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능엄경언해 제8

  • 역주 능엄경언해
  • 역주 능엄경언해 제8
  • 셋째, 선나(禪那)를 말하여 수행의 단계를 보이다 ②
  • [운허]2. 수행하는 계위(階位)와 경명(經名)
  • 2-2. 보살수행의 단계○7) 십지○9. 선혜지
메뉴닫기 메뉴열기

2-2. 보살수행의 단계○7) 십지○9. 선혜지


능엄경언해 권8:48ㄱ

九. 善慧地
〔경문〕 發眞如用이 名善慧地라

〔경문〕 眞如ㅅ 用 發호미 일후미 善慧地라

〔경문〕 진여의 ‘용’을 발하는 것이 이름이 선혜지 주001)
선혜지:
10지의 아홉째.
이다.

〔주해〕 旣得眞體면 斯發眞用이라 凡所照應이 無所不眞며 無所不如 故名善慧라

〔주해〕 마 眞

능엄경언해 권8:48ㄴ

體를 得면 이 眞用이 發논디라 주002)
-논디라:
-하는지라.
믈읫 주003)
믈읫:
무릇.
비취여 應호미 眞티 몯 고디 주004)
고디:
곳이. 것이.
업스며 如 주005)
-티:
-치.
몯 고디 업슬 이런로 일후미 善慧라

〔주해〕 이미 진체를 얻으면 여기에서 진용이 발하는지라 무릇 비치어 응하는 것이 ‘진’치 못한 것이 없으며 ‘여’치 못한 것이 없으므로 이런고로 이름이 선혜〈지〉이다.

〔경문〕 阿難아 是諸菩薩이 從此已往애 修習畢功야 功德이 圓滿 亦目此地호 名修習位라

〔경문〕 阿難아 이 모 菩薩이 이브터 주006)
이브터:
이로부터. 여기서부터.
가매 修習논 功 차 주007)
차:
마치어.
功德이 圓滿  이 地 일훔호 일후미 修習位라

〔경문〕 아난아, 이 모든 보살이 이로부터 감에, 수습 주008)
수습:
닦아 익힘.
하는 공을 마치고 공덕이 원만하므로 또 이 지를 이름하되 이름이 수습위 주009)
수습위:
불도 수행상에 대한 5종 계위의 넷째. 첫째는 자량위, 둘째는 가행위, 셋째는 통달위, 넷째는 수습위, 다섯째는 구경위임.
이다.

〔주해〕 此 結前시고 顯後也시니라 聖位ㅣ 總束건댄 有五니 一 資粮이니 三賢也ㅣ라 二 加行이니 四加也ㅣ라 三 通達이니 初地也ㅣ라 四 修習이니 卽此也ㅣ라 五 無學이니 妙覺也ㅣ라 自初發信야 至超賢入聖히 皆修習之事ㅣ로 而此位 已超八地無功用道야 智悲並圓니 則修習之功이 終畢於此故로 名修習이니 以結十地之因也ㅣ라 次後 乃十地之果ㅣ니 無復修習矣니라 華嚴十地예 以金剛藏로 表因시고 解脫月로 表果시니 亦以因地 有修고 果地 無修也ㅣ라 問後位예 旣無修習호 復有斷障之事 何耶오 曰此 明智悲功終야 得十地果而已어시니와 若論斷障인댄 則等覺之位도 猶是修習故로 至妙覺야 乃名無學이니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1년(세조 7)

〔주해〕

능엄경언해 권8:49ㄴ

이 알 주010)
알:
앞을.
結시고 後를 나토시니라 주011)
나토시니라:
나타내시니라.
聖位 뫼화 주012)
뫼화:
모아.
뭇건댄 주013)
뭇건댄:
묶건댄.
다시 잇니 나 주014)
나:
하나는.
資粮이니 三賢이라 둘흔 주015)
둘흔:
둘은.
加行이니 四加ㅣ라 세흔 주016)
세흔:
셋은.
通達이니 初地라 네흔 주017)
네흔:
넷은.
修習이니 곧 이라 주018)
이라:
이것이다.
다 주019)
다:
다섯은.
無學이니 妙覺이라 처 주020)
처:
처음.
信發호브터 주021)
-호브터:
함으로부터.
賢을 건네여 聖에 드로매 주022)
드로매:
듦에.
니르리 주023)
니르리:
이르도록.
다 修習논 이리로 이 位 마 八地功用 업슨 道애 건네여 智 주024)
-와 -왜:
-와 -이/가.
두려우니 주025)
두려우니:
원만하니.
修習功이 이  주026)
:
마친.
젼로 일후미 修

능엄경언해 권8:50ㄱ

習이니 十地ㅅ 因 結시니라 버근 주027)
버근:
다음으로.
後 十地ㅅ 果ㅣ니 외야 주028)
외야:
거듭하여. 다시.
修習이 업스니라 華嚴 十地 주029)
-예:
-에.
金剛藏로 因 表시고 解脫月로 果 表시니  因地 닷고미 주030)
닷고미:
닦음이. -[修]+오/우ㅁ+이.
잇고 果地 닷고미 업슬라 주031)
업슬라:
없기 때문이다.
무로 주032)
무로:
묻되.
後ㅅ 位예 마 修習이 업수 다시 障 긋논 주033)
긋논:
끊는.
이쇼 주034)
이쇼:
있음은.
엇뎨오 주035)
엇뎨오:
어찌된 것인가? 엇뎨+고(‘-고’물음법).
닐오 이 智 주036)
-와 -왓:
-와 -의.
功 차 十地ㅅ 果 得호 기실 주037)
기실:
밝히실.
미어니와 다가 障 그추 주038)
그추:
끊음을.
議論뎬 주039)
-뎬:
-할진대.
等覺位도  이 修習인 젼로 妙覺애 니르러 주040)
니르러:
이르러야.
일후미 無學이니라
Ⓒ 언해 | 간경도감 / 1462년(세조 8)

