 무리에 섞여 어울리고, 저 여우의 무리는 갚음을 족히 하고 형상을 도로(=회복) 하여 인도 중에 나면 거슬린 무리에 섞여 어울리고, 저 독한 무리는 갚음을 족히 하고 형상을 도로(=회복) 하여 인도 중에 나면 주019)
용:
자기 힘으로 살아갈 능력도 없고, 남의 하인 노릇이나 하는 어리석은 사람.
한 무리에 섞여 어울리고 【‘용’은 상것이다.】, 저 회충의 무리는 갚음을 족히 하고 형상을 도로(=회복) 하여 인도 중에 나면 미〈미〉한 무리에 섞여 어울리고, 먹히는 무리는 갚음을 족히 하고 형상을 도로(=회복) 하여 인도 중에 나면 주020)
유:
남이 뭐라 해도 반항 한 번 못하는 사람.
한 무리에 섞여 어울리고, 저 복의 무리는 갚음을 족히 하고 형상을 도로(=회복) 하여 인도 중에 나면 고단한 무리 주021)
고단한 무리:
글을 대강 알아서 날받이나 하는 무리.
에 섞여 어울리고, 저 응하는 무리는 갚음을 족히 하고 형상을 도로(=회복) 하여 인도 중에 나면 빛난 무리에 섞여 어울리고, 저 휴징은 갚음을 족히 하고 형상을 도로(=회복) 하여 인도 중에 나면 밝은 무리 주022)
밝은 무리:
천문(天文) 사주관상(四柱觀相)이나 보는 무리.
에 섞여 어울리고, 저 따르는 무리는 갚음을 족히 하고 형상을 도로(=회복) 하여 인도 중에 나면 통달한 무리 주023)
통달한 무리:
인간사에 익숙한 똑똑한 부류.
에 섞여 어울리는 것이다.

〔주해〕 梟 以附塊로 相食故로 餘習이 頑嚚不義고 魃 以婬妖로 迷性故로 餘習이 愚鈍不智고 狐 以畜性로 自循故로 狼戾不率고 毒 以虫蠱로 自昏故로 庸陋不敏고 蛔 以衰氣로 附物故로 衰微不齒고 食倫은 出於餓噉故로 柔㤼不勇고 服倫은 出於線着故로 勞役不息고 應倫 出於精明故로 文物이라 休徵 出於靈知故로 聽明야 不昏고 不陋고 循倫 宿涉世事故로 曉達야 不昧니 是等이 皆非正報ㅣ라 乃餘習所偶 故云參合이라 後三 皆便巧雜伎며 世智辯聰者ㅣ라 非賢達文明之事也ㅣ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1년(세조 7)

〔주해〕

능엄경언해 권8:127ㄴ

梟 무적 주024)
무적:
흙무더기.
브투로 주025)
브투로:
붙음으로.
서르 먹 젼로 나 習이 頑嚚야 義 아니오 주026)
아니오:
아닌 것이고.
【頑  사오나올씨오 주027)
사오나올씨오:
사나운 것이고.
嚚은 입 더러울씨라 주028)
더러울씨라:
더러운 것이다.
魃 婬 妖怪로 性을 迷 젼로 나 習이 어리고 주029)
어리고:
이리석고. 어리-[愚].
鈍야 智 아니오 은 주030)
은:
여우는.
畜性으로 주031)
제:
스스로가.
좃 젼로 거슬 주032)
거슬:
거슬리어.
좃디 아니코 毒 蟲蠱로 제 어드운 젼로 庸며 더러워 通達티 몯고 蛔 衰 氣로 物에 븓 주033)
븓:
붙는.
젼로 衰微야 齒티 몯고 【齒 記數

능엄경언해 권8:128ㄱ

씨라 주034)
씨라:
하는 것이다.
머키 무 주으리며 주035)
주으리며:
주리며.
머큐매 주036)
머큐매:
먹힘에.
난 젼로 부드러우며 怯야 勇티 몯고 服 무 브투메 주037)
브투메:
붙음에.
난 젼로 잇비 주038)
잇비:
고단하게.
브리여 쉬디 몯고 주039)
쉬디 몯고:
쉬지 못하고.
應 무 精明에 난 젼로 빗난 주040)
빗난:
빛난.
物이라 더럽디 아니코 休徵 靈히 아로매 난 젼로 聰明야 어듭디 주041)
어듭디:
어둡지.
아니코 좃 무 아 주042)
아:
예전.
世事 디낸 주043)
디낸:
지낸. 겪은.
젼로 기 通達야 어듭디 아니니 이히 주044)
이히:
이것들이.
다 正 報ㅣ 아니라 나 習의 브투밀 주045)
브투밀:
붙음이므로.
이런로 니샤 섯거 어우다 시니라 後ㅅ 세흔 주046)
세흔:
셋은.
다 便便며 工巧 雜죄며 주047)
죄며:
재주이며.
世옛 智 말 잘며 聰明호미라 賢達文明의 이리 아니라
Ⓒ 언해 | 간경도감 / 1462년(세조 8)

