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능엄경언해 제8

  • 역주 능엄경언해
  • 역주 능엄경언해 제8
  • Ⅱ. 정종분(正宗分)○5. 조도분(助道分)
  • [운허]1. 7취(趣)를 말하다
  • 1. 7취(趣)를 말하다○(2) 지옥취 2○2. 여섯 가지 업보○6. 생각하는 업보 2
메뉴닫기 메뉴열기

1. 7취(趣)를 말하다○(2) 지옥취 2○2. 여섯 가지 업보○6. 생각하는 업보 2


二. 隨根轉變
〔경문〕 如是邪思ㅣ 結思면 則能爲方爲所고 結見면 則能爲鑑爲證고 結聽면 則能爲大合石며 爲冰爲霜爲土爲霧고 結息면 則能爲大火車火船火檻고 結嘗면 則能爲大叫喚爲悔爲泣고 結觸면 則能爲大爲小며 爲一日中에 萬生萬死며 爲偃爲仰니라

〔경문〕

능엄경언해 권8:109ㄱ

이 티 邪思ㅣ 思애 면 주001)
면:
맺으면. 맺히면.
能히 方이 외며 所ㅣ 외오 주002)
외오:
되고.
見에 면 能히 비취요미 주003)
비취요미:
비침이. 비춤이.
외며 본이 주004)
본이:
증거가. 증인이.
외오 聽에 면 能히 큰 어운 돌히 외며 어르미 주005)
어르미:
얼음이.
외며 서리 외며 기 주006)
기:
흙이. [土].
외며 안개 외오 息에 면 能히 큰 火車 火船 火檻이 외오 嘗애 면 能히 큰 울우미 주007)
울우미:
부르짖음이. 울-[鳴·呼].
외며 뉘으추미 주008)
뉘으추미:
뉘우침이. 뉘읓-[悔].
외며 우루미 주009)
우루미:
우는 것이. 우르-[咆].
외오 觸애 면 能히 크게 외며 젹게 외며 一日中에 萬生萬死ㅣ 외며 누우미 주010)
누우미:
누움이. 눕-.
외며 울워루미 주011)
울워루미:
우러름이. 울월-[仰].
외니라

〔경문〕 이와 같이, 사사 주012)
사사:
삿된 생각.
가 ‘사’에 맺히면 능히 〈죄를 받을〉 방이 되며 소가 되고, 견에 맺히면 능히 비춤이 되며 증거가 되고, ‘청’에 맺히면 능히 큰 합한 돌이 되며 얼음이 되며 서리가 되며 흙이 되며 안개가 되고, ‘식’에 맺히면 능히 큰 화거 주013)
화거:
불 타는 수레.
·화선 주014)
화선:
불타는 배.
·화함 주015)
화함:
불타는 함. 함은 죄인이 타는 수레.
이 되고, ‘상’에 맺히면 능히 큰 부르짖음이 되며 뉘우침이 되며 울음이 되고, ‘촉’에 맺히면 능히 크게 되며(=커지며) 적게 되며(=작아지며), 하루 동안에도 만생 만사 주016)
만생 만사:
수없이 나고 죽고 하는 것.
가 되며 누움이 되며 우러름이(=자빠짐이) 되는 것이다.

〔주해〕 思 必有所 故로 結思면 則爲受罪方所니라 見 能鑑證故로 結見면 則爲證罪人事고 結聽야 能爲大合石等은 水土ㅣ 交感也ㅣ라 車船檻 乃息氣ㅣ 乘亂思야 所變也ㅣ라 嘗 卽舌根이니 聲所自發也ㅣ라 大小已下 皆言其身시니 乃觸業이 乘亂思所變也ㅣ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1년(세조 7)

〔주해〕

능엄경언해 권8:109ㄴ

思 반기 주017)
반기:
반드시.
所ㅣ 잇 젼로 思애 면 罪 니 주018)
니:
입을. 닙-[被].
方所ㅣ 외니라 보 能히 비취며 본논 주019)
본논:
증거하는. 본-[本證].
젼로 보매 면 罪人 본논 이리 외오 드로매 자 能히 큰 어운 주020)
어운:
어울린. 합한.
돌히 주021)
돌히:
돌들이.
외요 주022)
외요:
됨은.
水와 土왜 서르 感호미라 車와 船과 檻과 수ᇝ氣

능엄경언해 권8:110ㄱ

分이 어즈러운 思 타 變호미라 맛보 곧 舌根이니 소리의 주023)
소리의:
소리가. 아래의 풀이말 ‘발논’의 속뜻으로 임자말이 됨.
브터 發논 고디라 쿰과 져곰괏 주024)
쿰과 져곰괏:
큼과 적음의.
아래 다 그 모 니시니 觸業이 어즈러운 思 타 變호미라
Ⓒ 언해 | 간경도감 / 1462년(세조 8)

〔주해〕 ‘사’는 반드시 〈처〉소가 있는 까닭으로, ‘사’에 맺히면 죄 입을(=받을) 방소가 되는 것이다. 보는 것은 능히 비추며 증거하는 까닭으로 보는 것에 맺히면 죄인 증거하는 일이 되고, 듣는 것에 맺히어 능히 큰 합한 돌들이 되는 것은 〈오행의〉 수와 토가 서로 감하는 것이다. 수레와 배와 함은 기운이 어지러운 ‘사’를 타서 변하는 것이다. 맛 보는 것은 곧 설근이니 소리가 의지하여 발하는 곳이다. 큰(=커진) 것과 적은(=작아진) 것의 아래는 다 그 몸을 이르신 것이니, 촉업이 어지러운 ‘사’를 타서 변하는 것이다.
Ⓒ 역자 | 김영배 / 1997년 10월 23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면:맺으면. 맺히면.
주002)
외오:되고.
주003)
비취요미:비침이. 비춤이.
주004)
본이:증거가. 증인이.
주005)
어르미:얼음이.
주006)
기:흙이. [土].
주007)
울우미:부르짖음이. 울-[鳴·呼].
주008)
뉘으추미:뉘우침이. 뉘읓-[悔].
주009)
우루미:우는 것이. 우르-[咆].
주010)
누우미:누움이. 눕-.
주011)
울워루미:우러름이. 울월-[仰].
주012)
사사:삿된 생각.
주013)
화거:불 타는 수레.
주014)
화선:불타는 배.
주015)
화함:불타는 함. 함은 죄인이 타는 수레.
주016)
만생 만사:수없이 나고 죽고 하는 것.
주017)
반기:반드시.
주018)
니:입을. 닙-[被].
주019)
본논:증거하는. 본-[本證].
주020)
어운:어울린. 합한.
주021)
돌히:돌들이.
주022)
외요:됨은.
주023)
소리의:소리가. 아래의 풀이말 ‘발논’의 속뜻으로 임자말이 됨.
주024)
쿰과 져곰괏:큼과 적음의.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