〔주해〕 이것은 앞〈의 글〉을 맺으시고 뒤를 나타내신 것이다. 성위를 모아 묶건댄 다섯이 있으니, 하나는 자량〈위〉이니 3현이다. 둘은 가행이니, 4가행이다. 셋은 통달〈위〉이니, 초지 주041)
초지:
보살 수행의 계위인 52위 가운데 10지위의 첫 계지, 환희지.
이다. 넷은 수습〈위〉이니, 곧 이것이다. 다섯은 무학 주042)
무학:
모든 번뇌를 끊고 성문승의 제4아라한과를 얻은 이. 더 배울 것이 없으므로 이렇게 이름.
〈위〉이니, 묘각이다. 처음 (10)신을 발하는 것에서부터 (3)현을 건너뛰어 (10)성에 들어감에 이르러 다 수습하는 일이로되, 이 ‘위’는 이미 8지 주043)
8지:
10지 중의 8지인 부동지.
의 공용이 없는 도에 건너뛰어 ‘지’와 ‘비’가 다 원만하니, 원만하니, 수습의 공이(=을) 여기에 마친 까닭으로 이름이 수습위이니, 10지의 ‘인’을 맺으신 것이다. 다음으로 후는 10지의 ‘과’이니, 다시 수습이 없는 것이다. 화엄〈경〉의 10지〈품〉에 금강장 주044)
금강장:
등각보살이 금강유정(金剛喩定)의 모양을 말한 것.
으로 ‘인’을 표하시고 해탈월로 ‘과’를 표하시니, 인지 주045)
인지:
성불하려고 수행하는 지위.
는 닦음이 있고, 과지는 닦음이 없기 때문이다. 묻되, “후의 ‘위’에 이미 수습이 없으되 다시 ‘장’ 끊는 일이 있는 것은 어찌된 것인가?” 이르되, “이는 ‘지’와 ‘비’의 공을 마치고 10지의 ‘과’ 얻음을 밝히실 따름이거니와 만약 ‘장’ 끊음을 의논할진대 등각위 주046)
등각위:
보살이 수행하는 지위 중에서 제51위의 이름. 보살의 극위(極位)로 그 지혜가 만덕 원만한 부처님과 대개 같다는 뜻.
도 아직은 이 수습인 까닭으로 묘각에 이르러야 이름이 무학〈위〉인 것(=까닭)이다.”
Ⓒ 역자 | 김영배 / 1997년 10월 23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5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선혜지:10지의 아홉째.
주002)
-논디라:-하는지라.
주003)
믈읫:무릇.
주004)
고디:곳이. 것이.
주005)
-티:-치.
주006)
이브터:이로부터. 여기서부터.
주007)
차:마치어.
주008)
수습:닦아 익힘.
주009)
수습위:불도 수행상에 대한 5종 계위의 넷째. 첫째는 자량위, 둘째는 가행위, 셋째는 통달위, 넷째는 수습위, 다섯째는 구경위임.
주010)
알:앞을.
주011)
나토시니라:나타내시니라.
주012)
뫼화:모아.
주013)
뭇건댄:묶건댄.
주014)
나:하나는.
주015)
둘흔:둘은.
주016)
세흔:셋은.
주017)
네흔:넷은.
주018)
이라:이것이다.
주019)
다:다섯은.
주020)
처:처음.
주021)
-호브터:함으로부터.
주022)
드로매:듦에.
주023)
니르리:이르도록.
주024)
-와 -왜:-와 -이/가.
주025)
두려우니:원만하니.
주026)
:마친.
주027)
버근:다음으로.
주028)
외야:거듭하여. 다시.
주029)
-예:-에.
주030)
닷고미:닦음이. -[修]+오/우ㅁ+이.
주031)
업슬라:없기 때문이다.
주032)
무로:묻되.
주033)
긋논:끊는.
주034)
이쇼:있음은.
주035)
엇뎨오:어찌된 것인가? 엇뎨+고(‘-고’물음법).
주036)
-와 -왓:-와 -의.
주037)
기실:밝히실.
주038)
그추:끊음을.
주039)
-뎬:-할진대.
주040)
니르러:이르러야.
주041)
초지:보살 수행의 계위인 52위 가운데 10지위의 첫 계지, 환희지.
주042)
무학:모든 번뇌를 끊고 성문승의 제4아라한과를 얻은 이. 더 배울 것이 없으므로 이렇게 이름.
주043)
8지:10지 중의 8지인 부동지.
주044)
금강장:등각보살이 금강유정(金剛喩定)의 모양을 말한 것.
주045)
인지:성불하려고 수행하는 지위.
주046)
등각위:보살이 수행하는 지위 중에서 제51위의 이름. 보살의 극위(極位)로 그 지혜가 만덕 원만한 부처님과 대개 같다는 뜻.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