〔주해〕 올빼미는흙무더기에 붙는 것으로 서로 〈잡아〉먹는 까닭으로 남은 버릇이 완은 주048)
완은:
완고하고 도리에 어두움.
하여 의가 아닌 것이고 【‘완’은 마음이 사나운 것이고, ‘은’은 입이 더러운 것이다.】, ‘발’은 음〈란〉한 요괴로 ‘성’을 미한 까닭으로 남은 버릇이 어리석고 둔하여 ‘지’가 아닌 것이고, 여우는 축성으로 스스로가 따르는 까닭으로 거슬리어 따르지 아니하고, 독은 충고로 스스로가 어두운 까닭으로 용하며 더러워 통달하지 못하고, 회충은 쇠미 주049)
쇠미:
쇠잔하고 미약함.
한 ‘기’로 ‘물’에 붙는 까닭으로 쇠미하여 ‘치’하지 못하고 【‘치’는 기수 주050)
기수:
수를 기록함.
하는 것이다.】
, 먹히는 무리는 주리며 먹힘에서 난 까닭으로 부드러우며 겁하여 용〈감〉하지 못하고, ‘복’의 무리는 붙는 것에서 난 까닭으로 고단하게 부리이어 쉬지 못하고, 응하는 무리는 정명에서 난 까닭으로 빛난 ‘물’이라서 더럽지 아니하고 휴징은 신령하게 앎에서 난 까닭으로 총명 주051)
총명:
영리하고 기억력이 좋음.
하여 어둡지 아니하고, 따르는 무리는 예전 세상의 일을 겪은 까닭으로 밝게 통달해서 어둡지 아니하니, 이들이 다 바른 ‘보’가 아니다. 남은 버릇의 붙음이므로 이런고로 이르시되, ‘섞여 어울리다’고 하신 것이다. 후의 셋은 다 편편 주052)
편편:
거리끼거나 어긋남이 없이 편안함.
하며 공교한 잡스런 재주이며, 세간의 ‘지’가 말 잘하며 총명한 것이라, 현달 주053)
현달:
입신 출세함.
문명 주054)
문명:
문덕(文德)이 빛나는 것.
의 일이 아니다.
Ⓒ 역자 | 김영배 / 1997년 10월 23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7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네:네가. 너+ㅣ(임자토) → 네.
주002)
무:무리는. 물[群].
주003)
완:어리석고 미혹해서 아무것도 모름.
주004)
무레:무리에.
주005)
섯거:섞어. 섞이어.
주006)
어울오:어울리고. 합하고.
주007)
의:여우의. 여[狐]+의.
주008)
가포:갚음을.
주009)
거슬:거슬린.
주010)
뎌:저.
주011)
어울오:어울리고.
주012)
-:-의.
주013)
머키:먹히는.
주014)
섯거:섞어. 섞이어. ‘-’[混]은 남움직씨와 제움직씨가 같이 씌었음.
주015)
이:고단한. 피곤한.
주016)
좃:좇는. 따르는.
주017)
무:무리는.
주018)
인도:인간계. 6도의 하나.
주019)
용:자기 힘으로 살아갈 능력도 없고, 남의 하인 노릇이나 하는 어리석은 사람.
주020)
유:남이 뭐라 해도 반항 한 번 못하는 사람.
주021)
고단한 무리:글을 대강 알아서 날받이나 하는 무리.
주022)
밝은 무리:천문(天文) 사주관상(四柱觀相)이나 보는 무리.
주023)
통달한 무리:인간사에 익숙한 똑똑한 부류.
주024)
무적:흙무더기.
주025)
브투로:붙음으로.
주026)
아니오:아닌 것이고.
주027)
사오나올씨오:사나운 것이고.
주028)
더러울씨라:더러운 것이다.
주029)
어리고:이리석고. 어리-[愚].
주030)
은:여우는.
주031)
제:스스로가.
주032)
거슬:거슬리어.
주033)
븓:붙는.
주034)
씨라:하는 것이다.
주035)
주으리며:주리며.
주036)
머큐매:먹힘에.
주037)
브투메:붙음에.
주038)
잇비:고단하게.
주039)
쉬디 몯고:쉬지 못하고.
주040)
빗난:빛난.
주041)
어듭디:어둡지.
주042)
아:예전.
주043)
디낸:지낸. 겪은.
주044)
이히:이것들이.
주045)
브투밀:붙음이므로.
주046)
세흔:셋은.
주047)
죄며:재주이며.
주048)
완은:완고하고 도리에 어두움.
주049)
쇠미:쇠잔하고 미약함.
주050)
기수:수를 기록함.
주051)
총명:영리하고 기억력이 좋음.
주052)
편편:거리끼거나 어긋남이 없이 편안함.
주053)
현달:입신 출세함.
주054)
문명:문덕(文德)이 빛나는 것.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